KR200328608Y1 - 음이온 기능의 온돌마루 바닥재 - Google Patents

음이온 기능의 온돌마루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608Y1
KR200328608Y1 KR20-2003-0021861U KR20030021861U KR200328608Y1 KR 200328608 Y1 KR200328608 Y1 KR 200328608Y1 KR 20030021861 U KR20030021861 U KR 20030021861U KR 200328608 Y1 KR200328608 Y1 KR 200328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veneer
anion
surface coat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종
변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3-0021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늬목과 표면도장층 등으로 구성되어지는 상부층과 접착제층, 기재층으로 구성된 구조에서 적어도 한층 이상에 음이온 물질을 첨가하여 외관 효과의 저하없이 마루바닥재에 음이온 발산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음이온 기능에 따른 사용자를 이롭게 설계되어진 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이온 기능의 온돌마루 바닥재{Wood floor having function to emit anion}
본 고안은 무늬목을 이용한 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무늬목과 표면도장층 등으로 구성되어지는 상부층과 기재층, 즉 베니어층 또는 합성수지층을 카렌다링을 통해 판상으로 제조한 시트 등을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일정한 온도 압력으로 일체화한 구조에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건강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음이온 발산기능을 부여한 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온돌 마루용 바닥재의 경우 표면에 무늬목층이 첨가되어 있어 소비자로부터 자연친화적인 제품이라는 인식을 받았으나, 바닥재의 또 다른 요구사항인 건강기능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즉, 종래의 마루바닥재는 단순히 합판 위에 무늬목만을 적층하고 표면처리하여 마감한 것으로 천연감을 부여하는 것 이외의 특성을 찾아볼 수 없었고, 따라서 건강기능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 음이온을 이용한 바닥장식재로는 열가소성의 PVC Sheet를 적층/합판 방식으로 제조하는 PVC 바닥장식재가 있었으나, 가공방법이 전혀 다른 무늬목을 이용한 온돌마루바닥재에는 이러한 연구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마루바닥재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미흡한 문제를 개선하여 인테리어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무늬목과 표면도장층 등으로 구성되어지는 상부층과 접착제층, 기재층으로 구성된 구조에서 표면도장층 및/또는 접착제층에 음이온 물질을 첨가하여 외관 효과의 저하없이 마루바닥재에 음이온 발산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음이온 기능에 따른 사용자를 이롭게 설계되어진 온돌마루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착제층에 음이온 물질이 함유된 온돌마루바닥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면도장층에 음이온 물질이 함유된 온돌마루바닥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재층이 아래로부터 합성수지층, 접착제층 및 베니어층으로 이루어지며, 표면도장층에 음이온 물질이 함유된 온돌마루바닥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면도장층(하도, 중도, 상도층 포함)
20 : 무늬목층 30 : 접착제층
40 : 기재층 41 : 베니어층 또는 합판층
42 : MDF(Midium Density Fiber, 중밀도섬유판)
43 : HDF(High Density Fiber, 고밀도섬유판)
44 : 합성수지층 45 : 부직포층
70 : 음이온 물질 80 : 상부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무늬목을 이용한 다층구조의 마루바닥재에 있어서, 표면도장층 및/또는 접착제층에 음이온 물질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마루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바닥재는 아래로부터 기재층, 접착제층 및 무늬목층이 포함된 상부층을 포함하는 마루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에 음이온 물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음이온층이 은폐력을 가지고 있는 무늬목층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음이온 물질 고유의 색상에 따른 외관의 저하없이 투입량에 비례하여 100 내지 10,000의 음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바닥재는 상기 상부층이 아래로부터 무늬목층 및 표면도장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도장층에 음이온 물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면도장층은 구조적 특성상 0.02 ㎜ 내외로 무척 얇은 두께임에 따라 음이온 물질의 총량에는 한계가 있어, 외관을 해치지 않는 3 wt%의 범위에서는 80의 음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바닥재는 상기 기재층이 아래로부터합성수지층, 접착제층 및 베니어층(또는 베니어로 이루어진 합판, MDF, HDF)을 포함하며, 표면도장층에 음이온 물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다른 실시예와는 기재층의 구조가 상이하나 표면도장층에 음이온 물질을 3 wt% 첨부시 80의 음이온 효과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이로써 음이온 효과는 음이온 물질이 투입된 하부층의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음이온 물질은 토르마린 및 희토류 광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 물질은 희토류, 토르말린 등 음이온이 발생되는 천연 광물을 분쇄하여 만든 파우더나, 상기 광물의 파우더를 맥반석 등의 다른 광물 파우더와 혼합하고 1,30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처리한 파우더를 포함한다.
음이온의 효과로는 사용자의 혈액순환 개선, 먼지제거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음이온 물질이라 하는데, 토르말린, 희토류 광석 분말 외 음이온을 발산할 수 있는 물질이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나, 본 고안이 하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층은 상부층과 접착제층 하부의 구조로서, 베니어(Veneer), 합판, MDF, HDF, 부직포층, 합성수지층, PVC함침 유리섬유 등이 선택적으로 구성된 층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래로부터 기재층(40)인 MDF(42), 접착제층(30) 및 상부층(80)인 무늬목층(20)과 표면도장층(10)으로 이루어진 마루바닥재의 단면도로서, 상기 접착제층(30)에 음이온 물질(70)이 함유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래로부터 기재층(40)인 MDF(42), 접착제층(30) 및 상부층(80)인 무늬목층(20)과 표면도장층(10)으로 이루어진 마루바닥재의 단면도로서, 상기 표면도장층(10)에 음이온 물질(70)이 함유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래로부터 합성수지층(44), 접착제층(30) 및 베니어층(41)을 포함하는 기재층(40), 접착제층(30) 및 상부층(80)인 무늬목층(20)과 표면도장층(10)으로 이루어진 마루바닥재의 단면도로서, 상기 표면도장층(10)에 음이온 물질(70)이 함유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기능의 마루 바닥재 중에서 대표적으로 도 3의 마루바닥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품의 무늬목을 제외한 기재가 되는 베니어층과 합성수지층을 제조한다. 베니어층은 일반적으로 마루바닥재에 사용되어지는 베니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 남양재(열대산 활엽수재)를 사용하여 두께가 0.60 내지 2.0 ㎜로 제재하고 일정한 두께로 슬라이스하여 건조시킨 후 3 또는 5겹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층하여 제조하는데, 이때 접착제로 통상 내수성이 확보 가능한 멜라민수지 접착제나 페놀수지 접착제를 사용한다.
멜라민 수지는 통상 고형분이 50%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멜라민수지 100 중량부에 소맥분 15 내지 20 중량부, 경화제인 염화암모늄 1 내지 3 중량부를 섞어 사용상 편리하도록 점도를 조정하여 사용한다.
3겹 베니어의 경우, 중간층의 베니어에 양면으로 멜라민 수지 접착제를 28내지 30 g/ft2도포후 120±3℃에서 50 내지 60초간 10±2 ㎏/㎠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조한다.
다음으로 구성되어지는 합성수지층은 PE, PP, PVC, Rubber, PU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층 제조시 충진제로 사용되는 탄석을 음이온 물질로 대체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음이온 기능을 부여시킬 수 있다.
이렇게 준비되어진 베니어와 합성수지층 및 무늬목을 적층하여 제조시 사용되는 접착제층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열압 접착시의 접착제는 베니어로 구성되는 합판층의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베니어와 무늬목을 접착시 동일하게 사용한다. 베니어 밑의 합성수지층과의 접착제는 에폭시 접착제로서 즉,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비스페놀 A를 반응시켜 생성된 통상의 에폭시수지에 경화제로서 경화에 적합한 지방족 아민, 폴리아마이드 또는 폴리술파이드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에폭시 수지 1 중량부에 경화제 1 중량부를 혼합하여 합성수지층에 단위면적당 60 내지 130 g의 양을 도포한다.
이렇게 각각의 접착제를 베니어와 합성수지층에 도포하여 위로부터 무늬목, 베니어, 합성수지층의 순으로 적층하여 열압착하거나, 또는 1차 반제품 위인 베니어 표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80 내지 150 g/㎡으로 도포하여 상온에서 무늬목을 적층한 후 냉압하여 접착제를 완전경화시킨 후 다음공정으로 작업한다. 이때 상기의 멜라민, 에폭시 접착제에 음이온 물질을 1 내지 30 wt% 첨가하여 음이온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반제품을 일체화하여 제조하고 표면도장 후 재단하여 완제품을 만든다. 표면도장층은 일반적으로 3회에 걸쳐 이루어지는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자외선 램프를 통과시킴으로써 경화시킨다. 이때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에도 음이온 물질을 0.5 내지 5 wt% 첨가하여 음이온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닥의 굴곡 및 단차이 해소를 위한 Tongue Groove(T G) 재단을 이용하여 마무리한다.
[실시예 1]
아래로부터 베니어를 이용한 합판층, 접착제층, 무늬목층의 순으로 적층하여 일체화하고 표면도장층을 형성한 후 T G 형태로 재단하여 음이온 발산기능의 마루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접착제층에 음이온 물질을 10 wt%로 첨가한 결과, 표면에서의 음이온 수치가 850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아래로부터 베니어를 이용한 합판층, 접착제층, 무늬목층의 순으로 적층하여 일체화하고 표면도장층을 형성한 후 T G 형태로 재단하여 음이온 발산기능의 마루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표면도장층에 음이온 물질을 3 wt%로 첨가한 결과, 표면에서의 음이온 수치가 80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아래로부터 베니어를 이용한 합판층, 접착제층, 무늬목층의 순으로 적층하여일체화하고 표면도장층을 형성한 후 T G 형태로 재단하여 마루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음이온 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결과 표면에서의 음이온 수치가 18로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음이온 수치 적용층/첨가량
실시예 1 850 접착제층, 10 wt%
실시예 2 80 표면도장층, 3 wt%
비교예 18 첨가하지 않음
[주] 음이온 수치 측정: 음이온측정기(EB-12A , ECO HOLISTIC Inc. 일본) 이용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마루바닥재는 음이온 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외관 효과의 저하없이 음이온 수치가 높았다. 특히 접착제층에 음이온 물질을 10 wt% 첨가하였을 때 음이온 수치가 850으로 매우 높았으며, 이는 무늬목의 은폐력을 이용하여 음이온 물질을 다량 첨가함으로써 음이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루바닥재는 무늬목과 표면도장층 등으로 구성되어지는 상부층과 접착제층, 기재층으로 구성된 다층구조에서 접착층에 음이온 물질을 첨가하여 무늬목의 은폐력을 이용함으로써 외관 효과의 저하없이 마루바닥재에 음이온 발산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3)

  1. 아래로부터 기재층, 접착제층, 무늬목층 및 표면도장층을 포함하는 마루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을 포함한 1개 이상의 층에 음이온 물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2. 아래로부터 기재층, 접착제층, 무늬목층 및 표면도장층을 포함하는 마루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아래로부터 합성수지층, 접착제층 및 베니어층(또는 베니어로 이루어진 합판, MDF, HDF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도장층을 포함한 1개 이상의 층에 음이온 물질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물질이 토르마린 및 희토류 광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KR20-2003-0021861U 2003-07-08 2003-07-08 음이온 기능의 온돌마루 바닥재 KR200328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861U KR200328608Y1 (ko) 2003-07-08 2003-07-08 음이온 기능의 온돌마루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861U KR200328608Y1 (ko) 2003-07-08 2003-07-08 음이온 기능의 온돌마루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608Y1 true KR200328608Y1 (ko) 2003-09-29

Family

ID=4941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861U KR200328608Y1 (ko) 2003-07-08 2003-07-08 음이온 기능의 온돌마루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6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51B1 (ko) * 2004-12-03 2007-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강도 천연무늬목 온돌마루
KR100826771B1 (ko) * 2005-11-08 2008-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이온방출기능을 갖는 복합화장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51B1 (ko) * 2004-12-03 2007-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강도 천연무늬목 온돌마루
KR100826771B1 (ko) * 2005-11-08 2008-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이온방출기능을 갖는 복합화장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541B1 (ko) 대칭구조를 이용한 무늬목과 합성수지층을 갖는마루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US7473457B2 (en) Wood flooring composed of WPL, base and soundproof layer
US7449231B2 (en) Wood flooring laminated with high pressure veneer and impregnated low weight printing paper
RU2471619C2 (ru) Плита,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ит и панель, содержащая материал такой плиты
US5985397A (en) Coated synthetic resin board tiles
US826283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s and panel hereby obtained
CN103862775B (zh) 具有弹性塑料外膜层的覆盖层
KR101317063B1 (ko) 양마보드와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JP2733641B2 (ja) 建築用板
KR200324825Y1 (ko) 고압수지 주입 천연 무늬목을 기재층에 적층한 방음기능강화마루
US20050136234A1 (en) Plank for interior use
KR101979065B1 (ko)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KR20080092591A (ko) 단판과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KR200328608Y1 (ko) 음이온 기능의 온돌마루 바닥재
KR100405206B1 (ko) 무늬목과 합성수지층을 이용한 마루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50484B1 (ko) 모양층 및 목질계 보드를 포함하는 마루바닥재
KR101166284B1 (ko) 클릭 합판마루
KR100554838B1 (ko) 고압수지 주입 천연 무늬목을 기재층에 적층한 방음기능강화마루
CN212358975U (zh) 一种无醛弹性复合木质地板
KR20050121630A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표면층 및 목질계 보드를 포함하는마루바닥재
CN210369720U (zh) 一种表层为pp膜的复合木质地板
KR200328609Y1 (ko) 음이온 발산기능을 가진 강화마루
CN111851923A (zh) 一种高性能耐磨地板及其制造工艺
CN111851925A (zh) 一种抗紫外线地板及其生产方法
KR100395305B1 (ko) 무취 우드카페트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무취 우드카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