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404Y1 - 냉온수 분리판 - Google Patents

냉온수 분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404Y1
KR200328404Y1 KR20-2003-0020125U KR20030020125U KR200328404Y1 KR 200328404 Y1 KR200328404 Y1 KR 200328404Y1 KR 20030020125 U KR20030020125 U KR 20030020125U KR 200328404 Y1 KR200328404 Y1 KR 200328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water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한일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월드(주) filed Critical 한일월드(주)
Priority to KR20-2003-0020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4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탱크로부터 분출된 온수가 저수탱크의 물과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수탱크와 냉수탱크를 분리시키는 분리판에 있어서 저수탱크로부터 직접 냉수탱크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대략 수직방향의 플랜지를 형성한 냉온수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은 저수탱크와 냉수탱크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탱크와 연결되는 냉온수 분리판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플랜지가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연통공이 형성된 평판인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의 상기 연통공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관인 연통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온수 분리판{HOT AND COLD WATER PARTITION PLATE}
본 고안은 냉온수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수탱크와 냉수탱크를 분리하는 평판인 분리부에 있어서 평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대략 수직한 플랜지를 형성하여 분리부의 연통공으로부터 분출된 온수가 저수탱크의 물과 충분히 혼합된 후에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한 냉온수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나 냉온수기는 온수와 냉수를 생성하기 위해 냉동기를 사용하는 냉수탱크와 히터를 사용하는 온수탱크 그리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최초로 저장되는 저수탱크를 포함한다. 온수탱크, 냉수탱크 및 저수탱크의 배치상태는 온수탱크가 가장 밑에 위치하고 그 위로 냉수탱크와 저수탱크가 위치하는 직렬식을 주로 사용한다.
도 4는 종래의 냉온수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냉온수 분리판이 설치된 정수기에서 온수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등에 사용되던 종래의 냉온수 분리판은 원형이고 중앙에 연통공(51)이 형성된 평판인 분리부(50)와 분리부(50)의 연통공(51)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통관(52)으로 구성된다.
연통관(52)은 정수기의 온수탱크(60)에 결합되어 냉수탱크(61)를 지나서 냉수탱크(61)와 저수탱크(62)의 경계부근에 배치된 분리부(50)와 연결된다. 분리부(50)의 외경은 냉수탱크(61)의 내경보다 약 2mm정도 작기 때문에 분리부(50)와 냉수탱크(61) 사이의 간격을 통해 저수탱크(62)의 물이 경로(65)를 통해 냉수탱크(61)로 유입된다. 한편, 온수가 사용된 후 온수탱크(60)의 물이 보충될 때에는 저수탱크(62)의 물이 연통공(51)과 연통관(52)을 따라서 이동하여 온수탱크(60)로 유입된다.
저수탱크(62)로부터 온수탱크(60)로 유입된 물은 온도가 낮으므로 가열할 필요가 있고 가열에 의해 데워진 물이 연통관(52)을 타고 저수탱크(62)로 분출되게 된다. 이 때 저수탱크(62)로 분출된 온수는 저수탱크(62)의 저온의 물과 혼합되어 열교환을 하여 저수탱크(62)의 물의 온도는 약간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분리부의 연통공으로부터 분출된 온수는 연통공 부근의 물과 혼합된 후 분리판과 냉수탱크 사이의 간격을 통해 냉수탱크로 상당량이 유입되게 된다. 즉 저수탱크의 물보다 상대적으로 고온의 물이 냉수탱크로 유입되므로 냉수탱크에서는 일정온도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동기(미도시)가 더 많은 일을 해야하고 따라서 냉수를 생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오래걸리고 냉수생성에 소비되는 전력량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탱크로부터 분출된 온수가 저수탱크의 물과 충분히 혼합되어 온도가 낮아지도록 온수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된 분리부를 갖는 냉온수 분리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저수탱크와 냉수탱크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탱크와 연결되는 냉온수 분리판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플랜지가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연통공이 형성된 평판인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의 상기 연통공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관인 연통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온수 분리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분리부의 상기 평판은 대략 원형이고 상기 평판의 상기 플랜지의 내측으로 인접한 복수의 지점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높이는 상기 평판의 반지름의 대략 1/6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분리부의 연통공의 상부에는 상기 연통공과 연통하며 측면에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분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분출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평판의 소정의 부분까지에는 복수의 보강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이 설치된 정수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이 장착된 정수기에서 온수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냉온수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냉온수 분리판이 설치된 정수기에서 온수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
1: 분리부 2: 연통공
3: 평판 4: 플랜지
5: 유입공 6: 분출부
7: 슬릿 8: 보강리브
10: 연통관 15: 온수탱크
16: 결합부 17: 냉수탱크
20: 저수탱크 30: 정수기
32: 경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은 전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원형의 평판(3)의 둘레에 대략 수직하게 플랜지(4)가 형성된 분리부(1)가 상부를 형성하며, 하부는 분리부(1)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직선으로 연통관(10)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통관(10)의 내부 하단에는 나사결합을 위해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부(1)를 구성하는 평판(3)은 중앙에 연통공(2)이 형성된 관형태의 분출부(6)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분출부(6)는 분리부(1)의 하단에 형성된 연통관(10)과 서로 통하고 있다. 관형태의 분출부(6)에는 약 2mm정도의 슬릿(7) 한 쌍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분출부(6)의 외면에는 복수의 보강리브(8)가 형성되는데 보강리브(8)는 분출부(6)의 외면으로부터 평판(3)의 일부분까지 방사상으로 점차 높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분리부(1)의 플랜지(4)와 인접한 평판(3)의 일부분에는 반원형의 유입공(5)이 복수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은 분리부(1)의 직경이 약 200mm정도, 플랜지(4)의 높이가 약 15mm정도, 연통관(10)의 길이가 약 95mm정도의 치수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이 설치된 정수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은 연통관(10)의 하단이 정수기(30)에 내장된 온수탱크(15)의상단에 형성된 결합부(16)에 나사결합되고 연통관(10)은 냉수탱크(17)의 내부에 위치하며, 냉수탱크(17)의 위에 배치되는 분리부(1)가 저수탱크(20)와 냉수탱크(17)를 분리하게 된다. 연통관(10)과 온수탱크(15)를 나사결합한 것은 결합을 견고하게 하면서 동시에 기밀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냉온수 분리판의 분리부(1)는 냉수탱크(17)의 상부를 완전히 밀폐하지는 않도록 형성되며 즉, 분리부(1)의 외경이 냉수탱크(17)의 내경보다 약 2mm정도 작아서 저수탱크(20)의 물이 냉수탱크(17)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이 장착된 정수기에서 온수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탱크(15)로부터 분출된 온수는 연통관(10)을 타고 직접 저수탱크(20)로 유입된다. 저수탱크(20)로 유입된 온수는 저수탱크(20)에 저장된 물과 혼합되어 열교환을 통해 온수의 온도는 내려가고 저장된 물의 온도는 올라가서 특정온도에 이르게 되고 그 온도의 물이 냉수탱크(17)의 여유 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 때 온수가 가열되면 온수탱크(15)의 온수가 연통관(10)을 통해 저수탱크(20)로 역류되는데 역류가 방해되면 온수탱크(15)가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폭발될 수 있으므로 연통관(10)을 통한 온수의 분출은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냉온수 분리판에 형성된 플랜지(4)는 분리부(1)의 평판(3) 근처에 위치하던 물이 직접 분리부(1)와 냉수탱크(17)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여 플랜지(4)를 타고 넘는 경로(32)를 통하여 냉수탱크(17)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연통공(2)으로부터 분출된 온수가 냉수탱크(17)로 유입되는 경로가 플랜지(4)에 의해 더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저수탱크(20)에 저장된 물과 더 충분히 혼합되게 되므로 냉수탱크(17)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는 더 낮아지게 된다. 이는 물의 냉각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냉수탱크(17)의 냉동기(미도시)의 전력소모가 작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렬타입의 정수기(30)에서 본 고안의 냉온수 분리판을 사용하면 30분이내에 3리터의 물을 30℃에서 6℃로 냉각시키게 되어 종래의 냉온수 분리판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냉각효율이 대략 15%정도 향상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4)의 높이를 약 15mm정도로 하였는데, 플랜지(4)의 높이가 이보다 낮으면 종래의 냉온수 분리판의 문제점이 거의 해결되지 않게 되고 즉, 온수탱크(15)로부터 저수탱크(20)로 온수가 분출하는 경우 저수탱크(20)의 물과 충분히 혼합되어 온도가 떨어지기 전에 냉수탱크(17)로 직접 유입되게 되어 냉수탱크(17)가 할 일의 양이 커진다. 이와 반대로 플랜지(4)의 높이가 이보다 높게 되면 온수탱크(15)로부터 분출된 온수가 혼합되는 물이 플랜지(4)의 내측에 갖힌 부분에 한정되게 되므로 혼합된 후의 플랜지(4) 내측의 물은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되고, 이 물의 대부분은 플랜지(4)를 넘어서 냉수탱크(17)로 유입되기 보다는 복수의 유입공(5)을 통해 직접 냉수탱크(17)에 유입되므로 냉각에 소모되는 전력이 커지게 되므로 플랜지(4)의 높이는 분리부(1)의 직경의 약 1/6정도가 적절하다.
평판(3)에서 플랜지(4)의 내측에 유입공(5)을 형성한 것은 저수탱크(20)로부터 냉수탱크(17)로 물이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리부(1)에 형성된 분출부(6)의 높이를 약 1.3mm정도로 하였는데, 분출부(6)의 높이를 너무 높게 하면 분출부(6)의 높이보다 저수탱크(20)의 수위가 낮게되는 경우에 저수탱크(20)로부터 분출부(6)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분출부(6)에 물이 없게 되면 온수탱크(15)에 적절한 수압을 유지하지 못하여 정수기(30)의 외부로 배출되는 온수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출부(6)에 슬릿(7)을 형성한 것은 분리판을 온수탱크(15)로부터 탈거할 경우 동전 등을 사용하여 분출부(6)를 회전시켜 나사결합을 해제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출부(6)의 주위에 보강리브(8)를 형성한 것은 분리판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분리판을 돌려서 떼어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리판의 형상으로 원형의 평판을 사용하였으나 평판의 형상은 정수기에 사용된 탱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이에 한하지 않고, 사각형 등의 평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채택한 분리부의 직경 및 연통공의 길이는 단지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며, 본 고안은 이러한 치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에 의하면 분리부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온수탱크로부터 분출된 온수가 충분히 혼합된 후에 냉수탱크로 유입되게 되므로 냉수탱크의 냉동기의 전력소비를 줄이고 냉각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분리판의 연통관은 온수탱크와 나사결합을 이루므로 별도의 구성없이 견고한 결합과 기밀유지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분리부에 형성된 보강리브는 분리부의 평판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분리판의 분해 또는 결합시에 손잡이가 될 수 있어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분출부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동전 등을 사용하여 분리판을 분해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3)

  1. 저수탱크(20)와 냉수탱크(17)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탱크(15)와 연결되는 냉온수 분리판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플랜지(4)가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연통공(2)이 형성된 평판(3)인 분리부(1); 및
    상기 분리부(1)의 상기 연통공(2)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관인 연통관(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온수 분리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1)의 상기 평판(3)은 대략 원형이고 상기 평판(3)의 상기 플랜지(4)의 내측으로 인접한 복수의 지점에 유입공(5)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4)의 높이는 상기 평판(3)의 반지름의 대략 1/6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분리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1)의 연통공(2)의 상부에는 상기 연통공(2)과 연통하며 측면에 복수의 슬릿(7)이 형성된 분출부(6)가 더 형성되고, 상기 분출부(6)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평판(3)의 소정의 부분까지에는 복수의 보강리브(8)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분리판.
KR20-2003-0020125U 2003-06-25 2003-06-25 냉온수 분리판 KR200328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125U KR200328404Y1 (ko) 2003-06-25 2003-06-25 냉온수 분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125U KR200328404Y1 (ko) 2003-06-25 2003-06-25 냉온수 분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404Y1 true KR200328404Y1 (ko) 2003-09-29

Family

ID=4933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125U KR200328404Y1 (ko) 2003-06-25 2003-06-25 냉온수 분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4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64Y1 (ko) 2010-03-18 2011-11-08 한일월드(주) 정수기용 분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64Y1 (ko) 2010-03-18 2011-11-08 한일월드(주) 정수기용 분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2511B2 (ja) 電子素子用の冷却装置
CN105258549B (zh) 一种水循环蒸发换热冷却式冷凝器
KR102038030B1 (ko) 냉수 공급장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제어방법
CN102822610B (zh) 冷水箱
US20070235173A1 (en) Shell and tube evaporator
CN110081540A (zh) 一种湿帘分水盒
CN101162100A (zh) 交叉流复合间接蒸发冷却空气处理机
CN105546919A (zh) 风道系统及冰箱
KR200328404Y1 (ko) 냉온수 분리판
CN204718241U (zh) 风道组件以及具有其的冰箱
CN210408115U (zh) 饮水机的冰胆组件和饮水机
CN208528314U (zh) 一种循环水冷式激光焊接机
CN207515281U (zh) 一种蒸发器及制冷系统
JP2007303708A (ja) 高湿度冷蔵庫
CN206989741U (zh) 一种化工用冷却塔
US7207182B1 (en) Swamp cooler cooling system
KR102495575B1 (ko)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CN109222660A (zh) 热罐及饮水机
CN207430657U (zh) 一种有机肥料冷却筛分装置
CN207188756U (zh) 一种冶炼铸造铜用的带有安装壳体的冷却结晶装置
WO2020211442A1 (zh) 储冰盒及制冷设备
CN207175450U (zh) 苏打水机
CN104776667A (zh) 风道组件以及具有其的冰箱
CN206253618U (zh) 模具冷却用螺旋式分流锥
CN106052416B (zh) 一种注塑模用冷却水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