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311Y1 -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 Google Patents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311Y1
KR200328311Y1 KR20-2003-0001115U KR20030001115U KR200328311Y1 KR 200328311 Y1 KR200328311 Y1 KR 200328311Y1 KR 20030001115 U KR20030001115 U KR 20030001115U KR 200328311 Y1 KR200328311 Y1 KR 200328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main body
opening
closing member
to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제일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1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4Etuis for purpo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5C11/02 - A45C11/22, A45C11/26, A45C11/32 - A45C11/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방 상측에 걸림돌기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 일 측에 그 후방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에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가 구비된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 또는 폭방향에 그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손잡이; 및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 내곡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가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식 완구의 부품을 품목과 기능별로 보관토록 함으로써 청결한 생활공간을 유지하고, 조립식 완구를 갖고 노는 유아나 어린이 스스로 완구의 부품을 기능 및 품목에 따라 분리된 상태에서 스스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정리 정돈의 생활습관을 갖도록 함은 물론, 보관하고자 하는 부품의 양과 품목에 따라 보관공간을 스스로 창출하며 완구용 부품을 보관토록 함으로써 창의력을 키운다.

Description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Keeping box for parts of plaything}
본 고안은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완구의 부품을 품목과 기능별로 보관토록 함으로써 청결한 생활공간을 유지하고, 조립식 완구를 갖고 노는 유아나 어린이 스스로 완구의 부품을 기능 및 품목에 따라 분리된 상태에서 스스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정리 정돈의 생활습관을 갖도록 함은 물론, 보관하고자 하는 부품의 양과 품목에 따라 보관공간을 스스로 창출하며 완구용 부품을 보관토록 함으로써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완구는 대개 상품화된 것을 가리키나 오래 전에는 손으로 만든 것들이 많이 쓰였다.
즉, 오래 전에 사용되던 최초의 완구는 자연물이나 집안의 부엌용품을 이용해서 놀이를 즐길 때 이들 도구나 용품 역시 넓은 의미로 완구라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어린이의 놀이 도구를 목적으로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것을 말하고,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예로부터 그 시대상과 민족의 풍습에 따라 착상이나 재료, 제작방법이 약간씩 다른 갖가지의 완구가 만들어져 왔다.
한편, 최근에는 어린이들이 2, 3세 때부터 물건을 늘어놓거나 쌓거나 하며노는데 그러한 창의성향을 높이고 길러주기 위해 토막 쌓기 ·끼어 맞추기 ·그림맞추기(퍼즐) ·점토놀이 ·수수깡으로 여러 모양 만들기 등의 조립놀이가 있으며, 기차 ·자동차 등의 탈것과 건축물 등의 형태를 모방한 끼워 맞추기도 있다.
따라서, 최근에 제안되고 있는 유아용 완구의 대부분은 조립완구이며, 유치원의 놀이교재로도 많이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6세 이상의 아동들을 위해서는 플라스틱 모델 ·모형비행기 ·정교한 전기기관차 등의 조립완구가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그 성격상 조형완구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도 많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아 또는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높여주기 위해 제안되고 있는 완구 중 특히 조립완구는 여러 가지 다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비행기와 차 등 탑승물과 조형물 등을 제작하고, 간단한 기계의 작동원리를 이해하며 응용하도록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졌다.
상기와 같이 시대적인 여건과 흐름에 순응하며 다각적인 시각으로 완구 역시 변모되다보니 자연 단순히 만지고 보고 즐기는 완구의 원초적인 기능을 탈피하여 창의력을 가지고 직접 만들며 체험하는 이른바 DIY(Do It Yourself)완구가 유행처럼 널리 퍼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립식 완구는 개별적으로는 완구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다수의 부품들이 결합되어야만 비로소 완구의 기능을 하다 보니 수많은 부품들과 그 부품들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부재 그리고 결합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드라이버나 스패너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만 완구를 직접 다양하게조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추세에 이르다보니 보통 유아나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많은 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완구들을 비치하여야만 했고, 그러다 보니 그 완구의 부품들이 항상 생활공간을 어지럽히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나 어린이들은 많은 부품들을 이용하여 특정물품을 조립하는 동안은 몰두하게되지만, 그 부품들을 따로 정결하게 정리 정돈하는 습관은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많은 완구용 부품들이 생활공간에 산재하는 일이 비일비재하였고, 결국 그러한 요인에 의해 어지럽혀지는 완구용 부품의 정리는 고스란히 부모의 몫으로 돌아가는 비현실적인 문제점과 부품의 망실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조립식 완구의 부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큰 박스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의력이 산만한 유아나 어린이들이 다시 완구 부품을 가지고 놀 때에는 박스에 담겨진 많은 부품을 전부 쏟아놓은 상태에서 필요한 부품을 다시 찾아서 조립하며 놀게되므로 어릴 때부터 정리 정돈의 생활습관을 길러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런 맥락에 있어서는 다소 소홀했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조립식 완구의 사용 중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립식 완구의 부품을 품목과 기능별로 보관토록 함으로써 청결한 생활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완구를 갖고 노는 유아나 어린이 스스로 완구의 부품을 기능 및 품목에 따라 분리된 상태에서 스스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정리 정돈의 생활습관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완구의 부품을 유아나 어린이 스스로 분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관하고자 하는 부품의 양과 품목에 따라 보관공간을 스스로 창출하며 완구용 부품을 보관토록 함으로써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를 구체적으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품 보관상자의 닫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31;제1,2 수납공간
12;걸림돌기 20;개폐부재
21;걸림부 22;손잡이
23;수납홈 30;보조상자
32;테두리 40;파티션
41;가이드 홈 42;가이드 돌기
50;분리판 51;고정돌기
52;고정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는,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방 상측에 걸림돌기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 일 측에 그 후방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에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가 구비된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 또는 폭방향에 그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손잡이; 및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 내곡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가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는, 상기 개폐부재를 개방시 상기 손잡이의 선단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일치되는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3 실시 예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테두리가 구비된 보조상자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4 실시 예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1 수납공간과 상기 보조상자에 형성된 제2 수납공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적어도 한 개의 파티션이 일체로 고정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5 실시 예는, 상기 제1,2 수납공간의 내측 벽과 마주하는 상기 파티션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다수 배열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사이에는 분리판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6 실시 예는, 상기 분리판의 하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돌기가 일체로 배열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상응하는 상기 제1,2 수납공간의 바닥면에는 고정홈이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부품 보관상자의 전체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전체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는 내부에 제1 수납공간(11)이 형성되며 전방 상측에 걸림돌기(12)가 구비된 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의 후방 일 측에는 개폐부재(20)가 장착된다.
상기 개폐부재(20)는 그 후방 일 측이 본체(10)의 후방 일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에는 상기 걸림돌기(12)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21)가 구비된다. 또 상기 개폐부재(20)의 길이 또는 폭 방향에는 손잡이(22)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0)의 상측에는 상기 손잡이(22)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수납홈(23)이 내곡 형성되며 그 수납홈(23)에 상기 손잡이(22)가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된다.
또 상기 개폐부재(20)는 개방하게되면 상기 손잡이(22)의 선단부가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과 일치되는 일직선상에 위치되며 개폐부재(20)의 개폐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보조상자(30)가 장착되는데, 상기 보조상자(30)는 제2 수납공간(31)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테두리(32)가 외주면 전역에 걸쳐서 구비된다.
상기 보조상자(30)는 개폐부재(20)의 개방시 도 3과 같이 개폐부재(20)에 형성된 공간부에 담겨진 상태에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제1 수납공간(11)과 상기 보조상자(30)에 형성된 제2 수납공간(31)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적어도 한 개의 파티션(40)이 일체로 고정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수납공간(11)(31)의 내측 벽 및 그 내측벽과 마주하는 상기 파티션(40)에는 가이드 홈(41)이 형성된 가이드 돌기(42)가 수직으로 다수 배열되며, 상기 가이드 홈(41)의 사이에는 분리판(50)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판(50)의 하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돌기(51)가 일체로 배열되고, 상기 고정돌기(51)와 상응하는 상기 제1,2 수납공간(11)(31)의 바닥면에는 고정홈(52)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고안의 사용 전 상태는 도 5와 같은 상태가 될 것이다.
이 상태는 본체(10)에 형성된 제1 수납공간(11)과, 본체(10)의 상측에 장착된 보조상자(30)의 제2 수납공간(31)에는 다수의 완구용 부품들이 격리된 상태에서 수용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분리판(50)에 의해 제1,2 수납공간(11)(31)은 크고 작은 다수의 격리된 칸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칸에는 종류별로 또는 품목별로 다수의 완구용 부품들이 격리된 상태로 수용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완구용 부품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20)에 구비된 걸림부(21)를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걸림돌기(12)로부터 이탈시킨 후 개폐부재(20)를 뒤로 완전히 젖히면 개폐부재(20)에 구비된 손잡이(22)는 바닥면에 지지되며 개폐부재(20)의 상측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0)의 상측에 장착된 보조상자(30)를 분리하여 상기 개폐부재(20)에 형성된 공간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사용한다.
또한, 보관하고자 하는 부품들의 크기와 양에 따라 분리판(50)을 분리한 후 그 위치를 변경하며 다른 위치의 가이드 홈(41)에 끼워가며 보조상자(30) 또는 본체(10)에 형성된 제1,2 수납공간(11)(31)의 크기를 조절하며 사용한다.
물론, 분리판(50)을 원하는 위치의 가이드 홈(41)에 끼울 경우 그 하측에 구비된 고정돌기(51)는 본체(10) 또는 보조상자(3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52)에 견고히 지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에 의하면, 조립식 완구의 부품을 품목과 기능별로 보관토록 함으로써 청결한 생활공간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조립식 완구를 갖고 노는 유아나 어린이 스스로 완구의 부품을 기능 및 품목에 따라 분리된 상태에서 스스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정리 정돈의 생활습관을 갖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식 완구의 부품을 유아나 어린이 스스로 분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관하고자 하는 부품의 양과 품목에 따라 보관공간을 스스로 창출하며 완구용 부품을 보관토록 함으로써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6)

  1.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방 상측에 걸림돌기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 일 측에 그 후방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에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가 구비된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 또는 폭방향에 그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손잡이; 및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 내곡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가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를 개방시 상기 손잡이의 선단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일치되는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테두리가 구비된 보조상자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1 수납공간과 제2 수납공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적어도 한 개의 파티션이 일체로 고정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수납공간의 내측 벽과 마주하는 상기 파티션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다수 배열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사이에는 분리판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하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돌기가 일체로 배열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상응하는 상기 제1,2 수납공간의 바닥면에는 고정홈이 배열된 것을 포함하는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KR20-2003-0001115U 2003-01-14 2003-01-14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KR200328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115U KR200328311Y1 (ko) 2003-01-14 2003-01-14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115U KR200328311Y1 (ko) 2003-01-14 2003-01-14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311Y1 true KR200328311Y1 (ko) 2003-09-29

Family

ID=4941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115U KR200328311Y1 (ko) 2003-01-14 2003-01-14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3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8423A (en) Child's toy tool cabinet
US6044973A (en) Case with split panels
US4394055A (en) Cabinet for video game consoles, cartridges, accessories, and instruction booklets
US20070187290A1 (en) Combined container, activity tray and mailer
USD455550S1 (en) Round jewel box
US10967499B2 (en) Tilt bin for use in a tilt bin storage system
US3400485A (en) Combination doll house and toy chest
US20140332527A1 (en) Lunch box
KR200328311Y1 (ko)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
US7037165B2 (en) Container for holding component parts of a construction toy
USD952344S1 (en) Storage box
US6056148A (en) Toy box
CN108725942A (zh) 一种储物盒
JP2004051221A (ja) 組み立て可能なプラスチックケース及び小物入れとして利用可能なプラスチックブロック玩具
USD521377S1 (en) Combined storage and display container for a toy car
KR200344002Y1 (ko) 멀티박스
JPH09226772A (ja) 容器の中仕切構造
JP3225163U (ja) 箱体
CA108041S (en) Storage container
CA2402788C (en) Case with split panels
USD454923S1 (en) Play box for a child
CN214436502U (zh) 一种基于儿童语意启蒙认知玩具
USD1019807S1 (en) Construction toy box
JP2004218864A (ja) 冷蔵庫
JP3152621U (ja) 包装用把手付組立紙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