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236Y1 -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 - Google Patents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236Y1
KR200328236Y1 KR20-2003-0019959U KR20030019959U KR200328236Y1 KR 200328236 Y1 KR200328236 Y1 KR 200328236Y1 KR 20030019959 U KR20030019959 U KR 20030019959U KR 200328236 Y1 KR200328236 Y1 KR 200328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lor
identification
facil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용
하상록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9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를 제공한다. 이 배관설비의 각 배관은 화학물질에 따라 고유의 색상으로 구별되어 있어 식별이 가능하다. 배관의 교체 및 수리작업 시 배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관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연장되되, 상기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배관의 결합부에는 색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PIPE ARRANGEMENT HAVING A DISCRIMINATION}
본 고안은 각종 화학물질을 운반하는 배관설비에 관한 것으로써, 운반되는 화학물질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에 관한 것이다.
유체 또는 기체인 각종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생산공장에서 발생하는 사고 중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화학물질의 확인 또는 구분이 안된 상태에서 배관의 교체 또는 수리작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비중에 매우 높다. 생산공장에는 화학물질들을 각종 설비에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일정간격을 배관에 식별표기를 함으로써 배관을 통해 운반되는 화학물질을 식별한다. 그러나, 다수의 배관이 설치된 설비에서 상기 식별표기로 부터 거리가 멀어질 수록 인접한 배관과의 식별성이 낮아지고, 특히 배관이 시야로부터 가려진 부분을 통과한 경우에는 식별성이 더욱 더 낮아진다.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로, 생산공장에서는 배관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시 부주의로 인하여 주변환경이나 인체에 치명적인 화학물질이 운반되는 배관을 절단하였을 경우 매우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배관설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운반되는 화학물질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별성을 가짐과 동시에 배관의 교체 및 수리작업이 용이한 배관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배관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배관설비의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은 고유의 색상으로 구별된 배관설비에 의해 달성되어질 수 있다.
이 배관설비의 각 배관은 화학물질에 따라 고유의 색상으로 구별되어 있어 식별이 가능하다. 배관의 교체 및 수리작업 시 배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관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연장되되, 상기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배관의 결합부에는 색상이 표시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배관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설비는 각종 화학물질을 운반하는 복수개의 배관들(10)을 구비하고 있다. 각 배관은 고유의 색상으로 구별되어 있어 식별이 가능하다. 상기 색상은 통상적인 배관설비에 사용되는 배관에 컬러테이프를 이용하여 구분하거나, 필요에 따라 도료 등을 사용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배관의 색상은 계통별 구분되도록 지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화학물질별로 지정하거나, 위험도 또는 용도에 따라 지정할 수도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배관이 설비(20) 또는 배관 고정대(22) 등의 시야를 가리는 부분을 통과하더라도 식별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배관설비의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된 배관설비는 배관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배관은 체결구(14)에 의해 결합되어 연장되거나, 단위 배관이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배관의 교체 및 수리작업시 상기 체결구(14)에 결합된 부위(12)를 해체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는데, 이 때 배관이 체결구(14)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구(14)에 결합되는 배관의 결합부(12)에는 색상이 표시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화학물질이 운반되는 배관설비에서 각 배관의 색상을 구별함으로써 각 배관을 통해 운반되는 화학물질을 계통별로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의 식별이 안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각종 화학물질을 이송하는 배관설비에 있어서, 각 배관은 화학물질에 따라 고유의 색상으로 구별되어 있어 식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
  2. 제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관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연장되되,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배관의 결합부에는 색상이 표시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설비
KR20-2003-0019959U 2003-06-24 2003-06-24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 KR200328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59U KR200328236Y1 (ko) 2003-06-24 2003-06-24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59U KR200328236Y1 (ko) 2003-06-24 2003-06-24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236Y1 true KR200328236Y1 (ko) 2003-09-26

Family

ID=4933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959U KR200328236Y1 (ko) 2003-06-24 2003-06-24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2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02B1 (ko) * 2005-08-09 2008-01-08 정근석 일렉트렛, 그 제조방법 및 콘덴서 마이크로폰
KR102324831B1 (ko) * 2021-04-28 2021-11-09 전영복 하부 천공용 지열 배관을 위한 밀폐 소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02B1 (ko) * 2005-08-09 2008-01-08 정근석 일렉트렛, 그 제조방법 및 콘덴서 마이크로폰
KR102324831B1 (ko) * 2021-04-28 2021-11-09 전영복 하부 천공용 지열 배관을 위한 밀폐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717B1 (en) Flushing system for air conditioning drainage pipes
US20080189995A1 (en) Labeler for pipes, conduits, tubes and rods
US20210248929A1 (en) Color Coding System for PVC Pipes and Couplings
ATE369646T1 (de) Modulare schottung zur dichten durchführung von kabeln und rohrleitungen durch bauteile aller art (mit nachweisbarer dichte)
WO2006107461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teral pipe identification
KR200328236Y1 (ko) 식별성을 갖는 배관설비
EP1145807A3 (de) Roboter mit aussenseitig verlaufendem Schutzschlauch
DE29608292U1 (de) Vorrichtung zur Verbindung von Rohren o.dgl. rohrförmigen Armaturenteilen mit einer Armatur für fluide Medien
CN101651311B (zh) 快速测距穿线器
KR101421277B1 (ko) 체결 장치
ATE81900T1 (de) Vorrichtung zum kuppeln von zwei koaxialen rohren.
ATE228173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dentifizieren einer markierung
KR100478754B1 (ko) 수지제 배관 접속 체결관
ATE345462T1 (d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einer leitung oder dergleichen durch ein bauelement
DE502005011118D1 (de) Endverschluss für Kabel und Rohre
JPS60168558A (ja) 切断用耐漏水性高圧高速ジエツトノズル装置
US5772256A (en) Pipe support system
DE9310106U1 (de) An einem Versorgungskabel angebrachte Vorrichtung zur Untersuchung von zur direkten augenscheinlichen Betrachtung unzugänglichen Hohlräumen, z.B. Rohre und Brunnen
JP4353835B2 (ja) 管継手の耐圧試験装置
JP3058674U (ja) 小口径配管用識別装置
Wirani et al. Investigating Marking Mistake on Piping Installation to Avoid Accidents, Injuries, and Damage of Equipment Using Root Cause Analysis Techniques
AU2016100087A4 (en) Pipe marker
JP4709681B2 (ja) シーリングプレート
BR0215409A (pt) Dispositivo de rotulagem
DE29801396U1 (de) Verbindung für Rohrleitungssysteme zum Transport gasförmiger Medien, insbesondere Schlauchverbi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