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177Y1 - 핸드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핸드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177Y1
KR200328177Y1 KR20-2003-0015708U KR20030015708U KR200328177Y1 KR 200328177 Y1 KR200328177 Y1 KR 200328177Y1 KR 20030015708 U KR20030015708 U KR 20030015708U KR 200328177 Y1 KR200328177 Y1 KR 200328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hand
hand dryer
fragrance
fragran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식
오준택
황병대
Original Assignee
(주)스페이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페이스링크 filed Critical (주)스페이스링크
Priority to KR20-2003-0015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 건조를 위한 열풍 배출시 향기가 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 건조시 상쾌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핸드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본체내에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풍장치를 구비함과 더불어 이 열풍장치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드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는 열풍장치 주변에 향기 물질이 보관되는 향기물질 수납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향기물질 수납통은 향기물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수납몸체와, 이 수납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수납몸체에 보관된 향기물질의 향기를 수납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향기 배출홀이 형성된 수납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 드라이어{Hand Dryer}
본 고안은 손 건조를 위한 열풍 배출시 향기가 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 건조시 상쾌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핸드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세면을 하거나 손을 씻게 된다. 손은 하루에도 수 회 씻게 되며, 손을 씻은 후에는 수건을 이용하여 손에 묻은 물기를 닦아주게 된다.
한편, 일반 건물이나 공공기관등에 설치된 공공화장실의 경우에는 손을 씻은 후 사용자의 손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이타월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이타월은 일회용이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많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최근 공공화장실에는 손이 감지되면 열풍이 발생되어 손을 건조시키도록 된 핸드 드라이어가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핸드 드라이어는 일반적으로 모터에 결합된 팬을 회전시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 후, 이 외부공기를 소정 온도로 상승시켜 배출하는 열풍장치를 본체 내에 설치하고, 본체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공공화장실등에 핸드 드라이어가 설치되는 경우 핸드 드라이어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이 청결하지 못하게 되면, 사용자는 손을 씻고은 후 핸드 드라이어를 이용함에 있어 불쾌감에 사로잡힐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풍을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때에 소정 향기를 함께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상쾌한 기분으로 핸드 드라이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된 핸드 드라이어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외관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핸드 드라이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열풍발생수단(2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2에 도시된 제어모듈(3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수납통(40)의 외관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도5에 도시된 수납통(40)의 분리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7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핸드 드라이어 외관 형상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본체, 20 : 덕트,
30 : 제어모듈, 40 : 수납통,
41 : 배출홀, 401 : 단턱,
402 : 수납몸체, 403 : 수납덮개,
50 : 에어필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본체내에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풍장치를 구비함과 더불어 이 열풍장치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드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는 열풍장치 주변에 향기 물질이 보관되는 향기물질 수납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향기물질 수납통은 향기물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수납몸체와, 이 수납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수납몸체에 보관된 향기물질의 향기를 수납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향기 배출홀이 형성된 수납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하면 핸드 드라이어에서 향기와 함께 열풍을 배출하여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핸드 드라이어 이용시 항상 상쾌한 기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본체(10)와, 이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면서 소정의 열풍을 발생시키는 덕트(20) 및, 핸드 드라이어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상측 중앙부분에는 사용자의 손을 투입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를 갖는 손 투입부(11)가 형성되고, 이 손 투입부(11)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101,102)에는 노즐(12)과 센서(13) 및 표시수단(14)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투입부(11)의 하면은 경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경사 하측에는 손 투입부(11)에 떨어진 물을 배출하기 위한 홀(11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12)은 덕트(20)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로 형성되면서 본체(10)의 가로방향으로 일렬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노즐(12)은 손투입부(11)를 향하도록 제1 돌출부(101)에 형성된 제1 노즐(121)과 제2 돌출부(102)에 형성된 제2 노즐(122)로 구성되어 손 투입부(11)에 투입된 사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으로 열풍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서(13)는 손 투입부(11)로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 돌출부(101)에 적외선 송신부(131)가 설치되고 제2 돌출부(102)에는 적외선 수신부(132)가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부(131)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적외선 수신부(132)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14)은 핸드 드라이어의 열풍 배출 잔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다수의 LED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수단(14)은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전원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2에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덕트(20)는 "Y"자 형상이면서 그 내부가 중공 형성되는 몸체(21)와, 이 몸체(21)의 하측에 설치되면서 외부 공기를 소정 온도로 가열시켜 열풍을 생성하도록 된 열풍발생수단(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의 상단은 양측으로 분리되는 형상으로 되어 제1 상측부(211)의 일측은 제1 돌출부(101)에 형성된 제1 노즐(121)과 연결되고, 제2 상측부(212)의 일측은 제2 돌출부(102)에 형성된 제2 노즐(122)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열풍발생수단(22)은 몸체(21)의 최하단에 설치되는 팬(221)과, 팬(221)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팬(221)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22) 및, 모터(222)의 상단에 설치되어 열풍 발생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음덮개(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222)는 지지대(224)에 의해 몸체(21)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방음덮개(22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원형판(223a,223b)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원형판(223a,223b)에는 다수의 홀(H)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원형판(223a)과 제2 원형판(223b)은 홀(H)의 위치가 상호 대향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몸체(21)내에 설치됨으로써, 팬(221)의 회전에 의해 모터(222)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열풍의 경로를 강제 회전시켜 열풍의 이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상기 팬(221)과 모터(222)는 원통형의 고정체(225) 내에 삽입된 형태로 몸체(21)내에 취부된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모듈(30)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3)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센서구동블럭(31)과, 센서구동블럭(31)으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근거로 모터(222)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모터구동블럭(32), 표시수단(14)의 표시제어를 위한 표시제어블럭(33) 및, 각 장치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제어블럭(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구동블럭(31)은 적외선수신부(132)로부터 예컨대 하이레벨의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손이 손 투입부(11)에 투입되었다고 판단하여, 소정의 동작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블럭(32)과 표시제어블럭(33) 및 전원제어블럭(34)로 송출함과 더불어, 하이레벨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외선수신부(132)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구동중지신호를 모터구동블럭(32)과 표시제어블럭(33)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모터구동블럭(32)은 센서구동블럭(31)으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제어신호를 근거로 모터(222)를 구동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구동블럭(32)은 모터(222)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구동블럭(31)으로부터 구동중지신호가 인가되면 모터(222)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표시제어블럭(33)은 상기 센서구동블럭(31)으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제어신호를 근거로 표시수단(14)을 발광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표시수단(14)은 다수의 LED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제어블럭(33)은 동작제어신호 수신을 근거로다수의 LED를 모두 발광구동시킨 후, 1 ~ 1.5초 간격으로 LED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단에 소정의 수납통(40)이 슬라이딩 체결되어 본체(1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납통(40)은 소정의 향기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덕트(20)의 하단에 위치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키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의 하면에 소정의 공기유입구(H)가 형성되어 구성되므로, 상기 수납통(40)은 덕트(20), 더욱 상세히 말하면 팬(221)의 하단에 위치시키되 공기유입구(H)를 막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수납통(4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H)가 위치하는 부분이 관통되도록 "U"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납통(40) 내부에 마련된 향기 물질에서 발생되는 향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소정의 배출홀(4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통(40)에 마련되는 향기 물질은 액체나 고체 상태의 소모성 물질로서 주기적으로 교체해 줄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수납통(4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 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소정 공간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측에는 단턱(401)이 형성되는 수납몸체(40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41)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수납몸체(402)의 상측에 형성된 단턱(401)에 의해 지지되어 수납몸체(402)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수납덮개(403)로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투입부(11)의 하면에 물배출을 위한 홀(111)이 형성되므로, 상기 수납몸체(402)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11)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보관하기 위한 물 수납부(402a)와 향기물질을 수납하기 위한 향기물질 수납부(402b)로 분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덮개(403)에는 물배출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물수납홀(412)과, 향기 배출을 위한 향기 배출홀(411)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된 공기유입구(H)의 상측에 외부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에어필터(50)가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불순물질에 의해 덕트(20)에 설치된 모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손 투입부(11)에 손을 투입하게 되면 센서(13)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모듈(30)로 제공하고, 제어모듈(30)은 이를 근거로 모터(222)를 구동시키게 된다.
모터(222)가 구동하게 되면, 모터(222)의 하측에 결합된 팬(221)이 강회전하여 팬(221) 중심부를 진공 상태가 된다. 팬(221) 중심부가 진공상태로 되면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해 외부 공기가 팬(221)을 통해 모터(222) 및 방음덮개(223)를 경유하여 노즐(12)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팬(221)의 회전에 따른 외부 공기 유입시 수납통(40)의 배출홀(41)로부터 배출되는 향기물질의 향기가 외부 공기와 함께 덕트(20) 내부로 유입되어 노즐(12)을 통해 향기나는 열풍이 배출되게 된다. 즉, 덕트(2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모터(222)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된 후 향기와 섞여 노즐(12)을 통해 손 투입부(11)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제어모듈(30)은 모터(222)를 구동시킴과 더불어 표시수단(14)을 통해 현재 핸드 드라이어의 구동 잔여시간을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손투입부로 열풍을 배출함에 있어, 향기물질에서 배출되는 향기와 외부공기를 소정 온도로 상승시킨 열풍이 손투입부를 향해 함께 배출되도록 된 핸드 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드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향기로 인해 핸드 드라이어 이용시 항상 상쾌한 기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손을 투입하도록 구성된 형태의 핸드 드라이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열풍을 배출하도록 된 다양한 형태의 핸드 드라이어,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하측으로 열풍이 배출되도록 된 형태의 핸드 드라이어(1)에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핸드 드라이어에서 향기와 함께 열풍을 배출하여 사용자의 손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핸드 드라이어 이용시 항상 상쾌한 기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본체내에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풍장치를 구비함과 더불어 이 열풍장치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드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는 열풍장치 주변에 향기 물질이 보관되는 향기물질 수납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향기물질 수납통은 향기물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수납몸체와, 이 수납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수납몸체에 보관된 향기물질의 향기를 수납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향기 배출홀이 형성된 수납덮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물질 수납통은 본체와 슬라이딩 체결되어 착탈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라이어.
KR20-2003-0015708U 2003-05-21 2003-05-21 핸드 드라이어 KR200328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708U KR200328177Y1 (ko) 2003-05-21 2003-05-21 핸드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708U KR200328177Y1 (ko) 2003-05-21 2003-05-21 핸드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177Y1 true KR200328177Y1 (ko) 2003-09-26

Family

ID=4941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708U KR200328177Y1 (ko) 2003-05-21 2003-05-21 핸드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1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3568B (zh) 电动皂液分配器
KR100795207B1 (ko) 자동 신발청소기 겸용 수납장
KR100511691B1 (ko) 원적외선 신발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신발장
GB2434195A (en) Drying apparatus with a liquid dispersal system utilising a high frequency agitator
JP5936482B2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便座装置
JP2016529954A (ja) 身体乾燥機
JP6099219B2 (ja) イオン発生装置を組み込んだ便座装置
KR200328177Y1 (ko) 핸드 드라이어
KR200403752Y1 (ko) 살균 핸드 드라이어
JP2002345682A (ja) 手乾燥装置
KR100544413B1 (ko) 핸드 드라이어
JPH10328072A (ja) 温風乾燥機
KR102453232B1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수건걸이
KR200419923Y1 (ko) 저소음 핸드 드라이어
KR200328192Y1 (ko) 핸드 드라이어
JP6099233B1 (ja) イオン発生装置
JPH1176099A (ja) 手乾燥装置
JP4257691B2 (ja) トイレ室
KR200431852Y1 (ko) 1:1 광고 핸드 드라이어
JP2007138399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JP2007185221A (ja) 乾燥装置
JP5747161B2 (ja) 手乾燥装置
KR20120061363A (ko) 다용도 복합건조기
KR200473150Y1 (ko) 핸드 드라이어
KR100515569B1 (ko) 발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