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819Y1 -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 Google Patents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819Y1
KR200327819Y1 KR20-2003-0022366U KR20030022366U KR200327819Y1 KR 200327819 Y1 KR200327819 Y1 KR 200327819Y1 KR 20030022366 U KR20030022366 U KR 20030022366U KR 200327819 Y1 KR200327819 Y1 KR 200327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discharge pipe
rotary door
wat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2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8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8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6Overfill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수 담수화 설비에서 생산된 음용수(Potable Water)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에 있어서, 저장 탱크에 음용수가 과도하게 충진되는 경우, 과충진된 음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저장 탱크 일측에 설치되는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Potable Water)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Over Flow) 노즐(Nozzle)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는, 저장 탱크(10) 내부에 과도하게 충진되는 물을 저장 탱크(10)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 탱크(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노즐(22)을 포함하는 오버플로우 노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노즐(22)에 연결되어서 상기 저장 탱크(10) 외부로 하향 연장되는 배출관(30)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30)의 단부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굴곡되어 그의 단부에 경사면(3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2)의 상측에 회전 도어(50)를 힌지(60)를 통해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 도어(50)가 그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힌지(60)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어 상기 배출관(30)의 경사면(32)을 닫고, 상기 저장 탱크(10)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이 물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힌지(60)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회전 도어가 힌지를 통하여 배출관의 단부를 자중에 의하여 막고 있으므로, 오버플로우의 고유 기능인 상시 개방되어 있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탱크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품질의 음용수를 공급하여 후속 공정에서의 양질의 수질 유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출관 단부가 수평하게 굴곡된 상태로 구성됨과 아울러, 회전 도어의 자중에 의한 완충효과에 의해 배출관 출구에서의 물 배출 속도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바닥이 훼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Over flow nozzle apparatus of Potable Water storage tank in desalination equipment}
본 고안은, 해수 담수화 설비에서 생산된 음용수(Potable Water)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에 있어서, 저장 탱크에 음용수가 과도하게 충진되는 경우, 과충진된 음용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저장 탱크 일측에 설치되는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Potable Water)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Over Flow) 노즐(Nozzle)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 담수화 설비의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물(음용수)은 최종 수용가에게 송수하기 이전에 일정한 용적을 가지는 저장 탱크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공급 펌프를 가동하여 수용가에 송수하는 체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저장 탱크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펌프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일정 수위까지 충진시키게 되는데, 펌프의 이상 작동이나 수동 작동시 운전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물이 저장 탱크의 설계 높이 이상으로 과충진되는 경우가 있다.
만일 물이 저장 탱크에 과도하게 충진되면 저장 탱크가 파손되는 문제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탱크(10)의 일측에 오버플로우 노즐 장치(20)를 설치하여 저장 탱크(10)내에 물이 과충진 될 때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노즐 장치(20)는, 저장 탱크(10)의 상부측에 오버플로우 노즐(22)을 설치하고, 이 오버플로우 노즐(22)에 배출관(24)을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관(24)은 지지부재(26)에 의하여 저장 탱크(10)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오버플로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노즐(22) 및 배출관(24)은, 상기 저장 탱크(10) 내에 물이 과충진될 여유 없이 즉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장 탱크(10)의 수위에 관계 없이 상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오버플로우 노즐 장치(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 저장 탱크(10) 내부가 오버플로우 노즐 장치(20)를 통하여 항상 외부와 연통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공기중의 미세하고 가벼운 이물질이 저장 탱크 내부로 유입되어 물을 오염시킴으로써 음용수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배출펌프(도시생략)를 작동하여 저장 탱크(10)로부터 수용가측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저장 탱크(10) 내부에 부압(負壓)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부압에 의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 더욱 가속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오버플로우 노즐 장치(20)에 있어서는, 배출관(24)이 수직하방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넘쳐 나오는 물이 수직 낙하하여 바닥을 파손시키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오버플로우 노즐 장치를 통해 저장 탱크 내부로 공기중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품질의 음용수를 공급함으로써 후속공정에서도 양질의 수질이 유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배출수의 낙하에 의하여 바닥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 도어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 탱크 22 : 오버플로우 노즐
30 : 배출관 32 : 경사면
50 : 회전 도어 60 : 힌지
70 : 밀착판 80 : 플랜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는, 저장 탱크 내부에 과도하게 충진되는 물을 저장 탱크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 탱크의 일측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노즐을 포함하는 오버플로우 노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노즐에 연결되어서 상기 저장 탱크 외부로 하향 연장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되, 이 배출관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굴곡시켜 그의 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경사면의 상측에 회전 도어를 힌지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회전 도어가 자중에 의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어 상기 배출관의 경사면을 닫고, 저장 탱크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이 물의 압력에 의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의 경사면에는 상기 회전 도어가 닫히는 경우의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밀봉을 위한 밀착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의 경사면에는 상기 회전 도어의 넓이에 대응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의 상측에 상기 개폐도어를 힌지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기 배출관의 경사면에는 상기 회전 도어의 넓이에 대응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의 상측에 상기 회전 도어를 힌지시켜 구성하며,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회전 도어가 닫히는 경우의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밀봉을 위한 밀착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는, 저장 탱크(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노즐(22)과, 이 오버플로우 노즐(22)에 연결되어 저장 탱크(10) 외부로 하향 연장되는 배출관(3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관(30)은 그의 단부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굴곡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며, 굴곡된 단부에는 경사면(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30)의 경사면(32)에는 회전 도어(50)가 설치된다. 이 회전 도어(50)는 그의 상측이 상기 경사면 상측에 힌지(60)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힌지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회전 도어(50)는 그의 자중에 의하여 하향 회동되어 상기 경사면(32)에 밀착됨으로써 배출관(30)이 자동적으로 닫혀지며, 저장 탱크(10)에 물이 과충진되어 배출관(30)을 통하여 흘러나오는 경우에는 배출되는물의 압력에 의하여 밀어올려져 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관(30)의 경사면(32)에는 상기 회전 도어(50)가 닫히는 경우의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밀봉을 위하여 밀착판(7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의 밀착판(70)은 러버(Rubber)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러버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판(70)은 설치의 용이성과 보호를 위하여 플랜지(80)에 취부된다. 상기 플랜지(80)는 상기 회전 도어(50)의 넓이에 대응하는 넓이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회전 도어(50)의 힌지(60)는 상기 플랜지(80)에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80)와 밀착판(70)은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80)와 밀착판(70)을 병행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별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밀착판(7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50)에는 관리자가 열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있어서, 저장 탱크(10)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회전 도어(50)가 그의 자중에 의하여 힌지(60)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어 배출관(30)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80)의 밀착판(70)에 밀착되어 배출관(30)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만일, 상기 저장 탱크(10)에 물이 오버플로우 노즐(22)을 넘어 과도하게 충진되면, 오버플로우 노즐(22)과 배출관(30)을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관(30)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배출관(30)의 수직 낙차에 의하여 회전 도어(50)를 밀어 올리고, 회전 도어(50)는 힌지(60)를 기준으로 상향회동하게 되어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한, 배출되는 물은 배출관(30)의 단부에서 상기 회전 도어(50)에 부딪혀 감속된 상태로 바닥에 떨어짐으로써 바닥 부분의 훼손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 도어가 힌지를 통하여 배출관의 단부를 자중에 의하여 막고 있으므로, 오버플로우의 고유 기능인 상시 개방되어 있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탱크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품질의 음용수를 공급하여 후속 공정에서의 양질의 수질 유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출관 단부가 수평하게 굴곡된 상태로 구성됨과 아울러, 회전 도어의 자중에 의한 완충효과에 의해 배출관 출구에서의 물 배출 속도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바닥이 훼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저장 탱크(10) 내부에 과도하게 충진되는 물을 저장 탱크(10)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 탱크(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노즐(22)을 포함하는 오버플로우 노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노즐(22)에 연결되어서 상기 저장 탱크(10) 외부로 하향 연장되는 배출관(30)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30)의 단부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굴곡되어 그의 단부에 경사면(3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2)의 상측에 회전 도어(50)를 힌지(60)를 통해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 도어(50)가 그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힌지(60)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어 상기 배출관(30)의 경사면(32)을 닫고, 상기 저장 탱크(10)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이 물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힌지(60)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30)의 경사면(32)에는 상기 회전 도어(50)가 닫히는 경우의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회전 도어(50)와의 밀봉을 위한 밀착판(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30)의 경사면(32)에는 상기 회전 도어(50)의 넓이에 대응하는 플랜지(80)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80)의 상측에 상기 회전 도어(50)의 힌지(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30)의 경사면(32)에는 상기 회전 도어(50)의 넓이에 대응하는 플랜지(80)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80)의 상측에 상기 회전 도어(50)의 힌지(60)를 구성하며, 상기 플랜지(80)에는 상기 회전 도어(50)가 닫히는 경우의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밀봉을 위한 밀착판(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KR20-2003-0022366U 2003-07-11 2003-07-11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KR200327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366U KR200327819Y1 (ko) 2003-07-11 2003-07-11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366U KR200327819Y1 (ko) 2003-07-11 2003-07-11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819Y1 true KR200327819Y1 (ko) 2003-09-22

Family

ID=4933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366U KR200327819Y1 (ko) 2003-07-11 2003-07-11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8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574B1 (ko) * 2010-06-11 2012-05-11 이광무 배출량 제어가 가능한 액체용기
CN109335365A (zh) * 2018-11-23 2019-02-15 三汽车制造有限公司 液体容器与消防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574B1 (ko) * 2010-06-11 2012-05-11 이광무 배출량 제어가 가능한 액체용기
CN109335365A (zh) * 2018-11-23 2019-02-15 三汽车制造有限公司 液体容器与消防车
CN109335365B (zh) * 2018-11-23 2024-05-07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液体容器与消防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7819Y1 (ko) 담수화 설비의 음용수 저장 탱크의 오버 플로우 노즐 장치
KR200478119Y1 (ko) 빗물 겸용 물탱크
JP5189026B2 (ja) レバー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102026893B1 (ko) 수중 이물질 파쇄장치
JP6262572B2 (ja) ミスト発生装置
CN110345699A (zh) 一种制冷机冷凝水回收利用装置
JP2011000348A (ja) 洗濯機
CN112944018B (zh) 一种预防弥合性水击排气阀
KR100884730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257526Y1 (ko) 저수물통
KR200198704Y1 (ko) 침전조용 스컴 배출장치
CN209081524U (zh) 一种新型滗水装置
JP4283700B2 (ja) ディスポーザ
KR100902279B1 (ko) 밸브 개폐 장치
US6119885A (en) Tank for storing liquid products
KR102190506B1 (ko) 고로용 수질 측정 장치
KR100854563B1 (ko)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CN217057918U (zh) 一种移动空调的水箱装置及移动空调
KR200319863Y1 (ko) 슬러지 고착 방지장치
CN213535968U (zh) 便于清洗的储奶仓
CN211472802U (zh) 一种雨污水分流的设备
CN113136688B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BE1028579B1 (nl) Uitpompinrichting voor een watertank
CN214574506U (zh) 一种新型地漏
CN211411154U (zh) 水处理装置及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