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797Y1 - 통기성을 갖는 의류 - Google Patents

통기성을 갖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797Y1
KR200327797Y1 KR20-2003-0021703U KR20030021703U KR200327797Y1 KR 200327797 Y1 KR200327797 Y1 KR 200327797Y1 KR 20030021703 U KR20030021703 U KR 20030021703U KR 200327797 Y1 KR200327797 Y1 KR 200327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arment
cool air
clothing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순만
Original Assignee
성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순만 filed Critical 성순만
Priority to KR20-2003-0021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7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Abstract

본 고안은 통기성을 갖는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풍구가 조밀하게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튜브를 의류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시키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통풍구에 실을 통과시켜서 의류의 내면 최상단과 최하단에 고정설치하며, 상기 튜브의 입구측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과, 상기 튜브와 송풍수단 사이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세균을 정화하는 정화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는 신체의 어느 부위에 관계없이 시원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서 더운 여름날 착용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계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신체의 특정부위에 욕창이나 땀띠가 난 사람이 착용하면 더더욱 좋은 의류이다. 그리고 더운 여름날이나 또는 추운 겨울날 두꺼운 옷을 입었을 때 신체에서 발생되는 땀으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를 통풍구로 들어오는 시원한 공기로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생적이며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며, 특히 정화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의류에 정화된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이다.

Description

통기성을 갖는 의류{The dress have ventilation function}
본 고안은 통기성을 갖는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풍구가 조밀하게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튜브를 의류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시키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통풍구에 실을 통과시켜서 의류의 내면 최상단과 최하단에 고정설치하며, 상기 튜브의 입구측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과, 상기 튜브와 송풍수단 사이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세균을 정화하는 정화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통기성은 갖는 의류는 도 1a의 종래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정면도와 도 1b의 종래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인의 신체부위에서 통상적으로 땀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 즉,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부근에 조밀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통풍구나 크게 형성된 통풍구 또는 망사로 된 통풍천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는 신체의 특정부위에만 시원한 공기를 제공하여 시원한 공기가 공급되는 부위에 대해서만 쾌적함과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신체의 다른 부위 즉, 겨드랑이나 사타구니를 제외한 다른 부위에 난 욕창이나 땀띠에 대해서는 시원한 공기를 제공하지 못함으로 인해 그 사용 용도가 국한 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신체의 특정부위에만 시원한 공기가 공급됨으로 인해 시원한 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부위와 온도차이가 많이 발생하여 신체적 이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는 여름철보다 신체의 모든 부분에 대하여 두꺼운 의류를 감싸게 됨으로 인해 더더욱 위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계절에 관계없이 또한 신체의 특정부위에 관계없이 신체의 어느 부분에 대해서도 시원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통기성을 갖는 의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하여 의류의 상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의류의 하의에 대해서도 본 고안의 상의의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통풍구가 조밀하게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튜브를 의류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시키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통풍구에 실을 통과시켜서 의류의 상의 내면 최상단과 최하단에 고정설치하며, 상기 튜브의 입구측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과, 상기 튜브와 송풍수단 사이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세균을 정화하는 정화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의류 상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정면도.
도 1b는 또 다른 종래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내면을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내면을 나타낸 또 다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튜브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내면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도 6의 A-A′선의 단면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3: 통풍구 2: 튜브
3,12: 의류 4: 실
5,16: 송풍수단 6,17: 공급 튜브
7,18: 정화수단 10: 방수피복
11: 천 14: 관로
15: 공급 관로
본 고안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구성은 통상적인 의류와, 상기 의류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통풍구가 조밀하게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튜브와, 상기 의류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튜브의 통풍구에 삽입 통과되어 의류의 하단부에 고정설치 되는 실과, 상기 튜브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과, 상기 튜브와 송풍수단 사이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세균을 정화하는 정화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의 출구측과 정화수단의 입구측과 연결되고 상기 정화수단의 출구측과 연결되어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공급 튜브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구성은, 외측은 방수피복으로 되어 있고 내측은 천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의류와, 상기 내측에 구비된 천 위에 조밀하게 통풍구를 갖는 천으로 형성된 관로와, 상기 천으로 형성된 관로의 일측에 형성된 공급 관로와, 상기 공급 관로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과, 상기 공급 관로와 송풍수단 사이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세균을 정화하는 정화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의 출구측과 정화수단의 입구측과 연결되고 상기 정화수단의 출구측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 관로와 연결되는 공급 튜브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2는 본 고안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내면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통풍구(1)가 조밀하게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튜브(2)를 의류(3)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시키되 상기 통풍구(1)에 실(4)을 통과시켜서 의류(3)의 내면 최상단과 최하단에 고정설치 하여 상기 튜브(2)의 입구측에 정화수단(7)에 의하여 정화된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5)을 구비하여서 된 통기성을 갖는 의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송풍수단(5)에서 공급되는 시원한 공기는 정화수단(7)에 의하여 정화되어 공급 튜브(6)를 거쳐 조밀하게 형성된 튜브(2)의 통풍구(1)를 통하여 분사된다. 이 때 통풍구(1)에 삽입 관통된 실(4)을 따라 시원한 공기는 신체의 각부위로 신속하게 전달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내면을 나타낸 또 다른 상태도로서, 상기 도 3과 같이 통풍구(1)가 조밀하게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튜브(2)를 의류(3)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서, 신체의 각부위에 시원한 공기가 공급되는 원리는 도 3과 같으나 신체의 여러 부위에 더욱더 신속하게 시원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튜브의 일부 절단 사시도로서, 튜브(2)의 모양은 원형이거나 플레이트(plate) 판 모양이거나 어떤 모양으로 하든지 관계없이 튜브(2)에 형성된 통풍구(1)를 통하여 시원한 공기가 원활하게 신체의 여러부위에 공급될 수 있으면 된다. 그리고 통풍구(1)에 삽입되어 관통된 실(4) 또한 2~4가닥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사용자의 취향과 시원한 공기의 전달 속도를 달리할 경우에는 실의 가닥수를 달리할 수도 있다.
상기 튜브(2)에 형성된 통풍구(1)의 크기는 0.5 ~ 2mm로 형성되고, 상기 통풍구(1)의 간격은 3mm ~ 10mm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사용 용도에 따라서 달리할 수 도 있다.
상기 통풍구(1)가 조밀하게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튜브(2)를 의류(3)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 구비할 때 상기 각각의 튜브(2)를 공급 튜브(6)와 병렬로 연결하여 송풍수단(5)에서 공급되는 시원한 공기가 신체의 각 부위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4에서는 본 고안의 통기성을 갖는 의류를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하여 의류의 내주면에 구비된 튜브(2)와 공급 튜브(6)를 감싸는 천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통기성을 갖는 의류의 내면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의 단면에 대한 사시도로서, 외측은 방수피복(10)으로 되어 있고 내측은 천(11)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의류(12)와, 상기 내측에 구비된 천(11) 위에 조밀하게 통풍구(13)를 갖는 천으로 형성된 관로(14)와, 상기 천으로형성된 관로(14)의 일측에 형성된 공급 관로(15)와, 상기 공급 관로(15)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송풍수단(16)과, 상기 공급 관로(15)와 송풍수단(16) 사이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세균을 정화하는 정화수단(18)과, 상기 송풍수단(15)의 출구측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 관로(15)와 연결되는 공급 튜브(17)로 구성된 통기성을 갖는 의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천으로 형성된 관로(14)와 관로(14)는 공급 관로(15)와 병렬로 연결하여 송풍수단(16)에서 공급되는 시원한 공기가 신체의 각 부위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관로(14)와 관로(14) 사이에는 마감질을 하여 관로(14)와 관로(14) 사이가 통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송풍수단(16)에서 공급되는 시원한 공기는 정화수단(18)에 의하여 정화되어 공급 튜브(17)를 거쳐 의류에 형성되어 있는 공급 관로(15)를 통하여 천으로 형성된 관로(14)의 통풍구(13)를 통하여 신체의 여러 부위에 분사된다.
상기 천으로 형성된 관로(14)는 의류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관로(14)에 형성된 통풍구(13)의 크기는 0.5 ~ 2mm로 형성되고, 상기 통풍구(13)의 간격은 3mm ~ 10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의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신체의 어느 부위에 관계없이 시원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서 더운 여름날 착용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계절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신체의 특정부위에 욕창이나 땀띠가 난 사람이 착용하면 더더욱 좋은 의류이다. 그리고 더운 여름날이나 또는 추운 겨울날 두꺼운 옷을 입었을 때 신체에서 발생되는 땀으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를 통풍구로 들어오는 신선한 공기로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생적이며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며, 특히 정화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의류에 정화된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이다.

Claims (4)

  1. 통상적인 의류(3)와, 상기 의류(3)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통풍구(1)가 조밀하게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된 튜브(2)와, 상기 의류(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튜브(2)의 통풍구(1)에 삽입 통과되어 의류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실(4)과, 상기 튜브(2)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5)과, 상기 튜브(2)와 송풍수단(5) 사이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세균을 정화하는 정화수단(7)과, 상기 송풍수단(5)의 출구측과 정화수단(7)의 입구측과 연결되고 상기 정화수단(7)의 출구측과 연결되어 상기 튜브(2)와 연결되는 공급 튜브(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의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는 의류(3)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튜브(2)에 형성된 통풍구(1)의 크기는 0.5 ~ 2mm로 형성되고, 상기 통풍구(1)의 간격은 3mm ~ 10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의류.
  3. 외측은 방수피복(10)으로 되어 있고 내측은 천(11)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의류(12)와, 상기 내측에 구비된 천(11) 위에 조밀하게 통풍구(13)를 갖는 천으로 형성된 관로(14)와, 상기 천으로 형성된 관로(14)의 일측에 형성된 공급 관로(15)와, 상기 공급 관로(15)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수단(16)과, 상기 공급 관로(15)와 송풍수단(16) 사이에 외기의 시원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이물질과 세균을 정화하는 정화수단(18)과, 상기 송풍수단(16)의 출구측과 정화수단(18)의 입구측과 연결되고 상기 정화수단(18)의 출구측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 관로(15)와 연결되는 공급 튜브(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의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으로 형성된 관로(14)는 의류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관로(14)에 형성된 통풍구(13)의 크기는 0.5 ~ 2mm로 형성되고, 상기 통풍구(13)의 간격은 3mm ~ 10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의류.
KR20-2003-0021703U 2003-07-07 2003-07-07 통기성을 갖는 의류 KR200327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03U KR200327797Y1 (ko) 2003-07-07 2003-07-07 통기성을 갖는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03U KR200327797Y1 (ko) 2003-07-07 2003-07-07 통기성을 갖는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797Y1 true KR200327797Y1 (ko) 2003-09-22

Family

ID=4941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703U KR200327797Y1 (ko) 2003-07-07 2003-07-07 통기성을 갖는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7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92B1 (ko) 2013-05-10 2013-10-18 주식회사굿유니폼 통풍 환자복
WO2023149601A1 (ko) * 2022-02-04 2023-08-10 김영식 개폐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92B1 (ko) 2013-05-10 2013-10-18 주식회사굿유니폼 통풍 환자복
WO2023149601A1 (ko) * 2022-02-04 2023-08-10 김영식 개폐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4746C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JPWO2007061088A1 (ja) 空調衣服
YU93101A (sh) Odeća koja diše a koja se nosi da bi se poboljšala udobnost čovečijeg tela
CN207306148U (zh) 一种净化杀菌口罩
JPH0327641B2 (ko)
KR200327797Y1 (ko) 통기성을 갖는 의류
CN101569439B (zh) 一种透气雨衣
WO2007008168A1 (en) Ventilated surgical gown
JPH11323626A (ja) 冷暖房用衣服
US20090158496A1 (en) Glove with inflatable air
CN213188171U (zh) 一种通风散热防护服
KR20200002398U (ko) 의류용 냉풍 패드
CN211510616U (zh) 一种裤子
KR20120084197A (ko) 강제송풍식 요
EP1872676A1 (en) A lightweight bib for surgical personnel
JPH0118576Y2 (ko)
US2902032A (en) Fresh air breathing device
CN211379675U (zh) 一种抗菌透气西装
CN213487124U (zh) 一种具有呼吸净化功能的隔离衣
CN219422282U (zh) 一种透气型防感染医用手术衣
KR20190002265U (ko) 송풍식 에어매트
CN213819927U (zh) 带干燥功能的防护服
RU27206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и принцип его работы
CN217553326U (zh) 一种防紫外线的罗纹面料
IT9020691A1 (it) Dispositivo biocondizionatore per oggetti, come sedili, divani, indumenti particolari e simili, con superfici suscettibili di entrare in contatto con parti corpo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