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400Y1 -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 Google Patents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400Y1
KR200327400Y1 KR20-2003-0015412U KR20030015412U KR200327400Y1 KR 200327400 Y1 KR200327400 Y1 KR 200327400Y1 KR 20030015412 U KR20030015412 U KR 20030015412U KR 200327400 Y1 KR200327400 Y1 KR 200327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collected
garbage
floating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3-0015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바다로부터 밀려 오는 파도에 의해 수표면으로 부유된 쓰레기를 자연스럽게 수거함과 동시에 바닷물은 다시 바도로 배수되어 지고, 그 수거된 부유 쓰레기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그 구성을,
항만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여닫히는 뚜껑을 구비하는 수거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하되, 그 경사면의 상단에는 다수의 지지턱을 형성하여 그 지지턱 사이로 각각의 유입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수거공간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점차 작은 폭을 가지고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각각의 망체가 고정되는 배수구를 형성하며; 상기 수거공간부에는 후면으로 끝단이 핀결합되어 회전자유로이 고정되고 전방으로 절곡된 차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수거망체와; 상기 수거망과 핀결합된 부분의 상측 후면에는 외측면으로 배출관이 설치된 배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Block of gathering a floating with in a harbor}
본 고안은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바다로부터 밀려 오는 파도에 의해 수표면으로 부유된 쓰레기를 자연스럽게 수거함과 동시에 바닷물은 다시 바도로 배수되어 지고, 그 수거된 부유 쓰레기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의 수표면에는 그 항만 시설의 이용으로 인한 여러 형태의 많은 부유 쓰레기가 부유된 상태로 있다가 밀려 오는 파도에 의해 가장자리로 밀려 모여지게 된다.
그에 따라 항만 구역 내의 환경을 저해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었음은 물론 그로 인한 항만 구역 내의 바닷물이 오염되는 문제점으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항만 구역 내의 가장자리로 모여진 부유 쓰레기를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그 대부분이 소형 어선을 타고 다니면서 뜰채 등을 사용하여 걷어 내거나 또는 부두가에서 뜰채 등을 이용하여 걷어 내는 방식으로 부유 쓰레기를 수거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수거작업에 따른 오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인력이 동원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부유 쓰레기의 수거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수거작업에 따른 많은 애로점이 발생하였음 물론 원하는 만큼의 부유 쓰레기가 제대로 수거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항만 구역 내에서 바다로부터 밀려 오는 파도에 의해 수표면으로 부유된 쓰레기를 자연스럽게 수거함과 동시에 바닷물은 다시 바다로 배수되어 지고, 그 수거된 부유 쓰레기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닷물이 수거블럭 내로 역수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된 부유 쓰레기의 배출시 다른 부분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항만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여닫히는 뚜껑을 구비하는 수거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하되, 그 경사면의 상단에는 다수의 지지턱을 형성하여 그 지지턱 사이로 각각의 유입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수거공간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점차 작은 폭을 가지고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각각의 망체가 고정되는 배수구를 형성하며; 상기 수거공간부에는 후면으로 끝단이 핀결합되어 회전자유로이 고정되고 전방으로 절곡된 차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수거망체와; 상기 수거망과 핀결합된 부분의 상측 후면에는 외측면으로 배출관이 설치된 배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구에는 그 수용공간부와 연결되는 내측의 작은 폭과 대응되는 역수 방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은 상측이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배면을 나타낸 요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로,
도 4a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 4b는 수거된 쓰레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뚜껑 14 : 수거공간부
20 : 배수구
20a : 역수방지구 22 : 경사면
24 : 유입부 24a : 지지턱
25a,25b : 망체
30 : 수거망체
32 : 차단부 34 : 걸림턱
40 : 배출공
42 : 배출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배면을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항만 구역 내에 버려져 수표면으로 부유된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에 있어,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어 여닫히는 뚜껑(12)을 구비하는 수거공간부(14)가 형성되어 상기 항만의 구역 내의 가장자리로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2)을 형성하되, 그 경사면의 상단에는 다수의 지지턱(24a)을 형성하여 그 지지턱 사이로 파도에 의해 밀려 오는 부유 쓰레기가 상기 수거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비교적 넓은 폭을 갖는 각각의 유입부(24)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수거공간부와 연결되어 파도와 유입된 바닷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점차 작은 폭을 가지고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각각의 망체(25a)(25b)가 고정되는 배수구(20)를 형성하며;
상기 수거공간부에는 파도와 같이 유입된 부유 쓰레기가 걸러 질 수 있도록 후면으로 일반적인 경첩이나 끝단이 통상적인 핀결합되어 회전자유로이 고정되고 전방으로 걸려지는 부유 쓰레기가 모여질 수 있도록 절곡된 차단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에 형성된 걸림턱(34)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수거망체(30)와;
상기 수거망과 핀결합된 부분의 상측 후면에는 상기 수거망체로 수거된 부유 쓰레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외측면으로 배출관(42)이 설치된 배출공(40)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수거망체의 전방에는 통상적인 와이어를 연결하여 그 와이어의 타단을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고정시켜 놓는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로 덮혀지는 뚜껑은 수거공간부를 수거된 부유 쓰레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사람 등이 왕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20)에는 그 수용공간부와 연결되는 내측의 작은 폭과 대응되는 역수 방지구(20a)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부로 파도에 의해 유입된 바닷물은 배수되도록 개방된 후 그 본체의 외측 바닷물로 인해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바닷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관(42)은 상측이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부의 수거망체로 수거되어 있는 부유 쓰레기가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시 다른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그 직하부로 놓여지는 수용통 등으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로, 도 4a는 쓰레기가 수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항만의 구역 내 설치된 상태에서 바다로부터 밀려 오는 파도의 수표면으로 부유된 쓰레기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인 경사면(22)을 타고 지지턱(24a)과 지지턱 사이의 유입부(24)를 통하여 수거공간부(14)로 파도로 인한 바닷물과 같이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바닷물은 수거망을 통과한 후 배수구(20)를 통하여 다시 바다로 배수되어 지고, 부유 쓰레기는 그 수용공간부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수거망(30)으로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구는 그에 내장된 역수방지구(20a)에 의하여 수거공간부로 유입된 바닷물을 배수 후에는 다시 외부의 바닷물로 인하여 배수구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바다에서 밀려 오는 파도에 의해 그 수표면으로 부유된 쓰레기를 자연적으로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도 4b는 수거된 쓰레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a에서와 같이 일정 기간 후 상기 수거공간부(14)의 수거망(30)으로 일정 량의 부유 쓰레기가 수거되어 쌓이게 되면, 작업자가 뚜껑(12)을 분리시킨 다음 상기 수거망의 전방으로 연결된 와이어를 상측으로 올리므로서, 상기 수거망이 핀결합된 부분을 기점으로 전방 측이 올라가면서 그에 수거된 부유 쓰레기를 배출공(40)과 배출관(44)을 거쳐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이때 상기 수거망을 올림과 동시에 털어 주게 되면 그 수거망으로 수거된 부유 쓰레기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수거망으로 파도에 의해 수거된 부유 쓰레기를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부유 쓰레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다시 수거망을 처음의 위치로 하강시켜 놓으므로서, 다시 파도에 의해 부유된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은 상측이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됨에 따라 그에서 배출되는 부유 쓰레기가 외부로 비산됨없이 하부로 놓여 지는 통상적인 수용통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항만 구역 내에서 바다로부터 밀려 오는 파도에 의해 수표면으로 부유된 쓰레기를 자연스럽게 수거함과 동시에 바닷물은 다시 바다로 배수되어 지고 그 수거된 부유 쓰레기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유 쓰레기로 인한 항만의 환경 조건을 보다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바다물 오염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 배수구에 역수방지구를 구비함에 따라 상측으로 부유 쓰레기와 같이 유입된 바닷물은 배수시키고 그 외측의 바닷물이 수거공간으로 역수되지 않도록 하여, 부유 쓰레기의 수거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그리고, 배출관을 상측이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함으로써, 부유 쓰레기의 배출시 다른 부분으로 비산되지 않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3)

  1. 항만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여닫히는 뚜껑(12)을 구비하는 수거공간부(14)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2)을 형성하되, 그 경사면의 상단에는 다수의 지지턱(24a)을 형성하여 그 지지턱 사이로 각각의 유입부(24)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수거공간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점차 작은 폭을 가지고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각각의 망체(25a)(25b)가 고정되는 배수구(20)를 형성하며;
    상기 수거공간부에는 후면으로 끝단이 핀결합되어 회전자유로이 고정되고 전방으로 절곡된 차단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에 형성된 걸림턱(34)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수거망체(30)와;
    상기 수거망과 핀결합된 부분의 상측 후면에는 외측면으로 배출관(42)이 설치된 배출공(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20)에는 그 수용공간부와 연결되는 내측의 작은 폭과 대응되는 역수 방지구(2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42)은 상측이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KR20-2003-0015412U 2003-05-19 2003-05-19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KR200327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412U KR200327400Y1 (ko) 2003-05-19 2003-05-19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412U KR200327400Y1 (ko) 2003-05-19 2003-05-19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400Y1 true KR200327400Y1 (ko) 2003-09-19

Family

ID=4941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412U KR200327400Y1 (ko) 2003-05-19 2003-05-19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4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75B1 (ko) 2006-09-07 2007-04-09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항만 개선 구조
KR102178311B1 (ko) * 2020-06-25 2020-11-12 (유)해광이엔지 생태계 보호용 호안시설물
CN115094826A (zh) * 2022-06-09 2022-09-23 湖北省漳河土木工程设计院 一种水利工程用防水土流失的生态护坡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75B1 (ko) 2006-09-07 2007-04-09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항만 개선 구조
KR102178311B1 (ko) * 2020-06-25 2020-11-12 (유)해광이엔지 생태계 보호용 호안시설물
CN115094826A (zh) * 2022-06-09 2022-09-23 湖北省漳河土木工程设计院 一种水利工程用防水土流失的生态护坡结构
CN115094826B (zh) * 2022-06-09 2023-01-31 湖北省漳河土木工程设计院 一种水利工程用防水土流失的生态护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3280A1 (en) Litter screen
KR20130049310A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200327400Y1 (ko) 항만 구역내 부유 쓰레기 수거블럭
KR200437460Y1 (ko)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도로의 집수박스 구조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1291639B1 (ko) 악취가 방지되는 우수받이용 거름망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333359Y1 (ko)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JP2005083118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19980059575U (ko) 빗물받이용 삽탈식 잡물 걸름망
KR200348451Y1 (ko)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
KR100613653B1 (ko) 건축단지용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배수구 뚜껑구조
KR100752292B1 (ko) 마개가 달린 폽업
KR200230720Y1 (ko) 우수받이
CN217782251U (zh) 一种新型洗菜盆
KR102604594B1 (ko) 배수구 악취 차단장치
KR20100010234U (ko) 하수구통 쓰레기 거름장치
KR200338742Y1 (ko)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 망체
JPH0827976A (ja) 排水管カバー
KR200327405Y1 (ko) 항만의 부유 쓰레기 수거겸용 어소블럭
KR100729127B1 (ko) 집수구
KR200241645Y1 (ko) 싱크대용 음식찌꺼기 수거망
KR101938773B1 (ko) 거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