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216Y1 - 평면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평면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216Y1
KR200327216Y1 KR20-2003-0017636U KR20030017636U KR200327216Y1 KR 200327216 Y1 KR200327216 Y1 KR 200327216Y1 KR 20030017636 U KR20030017636 U KR 20030017636U KR 200327216 Y1 KR200327216 Y1 KR 200327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wire
groove
cas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현
정지혜
Original Assignee
정우현
정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현, 정지혜 filed Critical 정우현
Priority to KR20-2003-0017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2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의 접속단자의 구조를 새롭게 함으로서,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전선의 방향을 바꾸어 플러그 내부의 불필요한 공간을 줄인 것이다. 전선 방향의 변화와 내부 공간의 축소로 플러그의 케이스가 플러그가 꽂혀지는 콘센트의 면과 평편하게 되어 플러그 케이스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준 것이다. 상기의 효과와 더불어 플러그 케이스의 외형이 평편해 짐으로서 각각의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기구의 종류, 상표 등 을 써 넣을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평면 전원 플러그{Flat Plug}
본 고안은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플러그의 내부의 구조에 변화를 주어서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져 있을 때의 플러그 케이스가 돌출되어지는 높이를 최소화 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끔 한 것이다.
전원 플러그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해주는 접속단자, 그 접속단자와 연결된 전선 그리고 그것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의 모든 220V 용 전원플러그를 살펴보면도1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전선이 접속단자에 일직선으로 연결되게끔 설계 되어있다. 따라서 접속단자와 전선을 감싸기 위한 케이스는도1a에서 (a)만큼의 높이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게 되면 케이스의 높이만으로도 벽면에서 대략 4-5cm정도가 튀어나오게 되며,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이 꺾여 내려가는 부분까지 합하게 되면 5-6cm정도가 벽면으로부터 튀어나오게 된다.
도 1a의 플러그를 보안하기 위해서 그 이후에 연결된 도선을 케이스 내부에서 한번 정리해 주어 전선의 방향을 변경시켜준 플러그가 발명되었다. 하지만 전선의 방향을 내부에서 정리해준 플러그 또한 내부에 사용하는 접속단자는도 1의 기존 일자형 접속단자와 같은 종류의 것이기 때문에 전선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실제로 개선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게 되면 3.5cm정도가 돌출되어 진다.
따라서 위의 두 플러그를 벽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연결하게 되면 플러그 케이스의 높이만큼 벽과 떨어뜨리고 가구나 전기기구 등을 배치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이와 덧붙여 기존의 케이스의 외형이 전선과 핀을 감싸기 위해서 울퉁불퉁하여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기구가 어느 것인지 표시할 면이 없어 플러그 사용의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전원 플러그가 갖는 불필요한 내부 공간을 최소화 하고, 이를 이용하여 플러그 케이스가 차지하는 공간 또한 줄여주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같은 결과로 만들어진 평편한 플러그 외부를 해당 플러그와 연결되어지는 각각의 전기기구를 표시하는데 이용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하겠다
도 1 은 기존의 전선과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 측면도
도 1a 은 기존의 접속 단자를 포함한 접속 플러그 내부
도 2 는 전선의 연결방향을 바꾼 본 고안의 접속 단자와 고정 박스의 결합도
도 3 은 고정 박스와 외부 케이스 상부와 케이스 하부의 결합도
도 3a 는 도면3의 결합도의 반대방향 결합도
도 3b 은 도면 3의 부품을 모두 결합한 후의 측면도
도 4는 플러그의 탈부착을 도와주기 위한 손잡이가 부착된 상부케이스
도 4a는 손잡이가 부착된 상부케이스와 고정 박스, 하부 케이스의 결합도
주요 부분 설명
(도 2)
6. 전선 연결 홈 8. 나사 홈
12. 고정 박스
(도 3)
15. 케이스 상부 16. 케이스 하부
17. 전선 연결 홈
(도 3a)
21. 플러그 표시 면
- 플러그가 연결된 전기기구의 종류, 상표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면
(도 4)
22. 손잡이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선의 연결 방향을 바꾼 접속단자와 전선이 접속단자에 안전하고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박스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외부에는 접속단자와 안전박스를 최소한의 부피로 감싸고 있는 평면의 케이스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고안의 구성과 작용 등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기존의 접속 단자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접속 단자에서는 전선(4)이 전선 연결 홈(1)으로 들어가게 되고, 나사(2)가 나사 홈(3)으로 들어가게 되어 전선 연결 홈(1)속으로 들어가 있는 전선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이렇게 전선에 연결된 두 개의 접속단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고정 박스(5)가 하게 된다. 기존의 접속 단자들은 크기와 모양을 달리하여도 전선 연결 홈(1)과 나사 홈(3)의 방향은 언제나 그대로 이였기 때문에, 접속단자에 전선이 연결되면 전선 연결 홈(1)의 방향 쪽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도 1a의 (a))의 공간이 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플러그의 높이가 그만큼 높아져 돌출부위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도 2의 접속 단자로 기존의 접속단자를 대신 하였다.도 2의 접속 단자는 전선 연결 홈(6)의 방향으로 전선(11)이 들어가 나사(7)가 나사 홈(8)로 들어가 전선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선이 충분한 길이만큼 접속 단자 내부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 외부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의 외부(9) 부분보다 전선 연결 홈(6)이 위치하는 (10)의 두께를 더욱 굵게 하였다. 전선과 연결된 각각의 접속단자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전류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막기 위해서 고정 박스(12)가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 박스(12)와 결합하게 되는 부품(13)은 접속 단자와 나사(7)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나사(7)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전선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 되어있는 내부 고정 박스(14)를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은 케이스 상부(15)와 케이스 하부(16)가 감싸 주게 된다. 내부 고정 박스와 연결된 전선은 케이스 상부(15)의 전선 연결 홈(17)을 따라 케이스 외부로 나오게 된다.도3a은 고정 박스(18)와 케이스 상부(19) 그리고 케이스 하부(20)가 결합되는 모습을도 3의 반대편에서 본 모습의 도면으로 (21)의 평편한 면에 플러그가 연결되는 전기기구 등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의 모든 부품을 조립하게 되며도 3b의 모습을 가진 플러그가 된다.
도 4는 케이스 상부에 사용시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2)를 부착한 모습이다. 손잡이(22)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 하기 위해 플러그 케이스 상부에 홈(23)을 파서 평소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을 때는 홈(23)에 손잡이(22)를 끼워놓고,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탈착 할 때에는 손잡이(22)를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들어서 사용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는 본 고안의 플러그는 에서도 3b에서 보듯이 접속 단자의 전선 연결 방향을 변화시켜 고정 박스가 플러그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서 플러그의 높이를 최소화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플러그를 벽에 부착되어져 있는 콘센트 등에 꽂아 사용하게 되더라도 벽과 전기기구 또는 가구 사이의 간격을 많 벌리지 않아도 되어 공간을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또한도 3b에서 보듯이 케이스가 평편한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평편한 면(21)에 플러그가 연결되어져 있는 전기기구의 상표와 종류 등을 표시 할 수 있도록 하여, 플러그 사용을 좀 더 용이 하도록 하였다.
또한 외부로 돌출 되어지는 높이가 최소화 되어 탈부착의 어려움이 예상되기에 이것을 해소하기 위한 손잡이를 부착하여 플러그의 용이한 사용을 돕도록 하였다.

Claims (3)

  1. 접속 단자의 끝부분에 전선 연결홈이 있고, 옆부분에 나사 고정홈이 있었던 기존 일자형 접속 단자접속 단자에서, 전선의 연결홈의 위치와 나사 고정홈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접속단자의 옆면에 전선 연결홈이 위치하고 끝부분에 나사 고정홈이 위치하며, 전선 연결홈에 연결되는 전선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전선 연결홈 부위의 두께를 두껍게 만들어 준 접속 단자.
  2. 청구항1 의 접속 단자와
    그 접속 단자를 고정시켜주는 안전 박스와
    단자와 안전 박스를 둘러쌓고 있으면서, 상표나 전기기구의 종류 등을 표시
    할 수 있는 평편한 면을 가진 케이스로 이루어진 전원 플러그
  3. 청구항 2의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달려있는 전원 플러그
KR20-2003-0017636U 2003-06-05 2003-06-05 평면 전원 플러그 KR200327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36U KR200327216Y1 (ko) 2003-06-05 2003-06-05 평면 전원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36U KR200327216Y1 (ko) 2003-06-05 2003-06-05 평면 전원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216Y1 true KR200327216Y1 (ko) 2003-09-19

Family

ID=4941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636U KR200327216Y1 (ko) 2003-06-05 2003-06-05 평면 전원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2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195Y1 (ko) 노이즈 필터
US4904195A (en) Twist-lock female-male plug adapter
CN201247931Y (zh) 电缆接线盒
KR200327216Y1 (ko) 평면 전원 플러그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CN206992432U (zh) 模块化组装插排
CN2482748Y (zh) 方便安全插座
CN218415277U (zh) 一种电源线及电火锅组件
CN217522275U (zh) 一种电连接头
CN216389847U (zh) 防水大电流公母连接器接头
KR200360200Y1 (ko) 전기와 전화를 동시에 연결시키는 플러그와 콘센트
CN207896328U (zh) 用于电子设备上的连接器插头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890007933Y1 (ko) 110v/220v겸용 플러그
US20020177339A1 (en) Multi-direction insertion socket with conductor structure
KR200296139Y1 (ko) 멀티콘센트
KR200198504Y1 (ko) 소켓이 겸비된 전기 플러그
CN213093135U (zh) 联锁交流接触器的连体防护罩
KR200225081Y1 (ko) 라인 콘센트용 아답터
CN208723178U (zh) 具有pcb板的连接器
CN209169637U (zh) 一种电源分配单元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CN206098882U (zh) 一种安装简便的桌孔插座
JP3082338U (ja) 複数のプラグを備えたタップ
KR200190332Y1 (ko) 전원플러그용 인서트(conne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