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933Y1 - 110v/220v겸용 플러그 - Google Patents

110v/220v겸용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933Y1
KR890007933Y1 KR2019870009018U KR870009018U KR890007933Y1 KR 890007933 Y1 KR890007933 Y1 KR 890007933Y1 KR 2019870009018 U KR2019870009018 U KR 2019870009018U KR 870009018 U KR870009018 U KR 870009018U KR 890007933 Y1 KR890007933 Y1 KR 890007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p
plug
annular
low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602U (ko
Inventor
박병건
Original Assignee
박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건 filed Critical 박병건
Priority to KR2019870009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933Y1/ko
Publication of KR8900016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6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V/220V겸용 플러그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을 110V로 전환시킨 조립상태 횡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A-A선 단면도.
제3(a)도는 본 고안을 220V로 전환시킨 조립상태 횡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원회로 구성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5(a)도는 본 고안을 110V로 전환시킨 조립상태 횡단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C-C선 단면도.
제6(a)도는 본 고안을 220V로 전환시킨 조립상태 횡단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D-D선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전원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본체 4,4' : 단자수납공
5 : 돌출부 6,6' : 걸림안내턱
7 : 십자형 장홈 10 : 단자체
16,16',16" : 결합홈 20 : 220V용 환형단자
21 : 110V용 평형단자
본 고안은 110V/220V겸용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 본체 아래캡의 세로 방향으로 돌출부 및 단자수납공과 가로방향으로 양측끝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십자형 장홈을 형성하고 110V용 평형단자와 220V용 환형단자에 각각 단자체를 형성하여 평형단자편과 환형단자봉을 매설하고, 단자체 중앙에 결합홈을 형성한 단자부재를 플러그 본체 아래캡에 선택적으로 위치 전환시켜 절환 가능토록 한 110V/220V겸용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플러그에 있어서는, 환형단자봉을 가진 220V용 플러그와 평형단자편을 가진 110V용 플러그로서 각각 형성되어, 220V용 플러그를 110V용 콘센트에 사용코저 하는 경우에는 220V용 플러그의 환형단자봉에 평형단자편을 형성한 110V용 어댑터(adapter)를 결합시키어 사용하여야만 하였던 것으로 이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음에 의하여 콘센트로부터 과다하게 노출됨에 따라 어댑터의 자체 중량으로 쉽게 이탈되었던 것이며, 통상 110V 및 220V로 각각 사용되어지는 전압에 따라 어댑터를 사용함으로서 전압을 전환시킴은 전환조작에 따른 번거로움과 함께 새로운 부품의 필요에 따라 코스트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고안 출원인이 출원(실용신안등록출원 제87-6387, 87-7507)을 한 바 있으나, 이는 110V용 평형단자와 220V용 환형단자가 선택적으로 돌출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110V과 220V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플러그 전체의 경량화로 플러그가 하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110V 또는 220V 도선에 110V용 평형단자 또는 220V용 환형단자가 선택적으로 직접 접속되므로 전기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110V/220V 절환스위치가 필요없게 되어 전원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었으나, 상기 110V/220V겸용 플러그는 구조의 복잡함과 동시에 3A 이상의 둥근형 플러그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러그 본체에는 세로방향으로 돌출부 및 단자수납공과 가로방향으로 양끝단부에 걸림턱을 각각 형성하여 십자형 장홈이 형성되게 하고, 110V용 평형단자와 220V용 환형단자에 각각 직사각형의 단자체를 형성하여 평형단자편과 환형단자봉을 매설하며, 그 중앙에는 각각 직사각형의 단자체를 형성하여 평형단자편과 환형단자봉을 매설하며, 그 중앙에는 각각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호 엇갈리게 결합시켜 십자형 단자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십자형 장홈에 십자형 단자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110V/220V용으로 손쉽게 절환 가능토록 한 겸용 플러그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110V/220V용 도선이 접속된 플러그 본체 아래캡의 십자형 장홈에 별개의 220V용 환형단자와 110V용 평행단자를 선택적으로 결합 접속시켜 110V 또는 220V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으며, 플러그 본체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공정 및 시간의 단축으로 제조 코스트를 낮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가전제품 기타 전기제품에 별도의 전환스위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110V/220V로 쉽게 절환조절 가능한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플러그 본체(1)는 위캡(2)과 아래캡(3)으로 이루어지고, 아래캡(3)에는 양측으로 장방형의 단자수납공(4)(4')과 단자수납공(4)(4') 중앙부에 돌출부(5)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5)의 전방측으로 양측끝단에 걸림안내턱(6)(6')을 가진 십자형 장홈(7)을 형성하고 상기 아래캡(3)의 십자형 장홈(7)에는 단자홀더부(9)(9')(9")를 형성한 단자체(10)를 형성하고 110V용 평형단자편(12)(12')과 220V용 환형단자편(11)(11')를 수납 매설한 단자부재(13)의 상측으로 단자접속편(14)(14')과 하측에 단자접속편(22)(22')(22")을 형성한다.
즉 코드(8)의 도선(a)(b)(c)가 단자홀더부(9)(9')(9")에 접속되어 일측에 220V용 환형단자봉(11)(11')과 타측에 110V용 평형단자편(12)(12')을 매설한 단자부재(13) 양측 끝단의 단부(15)(15')를 아래캡(3)의 걸림안내턱(6)(6')에 끼워 맞춤하면 단자부재(13)의 단자접속편(22)(22')(22")이 아래캡(3)의 결합홈(16)(16')(16")에 접속되고, 나사구멍(17)을 형성한 위캡(2)과 돌출부(5)에 나사구멍(18)을 형성한 아래캡(3)을 나사(19)로서 체결 고정하는 220V용 환형단자(20) 및 110V용 평형단자(21)가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플러그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도면 제2(a)도 제2(b)도는 110V용 플러그로서, 220V용 환형단자(20)와 110V용 평형단자(21)를 십자형으로 형성한 단자부재(13) 일측 220V용 환형단자(20)의 환형단자봉(11)(11')을 플러그 본체(1) 아래캡(3)의 단자수납공(4)(4')에 끼워 맞춤시키고, 환형단자봉(11)(11')의 끼워맞춤에 의한 단자부재(13)의 단부(15)(15')가 아래캡(3)의 걸림안내턱(6)(6')에 걸림 안내되어 끼워맞춤 안착 설정되어 110V용 평형단자(21)가 플러그 본체(1)의 외부로 노출되면 아래캡(3), 돌출부(5)의 나사구멍(18)과 위캡(2)의 나사구멍(17)을 나사(19)로서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단자부재(13) 양측의 단부(15)(15')가 십자형 장홈(7) 양측의 걸림안내턱(6)(6')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때 110V용 평형단자(21)의 단자접속편(22)(22')(22")이 코드(8) 도선(a)(b)(c)과 연결된 단자홀더부(9)(9')(9")가 접속되어 형성된 아래캡(3)의 결합홈(16)(16')(16")에 끼워맞춤되어 통전 가능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110V용 플러그를 사용함은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도선(a)(b)(c)은 각각 접속점 (ㄱ)(ㄴ)(ㄷ)에 접속하고 있으며 110V용으로 사용시에는 타측 평형단자(12)가 단자접속편(22)(22')을 통해 코드(8)의 도선(a)(b)에 공통 접속되고 또 다른 평형단자(12')는 단자접속편(22")을 통해 코드(8)의 도선(c)에 접속되어 110V 콘센트에 끼워맞춤하면 히터(H1)(H2) 또는 전기제품에 110V의 전압이 병렬로 인가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제3(a)도 제3(b)도는 220V용 플러그로 전환시키고자 할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나사(19)를 위캡(2)과 아래캡(3)의 나사구멍(17)(18)으로부터 분리 이탈시켜 플러그 본체(1)를 분리시킨후 일측에 220V용 환형단자(20)와 타측에 110V용 평형단자(21)를 매설한 단자부재(13)를 아래캡(3)의 십자형 장홈(7)으로부터 분리 이탈시킨후 220V용 환형단자봉(11)(11')을 아래캡(3)의 외부로 노출시켜 단자부재(13)에 끼워맞춤하고, 위캡(2)과 아래캡(3)을 나사맞춤시키면 쉽게 전환시키게 되는 것으로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양측의 220V용 환형단자봉(11)(11')이 단자접속편(14)(14')을 통해 각각 도선(a)(b)에 접속되어 220V용 콘센트에 끼워맞춤하면 220V의 전압이 히터(H1)(H2) 또는 전기 제품에 직렬로 인가되는 것이다.
도면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110V용 평형단자(21)의 평형단자편(12)(12')에 접속된 단자접속편(22')(22")을 플러그 본체(1)의 접속단자홀더(16')(16")에 끼워 접속되게 하고, 220V용 환형단자(20)의 접속단자봉(11)(11')를 플러그 본체(1)의 접속단자홀더(16)(16')에 각각 끼워 접속되게 한 것이고 110V용으로 전환시 평형단자편(12)(12')은 단자접속편(22')(22")을 통해 도선(b)(c)와 접속되며, 220V용으로 전환시에는 환형단자봉(11)(11')은 단자접속편(14)(14')을 통해 도선(a)(c)에 접속되는바, 제7도의 전원회로에 있어 트랜스(T)에 접속점(A)(B)(C)에 도선(a)(b)(c)을 접속한 상태에서 110V용으로 전환시 110V 콘센트에 끼우면 트랜스(T)의 접속점(A)(B)에 110V 전류가 인가되고 220V용으로 전환하여 220V 콘센트에 끼우면 트랜스(T)의 접속점(A)(C)에 220V 전류가 인가되므로 전원회로에 별도의 110V/220V 전환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본 고안을 일측에 220V용 환형단자(20)와 타측에 110V용 평형단자(21)를 매설한 단자부재(13)를 아래캡(3)의 십자형 장홈(7)내에 선택적으로 끼워맞춤하여 사용함에 따른 전압을 전환가능케 한 것으로서 110V를 사용함에 의한 220V 환형단자봉(11)(11')에 어댑터를 사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간편하게 110V/220V로의 전환이 가능한 것이고 플러그의 경량화에 따른 콘센트로부터의 분리 이탈됨이 없이 안전하게 통전가능토록 한 것으로 3A 이상을 사용하는 플러그에 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고, 또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음에 의한 구조의 단순화로 제조공정 및 생산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킴에 의한 원가절감의 효과등이 있는 것으로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코드(8)의 도선(a)(b)(c)에 110V용 평형단자(21) 또는 220V용 환형단자(20)를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110V 또는 220V로 전환되는 110V/220V겸용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 본체(1)는 위캡(2)과 아래캡(3)으로 이루어지고, 아래캡(3)에는 양측으로 장방형의 단자수납공(4)(4')과 단자수납공(4)(4') 중앙부에 돌출부(5)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5)의 전방측으로 양측끝단에 걸림안내턱(6)(6')을 가진 십자형 장홈(7)을 형성하고 상기 아래캡(3)의 십자형 장홈(7)에는 단자홀더부(9)(9')(9")를 형성한 단자체(10)를 형성하고 110V용 평형단자편(12)(12')과 220V용 환형단자편(11)(11')를 수납 매설한 단자부재(13)의 상측으로 단자접속편(14)(14')과 하측에 단자접속편(22)(22')(22")을 형성하며, 220V용 환형단자봉(11)(11')과 타측에 110V용 평형단자편(12)(12')을 매설한 단자부재(13) 양측 끝단의 단부(15)(15')를 아래캡(3)의 걸림안내턱(6)(6')에 끼워 맞춤하면 단자부재(13)의 단자접속편(22)(22')(22")이 아래캡(3)의 결합홈(16)(16')(16")에 접속되게 하고 나사구멍(17)을 형성한 위캡(2)과 돌출부(5)에 나사구멍(18)을 형성한 아래캡(3)을 나사(19)로서 체결 고정하는 220V용 환형단자(20) 및 110V용 평형단자(21)가 선택적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110V/220V겸용 플러그.
KR2019870009018U 1987-06-04 1987-06-04 110v/220v겸용 플러그 KR890007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018U KR890007933Y1 (ko) 1987-06-04 1987-06-04 110v/220v겸용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018U KR890007933Y1 (ko) 1987-06-04 1987-06-04 110v/220v겸용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602U KR890001602U (ko) 1989-03-20
KR890007933Y1 true KR890007933Y1 (ko) 1989-11-10

Family

ID=1926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9018U KR890007933Y1 (ko) 1987-06-04 1987-06-04 110v/220v겸용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9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602U (ko) 198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4037A (en) Adapter box for low voltage fixture
US20020034893A1 (en) Watthour meter socket adapter with auxiliary component mounts
US3391374A (en) Electric receptacle
US6663422B1 (en) Jaw blades and jaw blade couplers for watthour meter socket adapter
US4013330A (en) Dual-standard electric plug
KR890007933Y1 (ko) 110v/220v겸용 플러그
GB2201306A (en) Electrical plug terminals and cable clamp
US6186822B1 (en) Lamp socket with a pull string switch
KR890007932Y1 (ko) 110v/220v 겸용 전원플러그
KR960006938Y1 (ko) 전기기구의 자석형 플러그와 플러그받이의 접지장치
KR200185369Y1 (ko)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KR200256202Y1 (ko) 전원분배 컨넥터
US4880398A (en) Fuse holder for holding a flat-type fuse block
KR890006101Y1 (ko) 분리형 110v용과 220v용 접속 단자를 갖는 플럭
KR890006935Y1 (ko) 110v /220v 겸용 플러그
KR930000504Y1 (ko) 안전다용도 콘센트
KR101787731B1 (ko) 전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950004629B1 (ko) 110/220볼트 겸용 플럭
KR890001670Y1 (ko) 플럭(Plug)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200142688Y1 (ko) 전원 분배 콘넥터
KR950008259Y1 (ko) 220v측면 접지용 1구콘센트
JP2590043Y2 (ja) コンセント用端子台
KR200327216Y1 (ko) 평면 전원 플러그
KR100299300B1 (ko) 전기배선의분기결선을위한컨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