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122Y1 -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122Y1
KR200326122Y1 KR20-2003-0015807U KR20030015807U KR200326122Y1 KR 200326122 Y1 KR200326122 Y1 KR 200326122Y1 KR 20030015807 U KR20030015807 U KR 20030015807U KR 200326122 Y1 KR200326122 Y1 KR 200326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stand
wall
air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Priority to KR20-2003-0015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1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1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걸이 및 스텐드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 하단부로 다수개의 날개편들로 구성된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며 일측단에는 장착부가 돌출 형성된 공기 청정기와, 상기 공기 청정기는, 수평프레임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기의 후방부에 접촉되는 각각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상단부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흡입구의 날개편들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편을 구비한 상부브라켓과, 상기 고정대의 하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배출구의 날개편들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편을 구비한 하부브라켓으로 구성된 벽걸이형 거치대와, 상단부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장착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스텐드형 거치대에 선택적으로 설치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a combined wall tapestry and stand air cleaner}
본 고안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기 청정기를 벽면이나 바닥면에 보다 간편히 거치시킬 수 있는 공기 청정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라 함은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 보다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고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여 체취나 담배냄새들을 탈취하는 것이며, 오염 때문에 감소된 음이온을 이온발생기등을 통해 회복시키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공기 청정기의 필터에는 몰트프렌이나 유리섬유를 사용해서 집진하는 기계식 필터, 유이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해서 미립자를 집진하는 고성능 필터 및 활성탄을 사용한 탈취필터등이 있으며, 이들 필터에 첨가하여 먼지를 고압방전에 의해 대전시켜서 집진하는 전기 집진장치등이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 공기 청정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는 스텐드형 공기 청정기와 벽걸이형 공기 청정기, 천정형 공기청정기로 크게 나뉘어 지게 되며, 이러한 스텐드형과 벽걸이형, 천정형 공기 청정기의 경우에는 설치시 이를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각각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청정기의 경우 그 설치 위치에 맞는 조건으로 각각 별도로 제작됨에 따라 필요시 이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벽걸이형으로 제작된 공기청정기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성으로 제작됨에 따라 이를 다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바닥면에 세워 사용하는 스텐드형 공기청정기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 별도의 스텐드형 공기청정기를 구매해야 하는 부담을 안겨주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공기 청정기를 벽면과 바닥면에 겸용으로 설치 가능토록 구성하고 또한 그 설치 위치에 맞도록 상기 공기 청정기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를 각각 구비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 하단부로 다수개의 날개편들로 구성된 흡입구와 배출구를 가지며 일측단에는 장착부가 돌출 형성된 공기 청정기와, 상기 공기 청정기는, 수평프레임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기의 후방부에 접촉되는 각각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상단부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흡입구의 날개편들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편을 구비한 상부브라켓과, 상기 고정대의 하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배출구의 날개편들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편을 구비한 하부브라켓으로 구성된 벽걸이형 거치대와, 상단부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장착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스텐드형 거치대에 선택적으로 설치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청정기와 벽걸이형 거치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벽걸이형 거치대에 설치된 공기 청정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텐드형 거치대에 설치된 공기 청정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대 14: 상부브라켓
16: 하부브라켓 18, 26: 돌출편
50: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52: 흡입구
52a, 54a: 날개편 54: 배출구
100: 벽걸이형 거치대 200: 스텐드형 거치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50)의 개념을 살펴보면 하나의 공기 청정기를 사용자가 소망하는 바에 따라 실내의 벽체나 혹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50)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벽걸이형이라 함은 공기 청정기(50)가 실내의 벽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스텐드형이라 함은 공기 청정기(50)를 수직으로 세워 바닥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50)의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공기 청정기(50)는 직사각의 형상을 가지며, 그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날개편(52a)들이 일정간격을 두며 설치되어 있는 흡입구(5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50)의 하단부에는 상기 흡입구(52)와 동일한 형상인 다수개의 날개편(54a)들이 일정간격으로 설치 구성된 배출구(54)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52)로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공기 청정기(50)내로 유입하며 상기 배출구(54)로는 공기 청정기(50)내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가 외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 청정기(50)의 일측단에는 장착부(56)가 일부 돌출되게 구성된다.
즉, 공기 청정기(50)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공기 청정기(50)를 벽체나 바다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공기 청정기(50)의 흡입구(52)와 배출구(54)에 형성되어 있는 날개편(52a, 54a)들에는 후술할 벽걸이형 거치대(100)가 설치됨으로서 공기 청정기(50)를 실내의 벽체(5)에 간편히 거치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50)의 장착부(56)를 후술할 스텐드형 거치대(200)에 삽입 고정함으로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 청정기(50)의 고정수단인 벽걸이형 거치대(100)와 스텐드형 거치대(200)의 구성을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벽걸이형 거치대(100)는 수평프레임(12)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실내의 벽체(5)등에 볼트 체결되는 각각의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의 상,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50)를 고정시키는 상, 하부브라켓(14, 16)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10)는 공기 청정기(50)의 후방부에 접촉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5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사각의 형상을 가지되, 그 전면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50)가 가지는 굴곡면과 동일하게 성형된 라운딩부(11)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라운딩부(11)를 형성시킨 것은 상기 고정대(10)에 지지되는 공기 청정기(50)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브라켓(14)은 상기 공기 청정기(50)를 거치대(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ㄱ"형상으로 일측단에는 돌출편(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편(1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청정기(5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52),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구(52)의 구성인 날개편(52a)들 사이에 삽입됨으로서 공기 청정기(50)를 상기 거치대(100)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가진 상부브라켓(14)은 체결수단인 볼트(2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대(10)의 상단부에 탈, 부착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상부브라켓(14)을 탈, 부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은 상기 공기 청정기(50)가 본 고안인 거치대(100)에 보다 간편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상부브라켓(14)의 하단부에는 가이드편(22)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대(1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편(22)이 삽입되기 위한 안내공(24)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가이드편(22)과 안내공(24)을 각각 형성시킨 것은 상기 상부브라켓(14)을 고정대(10)에 부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인 볼트(20)가 상기 상부브라켓(14)과 고정대(10)의 체결공(15, 25)에 보다 용이하게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이드편(22)이 안내공(24)에 삽입되면 상기 상부브라켓(14)의 체결공(15)과 고정대(10)의 체결공(25)은 상호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볼트(20)를 상기 체결공(15, 25)들에 보다 간편히 체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브라켓(16)역시 상기 상부브라켓(14)과 동일한 기능, 즉 상기 공기 청정기(50)를 거치대(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형상으로 일측단에 돌출편(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편(2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5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54),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구(54)의 구성인 날개편(54a)들 사이에 삽입됨으로서 공기 청정기(50)를 상기 거치대(100)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하부브라켓(16)은 상기 고정대(10)의 하단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벽걸이형 거치대(100)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의 조립상태를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인 벽걸이형 거치대(100)의 구성인 고정대(10)를 실내의 벽체(5)에 볼트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벽걸이형 거치대(100)에 공기청정기(50)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공기청정기(50)는 벽체(5)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조립상태를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고정대(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브라켓(16)의 돌출편(26)을 상기 공기청정기(5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54)의 구성인 날개편(54a)들사이에 삽입하여 일차 고정한다.
이후, 상기 고정대(10)의 상단에 볼트(20)체결되어 있는 상부브라켓(14)을 탈착시킨 후, 상기 상부브라켓(14)의 돌출편(18)을 상기 공기청정기(5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52)의 구성인 날개편(52a)들 사이에 삽입한 후, 다시 상기 상부브라켓(14)을 고정대(10)의 상단에 볼트(20) 체결하여 부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브라켓(14)을 고정대(10)에 탈, 부착시켜 상기 공기청정기(50)를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서 공기 청정기(50)를 거치대(100)에 간편히 설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 공기청정기를 바닥에 세워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스텐드형 거치대(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청정기(50)는 상기 스텐드형 거치대(200)에 의해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 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텐드형 거치대(200)의 구성을 하기에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스텐드형 거치대(200)는 바닥면에 지지되어 공기청정기(50)를 수직으로 세워 거치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그 형상은 원통의 형상으로 하단이 상단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진 거치대(200)의 상단에는 공기청정기(50),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청정기(50)의 일측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56)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부(202)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거치대(200)의 삽입부(202)에 공기청정기(50)의 장착부(56)가 삽입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서 실내의 벽체(5)에 거치되어 있던 공기청정기(50)를상기 스텐드형 거치대(200)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실내의 바닥면에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공기 청정기를 벽면과 바닥면에 겸용으로 설치 가능토록 구성하고 또한 그 설치 위치에 맞도록 상기 공기 청정기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를 각각 구비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공기 청정기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상, 하단부로 다수개의 날개편(52a, 54a)들로 구성된 흡입구(52)와 배출구(54)를 가지며 일측단에는 장착부(56)가 돌출 형성된 공기 청정기(50)와;
    상기 공기 청정기(50)는:
    수평프레임(12)으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기(50)의 후방부에 접촉되는 각각의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의 상단부에 볼트(20)체결되며 상기 흡입구(52)의 날개편(52a)들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편(18)을 구비한 상부브라켓(14)과;
    상기 고정대(10)의 하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배출구(54)의 날개편(54a)들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편(26)을 구비한 하부브라켓(16)으로 구성된 벽걸이형 거치대(100)에 설치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및 스텐드형 공기 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14)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대(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공(24)에 삽입되는 가이드편(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및 스텐드형 공기 청정기.
  3. 상, 하단부로 다수개의 날개편(52a, 54a)들로 구성된 흡입구(52)와 배출구(54)를 가지며 일측단에는 장착부가 돌출 형성된 공기 청정기(50)와;
    상기 공기 청정기(50)는;
    상단부로 상기 공기 청정기(50)의 장착부(56)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202)를 구비한 스텐드형 거치대(200)에 설치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KR20-2003-0015807U 2003-05-22 2003-05-22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KR200326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807U KR200326122Y1 (ko) 2003-05-22 2003-05-22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807U KR200326122Y1 (ko) 2003-05-22 2003-05-22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122Y1 true KR200326122Y1 (ko) 2003-09-13

Family

ID=4941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807U KR200326122Y1 (ko) 2003-05-22 2003-05-22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1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340B2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KR101174032B1 (ko) 에어컨의 전기집진기
KR200326122Y1 (ko)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CN215062268U (zh) 一种便携式抽油烟机
KR20180002978U (ko) 소형 공기청정기
JPH03254808A (ja) 空気清浄機の支持装置
KR20030067262A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CN214307472U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空气净化器
JPH0470924B2 (ko)
KR200305868Y1 (ko) 음이온 공기 청정 시스템
KR20060112419A (ko) 공기청정기
CN1837688B (zh) 空调室内机壳体结构
CN218096403U (zh) 一种净化模块的安装结构和新风机
KR20060111031A (ko) 공기청정기
KR102154917B1 (ko)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CN216557516U (zh) 新风模块及空调器
CN217636052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20648539U (zh) 过滤模块及空气加湿净化器
CN215305422U (zh) 除臭系统、马桶盖以及马桶
KR100617627B1 (ko) 진공 청소기의 피씨비 설치 구조
KR20020018337A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제습기
KR101556973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JP2596225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00052388A (ko)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KR900008179Y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