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089Y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089Y1
KR200326089Y1 KR20-2003-0014048U KR20030014048U KR200326089Y1 KR 200326089 Y1 KR200326089 Y1 KR 200326089Y1 KR 20030014048 U KR20030014048 U KR 20030014048U KR 200326089 Y1 KR200326089 Y1 KR 200326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filling
inner space
body par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철
Original Assignee
권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철 filed Critical 권순철
Priority to KR20-2003-0014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베개는 두 겹의 천소재 가장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충전물을 채워넣음으로써 형성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 모서리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격막천(41)(42)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1 및 제2 베개부(20)(3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베개부(20)(30)는 그 상부가 망사(21)(31)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 공간에는 통풍이 되도록 상호 공극을 가진 충전물이 충전되고, 상기 몸체부(10) 모서리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베개부(20)의 상부 정점까지의 길이(L1)와 몸체부(10) 모서리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베개부(30)의 상부 정점까지의 길이(L2)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와 상기 몸체부(10) 사이의 경계(24)(34)는 베개 중심부로 갈수록 그 골이 깊어지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10)의 중심부(10a)는 그 가장자리부(10b)(10c)에 비해 오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 보다 낮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베개 {pillow}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통풍이 원활하여 땀이 배이지 않는 동시에 머리와 목의 체형에 따라 취침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하루에 6~7시간 이상을 취침하게 되고, 취침시에는 대부분 베개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베개는 인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머리와 목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만약 베개가 비뚤어지거나 머리와 목의 굴곡을 제대로 지탱하지 못할 경우에는 깊은 숙면을 취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두통을 유발하거나 피로가 쌓이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사람의 머리와 목은 그 모양과 크기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사용되는 베개는 모두가 일률적인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자신의 체형과는 무관하게 베개를 장시간 사용함으로써 목이나 허리 등에 장애를 가져오기도 한다. 아울러, 베개는 그 중심부가 높고 가장자리가 낮아서 취침시에 자신도 모르게 베개의 가장자리로 머리가 쏠리게 되고 이것은 똑바른 자세의 취침을 방해한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베개는 쿠션있는 천과 솜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므로, 사용자가 베개에 눕는 경우, 머리와 목이 베개의 쿠션속으로 묻히게 된다. 이런 경우,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는 머리와 목에 통풍이 원활하지 못해 땀이 차게 되고 심한 경우 피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베개가 땀으로 흥건히 젖는 등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그 취침 방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머리와 목이 접촉하는 부위에 망사를 구비함으로써 통풍이 원활하도록 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와 목의 굴곡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베개를 형성하고 베개의 중심부는 가장자리보다 낮게 구성함으로써 취침시에는 항상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 중심에 위치함으로써 똑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밑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밑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제1 및 제2 베개부에 충전되는 충전물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두 겹의 천소재 가장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충전물을 채워넣음으로써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모서리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격막천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1 및 제2 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베개부는 그 상부가 망사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 공간에는 통풍이 되도록 상호 공극을 가진 충전물이 충전되고,
상기 몸체부 모서리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베개부의 상부 정점까지의 길이와 몸체부 모서리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베개부의 상부 정점까지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의 경계는 베개 중심부로 갈수록 그 골이 깊어지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는 그 가장자리부에 비해 오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 보다 낮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의 하부는, 천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의 하부는, 망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베개는 그 내부에 충전물이 삽입되는 몸체부 (1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베개부(20)(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는 베개의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두 겹의 천소재를 맞대어 그 가장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제작된다.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충전물은 솜과 같은 일반적인 쿠션재를 비롯하여 합성수지와 바이오 세라믹 소재 등을 혼합하여 압출한 바이오 칩, 나무칩, 옥돌소재로 이루어진 옥칩,메밀과 같은 곡식류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재가 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 모서리에는 제1 및 제2 베개부(20)(30)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는 몸체부(10) 모서리와 함께 그 평면이 반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들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내부 공간과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 사이에는 격막천(41)(42)이 개재되어 상기 공간들은 각각 분리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는 그 상부가 망사(21)(31)로 되어 있다. 상기 망사(21)(31)는 천소재일 수도 있고,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상부를 망사(21)(31)로 구성한 것은 베개 사용시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하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천소재(22)(3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내부 공간에 충전물을 삽입하기 위한 지퍼결착부(23)(33)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하부에 천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그 상부와 마찬가지로 망사(22')(32')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지퍼결착부(23')(33')는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와 몸체부(10)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내부 공간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호간에 공극이 형성되는 소재가 충전된다.상호간에 공극이 형성된다는 의미는 소재 각각이 부피를 가져 이들이 충전될 경우 그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소재로는 이미 알려진 합성수지와 바이오세라믹 소재를 혼합한 후 이를 압출하고 세절하여 제조한 소위 '바이오칩'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이오칩(100)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절된 원통형이며, 이러한 바이오칩(100)을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내부 공간에 충전할 경우, 바이오칩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 상호간에도 넓은 공극이 확보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바이오칩 외에도, 나무칩, 옥칩 및 메밀 등의 곡식류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충전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베개의 몸체부(10) 모서리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베개부(20)의 상부 정점까지의 길이(L1)는 몸체부(10) 모서리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베개부(30)의 상부 정점까지의 길이(L2)와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제1 베개부 (20)의 길이(L1)가 제2 베개부(30)의 길이(L2) 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베개부(20)의 내부 공간이 제2 베개부(30)의 내부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을 것이고, 따라서 충전물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제1 베개부(20)의 높이는 제2 베개부(30)의 높이에 비해 낮다.
이것은 베개를 사용하는 사람마다 각각 머리부와 목의 길이와 높이가 서로 다른 점을 감안하여, 길이가 서로 다른 베개부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체형에 맞도록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및 제2 베개부 (20)(30)와 몸체부(10)의 경계(24)(34)는 베개 중심부로 갈수록 그 골이 깊어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중심부(10a)는 그 가장자리부(10b)(10c)에 비해 오목하게 골이 형성되는데, 이 중심부(10a)의 골은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 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 위에 놓일 때, 머리가 베개 중심의 오목한 골자리에 위치함으로써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즉, 몸체부(10)의 중심부(10a)가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뒷머리가 상기 중심부(10a)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사용자의 목부분은 제1 및 제2 베개부(20)(30)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베개부(20)(3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비교적 목이 긴 체형의 사용자는 베개 몸체부(10)의 모서리 단부로부터 반원형 정점까지의 길이(L2)가 상대적으로 긴 제2 베개부(30) 쪽의 베개를 취침 방향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장시간 취침을 하더라도 뒷머리 및 목부분과 접촉하고 있는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상면이망사(21)(31)로 이루어져 있고, 나아가 그 내부에는 상호 공극을 가지는 충전물에 의해 충전되어 있으므로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됨으로써 상기 인체 부분의 땀을 식혀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베개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알맞도록 베개의 취침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와 목의 굴곡에 상응하도록 베개 몸체의 중심부와 베개부가 적절한 높이로 구성되어 취침시에 항상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시켜준다. 나아가, 본 고안의 베개에는 머리와 목이 닿는 부위에 망사를 형성하고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장시간 베개를 사용하더라도 땀이 차지 않도록 해준다.

Claims (4)

  1. 두 겹의 천소재 가장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충전물을 채워넣음으로써 형성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 모서리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격막천(41)(42)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1 및 제2 베개부(20)(3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 베개부(20)(30)는 그 상부가 망사(21)(31)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 공간에는 통풍이 되도록 상호 공극을 가진 충전물이 충전되고,
    상기 몸체부(10) 모서리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베개부(20)의 상부 정점까지의 길이(L1)와 몸체부(10) 모서리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베개부(30)의 상부 정점까지의 길이(L2)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와 상기 몸체부(10) 사이의 경계(24)(34)는 베개 중심부로 갈수록 그 골이 깊어지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10)의 중심부(10a)는 그 가장자리부(10b)(10c)에 비해 오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 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하부는, 천소재(22)(32)로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하부는, 망사(22')(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베개부(20)(30)의 내부 공간에는 합성수지와 바이오세라믹 소재를 혼합한 후 이를 압출하고 세절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원통형상의 칩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2003-0014048U 2003-05-06 2003-05-06 베개 KR200326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048U KR200326089Y1 (ko) 2003-05-06 2003-05-06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048U KR200326089Y1 (ko) 2003-05-06 2003-05-06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089Y1 true KR200326089Y1 (ko) 2003-09-13

Family

ID=4941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048U KR200326089Y1 (ko) 2003-05-06 2003-05-06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0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57B1 (ko) * 2018-05-15 2019-05-07 강병구 편백나무큐브와 계피나무껍질이 포함된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57B1 (ko) * 2018-05-15 2019-05-07 강병구 편백나무큐브와 계피나무껍질이 포함된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034B2 (en) Pillow cover with neck support
US10292509B2 (en) Universal pillow
TWI299657B (en) Pillow
US10051967B2 (en) Adjustable thickness travel pillows
US20120102654A1 (en) Pillow
KR100718338B1 (ko)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US7159258B2 (en) Replaceable bedding structure
KR200326089Y1 (ko) 베개
JP3946495B2 (ja) ベッド用マットレス
JP3147396U (ja) 快眠枕
US7055197B1 (en) Multi-pillow construction
JP2003052509A (ja)
JP3171680U (ja)
JPH1146952A (ja)
KR20100006002U (ko) 베개
JP3049222U (ja) 高さ調節可能安眠枕
CN219396861U (zh) 360度可调节随心枕
JP3238913U (ja) 硬さと高さをそれぞれ調整できるチップ枕
CN2508772Y (zh) 安眠枕
CN211608851U (zh) 一种采用epp作为原材料制作的可变换成床的板凳
JP3122662U (ja) 布団用中芯
JPH0123328Y2 (ko)
KR200360842Y1 (ko) 통기성 베개
KR200161569Y1 (ko) 베개
EP1124470A1 (en) Supporting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