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970Y1 - 오물수거포대 - Google Patents

오물수거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970Y1
KR200325970Y1 KR20-2003-0019858U KR20030019858U KR200325970Y1 KR 200325970 Y1 KR200325970 Y1 KR 200325970Y1 KR 20030019858 U KR20030019858 U KR 20030019858U KR 200325970 Y1 KR200325970 Y1 KR 200325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dirt
opening
separation
d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용
Original Assignee
권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재용 filed Critical 권재용
Priority to KR20-2003-0019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물 수거 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중에 애완견 등에 의해 생기는 오물을 수거 할 수 있는 오물 수거 포대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 지며 사방이 막히되 그 상부는 개구를 형성하는 오물포대(2)와, 상기한 오물 포대(2)에 삽입되며, 사방이 막히고 그 상단에 개구(6)가 형성된 분리포대(1)의 조합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오물포대(2)는 수용성 종이 재질로 이루어 지며, 상기한 분리포대(1)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물 수거 포대{BAG FOR COLLECTING FILTH}
본 고안은 오물 수거 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중에 애완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오물을 수거학 위한 일회용 오물 수거 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애완견을 데리고 산책 등을 할 경우, 애완견이 변을 보게 되면 그 처리가 매우 난감하다.
따라서 그 애완견 주인은 휴지와 비닐 봉지 등을 별도로 준비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애완견이 변을 보게 되면 매우 불편하고 불결하게 그 오물을 수거하여야만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애와견의 변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 포대를 개발하게 되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오물 수거 포대의 분해도
도 2 는 본 고안의 포대를 사용하는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포대를 사용하여 오물을 수용한 상태도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 지며 사방이 막히되 그 상부는 개구를 형성하는 오물포대(2)와, 상기한 오물 포대(2)에 삽입되며, 사방이 막히고 그 상단에 개구(6)가 형성된 분리포대(1)의 조합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오물포대(2)는 수용성 종이 재질로 이루어 지며, 상기한 분리포대(1)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추가로 첨부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오물처리 포대에 대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리포대(1)와 오물포대(2)로 이루어 진다
분리포대(1)는 오물포대(2) 안에 삽입된다
오물포대(2)의 하단(4)은 막히고 상단은 개방된 개구(5)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분리포대(1) 역시 하단은 막히고 상단은 개구(6)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포대(1)의 가로 최대 길이는 오물포대(2)의 삽입 가능한 가로길이(3) 보다 작게 만든다
오물포대(2)는 물에 녹는 수용성 종이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리포대(1)는 물에 적셔지지 않는 비닐 등의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환경오염을 감안하여 썩는 비닐재로 만드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한 분리포대(1)는 오물포대(2) 안에 내장된 상태로 판매 및 사용된다
도 2 는 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들어 애완견이 변(7)을 보았을 경우, 사람손을 분리포대(1)의 개구(6)를 통해 삽입한 후, 오물포대(2)를 변(7)에 대고 감싸 쥔다. 이와 같이 변(7)을 감싸 쥔 상태에서, 예를들어 주먹을 쥔 상태에서 다른 한 손을 이용하여 분리포대(1)의 외면(10)이 분리포대(1)의 내면이 되도록 뒤집는다. 그리고 묶으면 도 3 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하면, 변(7)이 손에 전혀 뭍지 않고 종이재로 이루어진 오물포대(2)에 감싸져서 분리포대(1) 내에 안전하게 보관된다
사용자는 이 포대를 화장실에 가서 묶음을 풀고 오물포대(2) 및 이에 감싸진 변(7)을 변기 내에 함께 버리고 분리포대(1)는 휴지통에 따로 넣는다. 또는 오물포대(2)와 변(7)은 매립하고 비닐은 따로 분리 처리한다. 비닐이 섞는 재질의 비닐이라면 그냥 함께 매립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예를들어 집을 벗어나 애완견을 데리고 다닐 경우, 애완견의 변이나 기타 오물 등을 그 자리에서 수거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그 처리도 깨끗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오물포대(2)는 수용성이어서 화장실의 변기 내에 투여 하여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하는 자 역시 매우 위생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종이 재질로 이루어 지며 사방이 막히되 그 상부는 개구를 형성하는 오물포대(2)와,
    상기한 오물 포대(2)에 삽입되며, 사방이 막히고 그 상단에 개구(6)가 형성된 분리포대(1)의 조합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 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물포대(2)는 수용성 종이 재질로 이루어 지며, 상기한 분리포대(1)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 포대
KR20-2003-0019858U 2003-06-24 2003-06-24 오물수거포대 KR200325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858U KR200325970Y1 (ko) 2003-06-24 2003-06-24 오물수거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858U KR200325970Y1 (ko) 2003-06-24 2003-06-24 오물수거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970Y1 true KR200325970Y1 (ko) 2003-09-13

Family

ID=4941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858U KR200325970Y1 (ko) 2003-06-24 2003-06-24 오물수거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9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4777A (en) Dog waste scoop
KR200325970Y1 (ko) 오물수거포대
KR200421795Y1 (ko) 휴대용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기
KR101609829B1 (ko) 반려동물용 배설물 처리 봉투
JP3909079B1 (ja) 汚物処理袋
KR200351850Y1 (ko) 애견 배설물 처리도구
KR200331637Y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 위생봉투
KR200410641Y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구
KR20090027881A (ko) 애완동물용 오물 수거기
KR200420527Y1 (ko) 애완동물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조립식 용기
JP3011267U (ja) 動物の排泄物収集装置
JP3116937U (ja) ペットの排泄物処理容器及び補助具
JP3139084U (ja) 多用途型の簡易携帯トイレ
JPH10117621A (ja) ふん収納具
JPH0240768Y2 (ko)
JP3006105U (ja) 路上の糞を回収する袋
JP4001155B2 (ja) 犬用携帯小便具
JPH0548660U (ja) ペットの排泄物捕捉器
KR20170133106A (ko)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기구
JP3017188U (ja) 動物の排泄物収集装置
JPH1075677A (ja) ペットの糞処理袋
JPS6018046Y2 (ja) 犬用汚物処理具
KR20220013791A (ko) 반려동물용 배변 집게
JP4778759B2 (ja) ペットの糞の回収用具
JP3046885U (ja) 屋外でのペット犬等の汚物処理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