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800Y1 -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800Y1
KR200325800Y1 KR20-2003-0019224U KR20030019224U KR200325800Y1 KR 200325800 Y1 KR200325800 Y1 KR 200325800Y1 KR 20030019224 U KR20030019224 U KR 20030019224U KR 200325800 Y1 KR200325800 Y1 KR 200325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lock
latch
shaf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화테크
Priority to KR20-2003-0019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4Fastening the knob or the handle shank to the spindle by screws, springs or snap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005Cylindrical or tubular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래치유니트(20)의 양면에 각각의 레버(21), 레버홀더(22), 플레이트(24) 등을 결합하여 일측 레버(21)의 회전운동을 래치(L)를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도어로크에 관련된다. 구성에 있어서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동형으로 형성되는 각축(35)이 상기 각각의 레버홀더(22)에 스프링(34)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각축(35)의 이탈을 구속하는 작동판(25)이 상기 각축(35)에 삽착된 상태로 레버홀더(22)에 장착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각축(35)은 양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35a)과, 외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35b)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상기 작동판(25)은 상기 각축(35)의 요홈(35a)에 안착되어 활주하는 걸림턱(25a)을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도어로크의 제조에 있어서 가공비가 절감되고 사용에 있어서 보관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Connecting member for operating door lock latch}
본 고안은 도어로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어로크의 제조에 있어서 가공비가 절감되고 사용에 있어서 보관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로크의 래치작동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래치에서 각축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어로크는 크게 나누어 도어에 내장되는 래치유니트(10)와 도어의 내외부로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레버로 구성되며, 레버의 회전으로 래치유니트(10)의 래치(L)가 도어프레임으로 출입하며 도어의 개폐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레버와 래치유니트(10) 사이에는 각형단면의 각축(11)(12)이 개재되어 레버의 회전운동이 래치(L)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축(11)(12)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가공된 후에 상호 동축상으로 결합하고 압착부(16)를 형성하여 일체화한다. 각축(11)(12)이 래치유니트(10) 상의 정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처럼 구체(13)와 돌기(17)가 구비된다. 구체(13)는 일측의 각축(11)에서 일부만 노출되도록 스프링(14)으로 탄지된다. 돌기(17)는 타측의 각축(11)에서 2~4 모서리에 미세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축(11)(12)의 조립 설치시 먼저 부호 11의 각축을 래치유니트(10)로 통과시키는데 이때 구체(13)가 내부로 함몰된다. 이어서 부호 12의 각축의 돌기(17)가 걸릴 때까지 밀어 넣으면 다시 구체(13)가 복귀되고, 각축(11)(12)은 도 1처럼 래치유니트(10) 내에서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축(11)(12)은 별개의 형태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가공비가 과다하게 되고, 설치전에 가조립 상태로 보관할 때에 분리되어 분실되기 쉬우며, 설치시에도 어느 정도 경험을 지니지 못한 미숙련 작업자에게 조립성이 그다지 양호하지 않다는 단점을 지닌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구체(13) 대신에 고무재 O-링이나 강판재 판스프링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각축(11)(12)을 설정된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은 동일하지만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로크의 제조에 있어서 가공비가 절감되고, 사용에 있어서 보관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로크의 래치작동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래치에서 각축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로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각축의 가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각축의 가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로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래치유니트 21: 레버
22: 레버홀더 23: 부싱
24: 플레이트 25: 작동판
34: 스프링 35: 각축
35a: 요홈 35b: 돌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래치유니트(20)의 양면에 각각의 레버(21), 레버홀더(22), 플레이트(24) 등을 결합하여 일측 레버(21)의 회전운동을 래치(L)를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도어로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버홀더(22)에 스프링(34)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동형으로 형성되는 각축(35); 및 상기 각축(35)에 삽착된 상태로 레버홀더(22)에 장착되고, 각축(35)의 이탈을 구속하는 작동판(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각축(35)은 양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35a)과, 외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35b)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작동판(25)은 상기 각축(35)의 요홈(35a)에 안착되어 활주하는 걸림턱(25a)을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로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각축의 가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각축의 가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로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래치유니트(20)의 양면에 각각의 레버(21), 레버홀더(22), 플레이트(24) 등을 결합하여 일측 레버(21)의 회전운동을 래치(L)를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도어로크에 관련된다. 도어 내측 및 외측의 레버(21)는 각각의 레버홀더(22), 부싱(23), 플레이트(24)와 연결되는 구성에 있어 대체로 동일성이 있다. 물론, 도어로크의 방식에 따라 내 · 외측의 플레이트(24) 형태가 약간 다르거나 내 · 외측 중의 일측에만 별도의 부품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레버홀더(22)에 스프링(34)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각축(35)이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동형으로 형성된다. 각축(35)은 4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레버홀더(22)에 수용되어 레버(21)를 돌릴 때 연동하여 래치유니트(20)를 작동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내 · 외측의 레버(21)에 동일한 형태의 각축(35)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각축처럼 각축을 각각 다른 형태로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에 비하여 가공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스프링(34)은 각축(35)이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가압할 수 있는 정도 탄성력을 지닌 것을 선택한다. 스프링(34)의 탄성력이 너무 크면 오히려 조립상에 불편을 초래한다. 스프링(34)의 외경은 각축(35)보다 작아 레버홀더(22)에 수용된 상태에서 각축(35)의 단면에 접촉하며 축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각축(35)의 이탈을 구속하는 작동판(25)이 각축(35)에 삽착된 상태로 레버홀더(22)에 장착된다. 레버(21)에 레버홀더(22), 부싱(23), 플레이트(24), 스프링(34), 각축(35)이 차례로 결합되고 마지막으로 작동판(25)이 각축(35)에 작동판(25)이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작동판(25)은 각축(35)과 마찬가지로 금속재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각축(35)은 양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35a)과, 외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35b)를 구비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홈(35a)은 3면에서 턱이 형성되고, 일면(상단)에서 턱이 없는 형태로 가공된다. 요홈(35a)의 깊이는 그다지 클 필요가 없으며 1㎜ 이상이면 충분하다. 돌기(35b)는 각축(35)의 일단(상단)에서 동일한 거리의 2~4개소 모서리에 미세하게 돌출되도록 엠보싱 가공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작동판(25)은 상기 각축(35)의 요홈(35a)에 안착되어 활주하는 걸림턱(25a)을 더 구비한다. 걸림턱(25a)의 구성은 전술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의 개구상에서 내향지게 돌출된다. 작동판(25)의 걸림턱(25a)은 각축(35)의 요홈(35a)보다 폭을 약간 작게 형성하여 걸림턱(25a)이 요홈(35a) 상에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와 같은 가조립 상태에서 스프링(34)에 탄지된 각축(35)이 작동판(25)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는 각축(35)의 요홈(35a)에 의해 양면에서 단턱이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조현장이나 설치현장에서 보관하기 용이하고 스프링(34)이나 각축(35)을 분실할 우려가 전혀 없다.
도 6에서, 내외측의 레버(21)에 동일한 형태의 각축(35)이 사용되므로 조립과 동시에 양측 각축(35)의 접합면이 래치유니트(20)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때 각축(35)의 돌기(35b)가 래치유니트(20)의 양단에 각각 접촉하여 더 이상의 전진이 구속된다. 동형의 각축(35)을 사용하기 때문에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라도 조립의 방향성에 착오를 일으킬 우려가 없다.
또한 고급 또는 특수 도어로크의 경우에는 각각의 레버(21)에서 전달되는 조작력을 래치유니트(20)에 전달하는 각축(35)이 개별적으로 회전되어 다른 레버(21)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구성은 각축(35)이 분리되는 형태이므로 이러한 용도에 있어서 더욱 장점을 발휘하는 작용 · 효과가 있다.
상술한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의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는 도어로크의 제조에 있어서 가공비가 크게 절감될 뿐만 아니라 사용에 있어서도 보관성과 설치 작업성이 개선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래치유니트(20)의 양면에 각각의 레버(21), 레버홀더(22), 플레이트(24) 등을 결합하여 일측 레버(21)의 회전운동을 래치(L)를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도어로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버홀더(22)에 스프링(34)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동형으로 형성되는 각축(35); 및
    상기 각축(35)에 삽착된 상태로 레버홀더(22)에 장착되고, 각축(35)의 이탈을 구속하는 작동판(2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축(35)은 양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35a)과, 외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3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25)은 상기 각축(35)의 요홈(35a)에 안착되어 활주하는 걸림턱(25a)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KR20-2003-0019224U 2003-06-18 2003-06-18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KR200325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224U KR200325800Y1 (ko) 2003-06-18 2003-06-18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224U KR200325800Y1 (ko) 2003-06-18 2003-06-18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800Y1 true KR200325800Y1 (ko) 2003-09-06

Family

ID=4933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224U KR200325800Y1 (ko) 2003-06-18 2003-06-18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8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201B1 (ko) * 2016-06-16 2017-03-31 주식회사 신화이엔지 방화용 도어록 장치
KR101779587B1 (ko) 2016-03-25 2017-09-18 맹청인 방화문용 도어록 레버 장치
KR102157510B1 (ko) * 2019-07-11 2020-09-18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원터치에 의한 간편 조립형 도어용 스핀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587B1 (ko) 2016-03-25 2017-09-18 맹청인 방화문용 도어록 레버 장치
KR101722201B1 (ko) * 2016-06-16 2017-03-31 주식회사 신화이엔지 방화용 도어록 장치
KR102157510B1 (ko) * 2019-07-11 2020-09-18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원터치에 의한 간편 조립형 도어용 스핀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71336B (zh) 双棘爪棘轮机构及换向方法
CN109079691B (zh) 棘轮齿轮加强环
JPH07307125A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
CA2908438C (en) Rotatable control device with axial translation
KR200325800Y1 (ko) 도어로크의 래치작동용 연결구
EP0747612B1 (en) Gear change device for a transmission
US6443505B1 (en) Variable turn latch assembly and method
US5743763A (en) Industrial-type mobile electric socket and plug of easier assembling
US5048145A (en) Wiper blade with improved lever to yoke connector
CN2921200Y (zh) 通用换向型锁执手结构
CN212614135U (zh) 斜锁舌安装结构及其门锁
JP2009292257A (ja) パーキング装置構造
CN219740933U (zh) 一种电控盒、空调室外机和空调器
KR100417981B1 (ko) 유니버셜 스크라이버
KR20190097040A (ko) 볼 조인트를 위한 소켓 조립체
WO2022190981A1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及びスライドシート装置
KR100854762B1 (ko) 광각조인트
CN212105460U (zh) 联轴器、辅助开锁装置和门锁
CN210509932U (zh) 一种基于偏心轴的驱动结构
KR200155265Y1 (ko) 자동차 클러치의 릴리스 포크와 릴리스 샤프트의 결합구조
JPH0319641Y2 (ko)
CN112081459A (zh) 斜锁舌安装结构及其门锁
KR200301927Y1 (ko) 자동차용 조향축의 커플링 조인트
JP2576511Y2 (ja) スイッチ構造
JP3472892B2 (ja) スライド式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