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617Y1 - 비닐지퍼백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비닐지퍼백 제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617Y1
KR200325617Y1 KR20-2003-0017846U KR20030017846U KR200325617Y1 KR 200325617 Y1 KR200325617 Y1 KR 200325617Y1 KR 20030017846 U KR20030017846 U KR 20030017846U KR 200325617 Y1 KR200325617 Y1 KR 200325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roller
roller
compression spring
contact portion
zipp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근
Original Assignee
임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근 filed Critical 임종근
Priority to KR20-2003-0017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6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joining step and the severing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9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지퍼백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밀착부(3)와 제2밀착부(4)로 이루어진 하부롤러(2)와; 상기 하부롤러(2)의 제1밀착부(3)에 밀착지지되는 제1상부롤러(5)와; 상기 제1상부롤러(5) 양측 및 그 상부의 제1브라켓(7)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상부롤러(5)를 하측으로 눌러 지지하는 제1압축스프링(8)과; 상기 제1브라켓(7)에 설치되어 상기 제1압축스프링(8)의 텐션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조절노브(9)와; 상기 하부롤러(2)의 제2밀착부(4)에 밀착지지되는 제2상부롤러(6)와; 상기 제2상부롤러(6) 양측 및 그 상부의 제2브라켓(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상부롤러(6)를 하측으로 눌러 지지하는 제2압축스프링(11)과; 상기 제2브라켓(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압축스프링(11)의 텐션력을 조절하는 제2압력조절노브(12)로 이루어진 비닐지퍼백 제조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하부롤러(2)의 제1밀착부(3)와 제2밀착부(4) 상에 각각 제1상부롤러(5)와 제2상부롤러(6)가 구비되고, 제1상부롤러(5) 양측에 제1상부롤러(5)와 제1밀착부(3) 사이의 압착력을 조절하도록 제1압축스프링(8) 및 제1압력조절노브(9)가 설치되며, 제2상부롤러(6) 양측에 제2상부롤러(6)와 제2밀착부(4) 사이의 압착력을 조절하도록 제2압축스프링(11) 및 제2압력조절노브(12)가 설치되므로 하부롤러(2) 및 제1상부롤러(5), 제2상부롤러(6)의 압착력이 네줄의 비닐지퍼백 원단(13)에 일정하게 작용하므로 이들의 이송거리가 항상 동일하여 네개의 비닐지퍼백이 동일한 크기로 절단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비닐지퍼백 제조장치{vinyl fastener bag producing method}
본 고안은 비닐지퍼백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 줄의 비닐지퍼백용 원단을 일정한 압력으로 커터로 공급하기 위한 비닐지퍼백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된 두 부분을 자유로이 접합하고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지퍼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똑딱 단추"라고 불리는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가 구비되어 의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일명 "찍찍이"로 불리우는 밸크로 파스너(velcro fastener)가 모자 사이즈 조정밴드나 가방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비닐봉투 등의 입구의 자유로운 개폐를 위해 비닐 파스너(vinyl resin fastener)가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 파스너 즉, 비닐 지퍼가 구비되는 비닐지퍼백은,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s)을 원료 호퍼에 공급하고 이를 실린더로 주입시킨 후 스크류에 의해 링구와 조각판으로 이루어진 성형틀의 주입홈으로 공급시키게 된다.
한편 주입홈으로 공급되는 폴리에틸렌은 조각판 일측에 결합된 두 지퍼조각의 암수 홈들에도 공급되는바, 이에 따라 용융상태의 폴리에틸렌이 주입홈과 지퍼조각의 암수 홈들을 통과하면서 원통형 지퍼백 원단이 제조됨과 동시에 원통형 원단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암수의 비닐지퍼가 이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비닐지퍼백 원단은 다수의 롤러를 지나 원단롤에 권취된 후 비닐지퍼백 제조장치로 공급되며, 이에 공급된 비닐지퍼백 원단은 다수의 롤러들을 통해 원단공급부로 이송되며, 이 원단공급부에 의해 비닐지퍼백 원단이 커팅부로 일정길이씩 자동공급된다.
여기서 원단공급부는 하나의 하부롤러와 이에 대응되는 하나의 상부롤러로 이루어지고 하부롤러와 상부롤러 사이의 압착력을 조절하도록 상부롤러 양측에 압축스프링 및 압력조절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비닐지퍼백 제조장치는 비닐지퍼백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원단공급부에 한 줄의 비닐지퍼백 원단만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줄의 원단을 동시에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원단공급부는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 사이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압축스프링 및 압력조절노브가 상부롤러 양측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여러 줄의 원단이 공급될시 압착력이 비교적 큰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 양측에 위치한 두 원단은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구동시 원만하게 물려 들어가나, 압착력이 비교적 약한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의 중간부분에 위치한 원단들은 제대로 물려 들어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여러 줄의 비닐지퍼백 원단들이 일정한 길이씩 이송되지 못하므로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종래에는 비교적 넓은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에 단 두 줄의 비닐지퍼백 원단만 공급하였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롤러와 제1상부롤러 및 제2상부롤러 사이의 압착력을 균일하게 하여 네 줄의 비닐지퍼백용 원단을 일정한 길이씩 커터측으로 공급하도록 한 비닐지퍼백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비닐지퍼백 제조장치는, 비닐지퍼백 제조장치에 있어서, 제1밀착부와 제2밀착부로 이루어진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제1밀착부에 밀착지지되는 제1상부롤러와; 상기 제1상부롤러 양측 및 그 상부의 제1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상부롤러를 하측으로 눌러 지지하는 제1압축스프링과;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1압축스프링의 텐션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조절노브와; 상기 하부롤러의 제2밀착부에 밀착지지되는 제2상부롤러와; 상기 제2상부롤러 양측 및 그 상부의 제2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상부롤러를 하측으로 눌러 지지하는 제2압축스프링과;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압축스프링의 텐션력을 조절하는 제2압력조절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부롤러의 제1밀착부와 제2밀착부 상에 각각 제1상부롤러와 제2상부롤러가 구비되고, 제1상부롤러 양측에 제1상부롤러와 제1밀착부 사이의 압착력을 조절하도록 제1압축스프링 및 제1압력조절노브가 설치되며, 제2상부롤러 양측에 제2상부롤러와 제2밀착부 사이의 압착력을 조절하도록 제2압축스프링 및 제2압력조절노브가 설치되므로 하부롤러 및 제1상부롤러, 제2상부롤러의 압착력이 네줄의 비닐지퍼백 원단에 일정하게 작용하므로 이들의 이송거리가 항상 동일하여 네개의 비닐지퍼백이 동일한 크기로 절단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비닐지퍼백 제조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단공급부 2 ; 하부롤러
3 ; 제1밀착부 4 ; 제2밀착부
5 ; 제1상부롤러 6 ; 제2상부롤러
8 ; 제1압축스프링 9 ; 제1압력조절노브
11 ; 제2압축스프링 12 ; 제2제압력조절노브
13 ; 원단(비닐지퍼백)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비닐지퍼백 제조장치의 원단공급부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2는 그 정면도이며, 도3은 도2에서 비닐지퍼백 원단(13)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로써, 이 원단공급부(1)는 네개의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네줄의 원단(13)을 커팅부로 일정 길이씩 자동공급하는 장치이다.
이 원단공급부(1)는, 제1밀착부(3)와 제2밀착부(4)로 이루어진 하부롤러(2)가 구비되고, 이 하부롤러(2)의 제1밀착부(3)에는 제1상부롤러(5)가 밀착지지되며, 제1상부롤러(5) 양측 및 그 상부의 제1브라켓(7) 사이에는 제1상부롤러(5)를 하측으로 눌러 지지하도록 2개의 제1압축스프링(8)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브라켓(7)에는 제1압축스프링(8)의 텐션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조절노브(9)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회전시킬시 제1압축스프링(8)이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제1상부롤러(5)와 이에 대응되는 하부롤러(2)의 제1밀착부(3) 사이의 압착력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하부롤러(2)의 제2밀착부(4)에는 이에 밀착지지되는 제2상부롤러(6)가 구비되고, 제2상부롤러(6) 양측 및 그 상부의 제2브라켓(10) 사이에는 제2상부롤러(6)를 하측으로 눌러 지지하도록 제2압축스프링(11)이 설치되며, 제2브라켓(10)에는 제2압축스프링(11)의 텐션력을 조절하도록 제2압력조절노브(12)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비닐지퍼백 제조장치는 네개의 비닐지퍼백 원단롤로부터 공급되는 원단(13)이 다수의 롤러를 지나 본 고안의 원단공급부(1)에 공급되는바, 두 줄의 원단(13)이 제1상부롤러(5)와 제1밀착부(3)에 각각 공급되고, 나머지 두 줄의 원단(13)이 제2상부롤러(6)와 제2밀착부(4)에 각각 공급되어 모두 네줄의 원단(13)이 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원단공급부(1)에 네줄의 원단(13)이 공급되면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가 구동되어 하부롤러(2)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롤러(2) 및 이에 밀착지지된 제1상부롤러(5), 제2상부롤러(6)가 회전되면서 네 줄의 원단(13)을 일정길이씩 전진,공급하게 되며, 이때 원단공급부(1) 일측의 커팅부(도시안됨)가 작동되면서 원단(13)을 커팅 및 융착시켜서 일정크기의 비닐지퍼백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 비닐지퍼백 제조장치는 원단공급부(1)에 네줄의 원단이 공급되어도 네 줄 모두 동일한 거리만큼씩 이송시키게 되는바, 제1압력조절노브 및 제1압축스프링(8)이 제1상부롤러(5)의 양측을 눌러 지지하므로 제1상부롤러(5)와 하부롤러(2)의 제1밀착부(3) 사이로 공급되는 두 줄의 원단에 동일한 압착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제2압력조절노브(12) 및 제2압축스프링(11)이 제2상부롤러(6)의 양측을 눌러 지지하므로 제2상부롤러(6)와 하부롤러(2)의 제2밀착부(4) 사이로 공급되는 두 줄의 원단에 동일한 압착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하부롤러(2)가 간헐적으로 회전될시 네 줄의 원단이 동일한 길이만큼 이송되므로,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비닐지퍼백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여 한번 커팅시 네 개의 비닐지퍼백이 제작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종래에는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양측 압착력에 비해 중앙부분의 압착력이 약하여 네 줄의 원단을 공급할시 중앙부분의 두 줄의 원단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고 울거나 일부 접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는바, 본원고안은 제1상부롤러(5) 및 제2상부롤러(6)가 구비되고, 각각의 제1,2상부롤러(5)(6) 양단을 눌러지지하므로 이에 네 줄의 원단이 공급되어도 일부가 울거나 접히는 문제가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지퍼백 제조장치에 의하면, 하부롤러(2)의 제1밀착부(3)와 제2밀착부(4) 상에 각각 제1상부롤러(5)와 제2상부롤러(6)가 구비되고, 제1상부롤러(5) 양측에 제1상부롤러(5)와 제1밀착부(3) 사이의 압착력을 조절하도록 제1압축스프링(8) 및 제1압력조절노브(9)가 설치되며, 제2상부롤러(6) 양측에 제2상부롤러(6)와 제2밀착부(4) 사이의 압착력을 조절하도록 제2압축스프링(11) 및 제2압력조절노브(12)가 설치되므로 하부롤러(2) 및 제1상부롤러(5), 제2상부롤러(6)의 압착력이 네줄의 비닐지퍼백 원단(13)에 일정하게 작용하므로 이들의 이송거리가 항상 동일하여 네개의 비닐지퍼백이 동일한 크기로 절단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비닐지퍼백 제조장치에 있어서,
    제1밀착부(3)와 제2밀착부(4)로 이루어진 하부롤러(2)와;
    상기 하부롤러(2)의 제1밀착부(3)에 밀착지지되는 제1상부롤러(5)와;
    상기 제1상부롤러(5) 양측 및 그 상부의 제1브라켓(7)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상부롤러(5)를 하측으로 눌러 지지하는 제1압축스프링(8)과;
    상기 제1브라켓(7)에 설치되어 상기 제1압축스프링(8)의 텐션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조절노브(9)와;
    상기 하부롤러(2)의 제2밀착부(4)에 밀착지지되는 제2상부롤러(6)와;
    상기 제2상부롤러(6) 양측 및 그 상부의 제2브라켓(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상부롤러(6)를 하측으로 눌러 지지하는 제2압축스프링(11)과;
    상기 제2브라켓(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압축스프링(11)의 텐션력을 조절하는 제2압력조절노브(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지퍼백 제조장치.
KR20-2003-0017846U 2003-06-07 2003-06-07 비닐지퍼백 제조장치 KR200325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846U KR200325617Y1 (ko) 2003-06-07 2003-06-07 비닐지퍼백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846U KR200325617Y1 (ko) 2003-06-07 2003-06-07 비닐지퍼백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617Y1 true KR200325617Y1 (ko) 2003-09-03

Family

ID=4933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846U KR200325617Y1 (ko) 2003-06-07 2003-06-07 비닐지퍼백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6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47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bossing sheets
GB2054451B (en) Making tubular plastics intermediate product and forming reclosable bags therefrom
KR200325617Y1 (ko) 비닐지퍼백 제조장치
CA1173636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ide fastener chains having solid sections
KR930002483Y1 (ko) 가방결착구와 결착끈의 동시성형 물림장치
KR100297004B1 (ko) 비닐대지의 엠보싱 성형장치 및 엠보싱 성형방법
US68306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olded labels having rounded corners
KR101745885B1 (ko) 장식 밴드 제조 장치
US43234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dielectrically sealed laminar sheet materials
JPS6471727A (en) Method and device for tubular orientation of thermoplastic resin
KR100752159B1 (ko) 비닐지 엠보싱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US20030176130A1 (en) Bonding machine for a substrate
GB236703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ess molded bodies
KR100441291B1 (ko) 합성수지 지퍼원단 일체형 시트의 제조장치 및 방법
CN218112003U (zh) 一种新型预热复合机
US48592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sealing belt loop ends and belt loop construction
WO2002009927A3 (en) Hairy film with increased throughput
CN208133649U (zh) 一种全自动橡胶压泡机
WO2001087749A3 (de) Taktweise eine materialbahn verarbeitende maschine
KR200354947Y1 (ko) 장식구 부착기
ES2089969A2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realizacion por extrusion de elementos longilineos de estructura lagunar, y elementos asi obtenidos.
JPH0627394Y2 (ja) 長尺歯付ベルト製造装置
KR200277765Y1 (ko) 합성수지 지퍼원단 일체형 시트제조장치.
JP3104141U (ja) プラスチック板の押出成形装置
JPH0245112A (ja) 合成樹脂発泡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