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440Y1 - 회전구이기의 꽂이봉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구이기의 꽂이봉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440Y1
KR200325440Y1 KR20-2003-0017070U KR20030017070U KR200325440Y1 KR 200325440 Y1 KR200325440 Y1 KR 200325440Y1 KR 20030017070 U KR20030017070 U KR 20030017070U KR 200325440 Y1 KR200325440 Y1 KR 200325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uide
rotating body
hol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2003-0017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꽂이봉의 결합이 간편하도록 한 꽂이봉 안내장치에 관한다. 이 장치는 마주보는 양측벽(310)(320)을 가지는 케이스(300)를 구비하며, 케이스(300)의 일측 측벽(310)에는 그 상단부에 제1,2꽂이핀(351)(352)이 진입되는 삽입구(313)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안내슬롯(3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안내슬롯(312)의 하단부에 원형의 안내구멍(311)이 형성되며, 케이스의 타측 측벽(320)에는 수직안내슬롯(312)과 대향된 위치에 상부로부터 개구되어 꽂이봉(350)의 네크부(353)가 지지되는 지지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311)에 인접되어서는 안내구멍보다 직경이 크고 안내구멍(311)과 동일 중심선상에 회전체(400)가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체(400)에는 제1,2꽂이핀이 각각 회전체의 가장자리로부터 결합되는 제1,2결합홈(401)(402)이 대향되어 형성된다. 이 장치는 삽입구(313)와 수직안내슬롯(312) 및 안내구멍(311)이 형성된 측벽(310)에 제1,2결합홈이 형성된 회전체를 구비함으로써, 꽂이봉(350)을 측벽의 상단부로부터 진입시켜 놓기만 하면 회전체의 회전으로 자동적으로 결합홈에 진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꽂이봉의 결합작업이 간편하여 이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회전구이기의 꽂이봉안내장치 {a apparatus for guiding a rod of roaster}
본 고안은 회전구이기의 꽂이봉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두개의 꽂이핀이 한개조로 형성된 고기 꽂이봉을 간단하게 회전체에 꽂을 수 있도록 한 회전구이기의 꽂이봉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제0166351호)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이용자들이 고기 가열열로부터 해방되어서 편리하게 고기를 구울수 있도록 한회전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테이블(10)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중간막이(21)가 형성된 지지통(20)과; 지지통(20)에 수용되어 지지되고 각각 맥반석(100)이 충전되며 각 상면에 회전덮개(31a-33a)를 가지는 가열통(31-33)과; 가열통(31-33) 사이의 상부공간을 개폐시키도록 회전덮개(32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단덮개(41)(42)와; 가열통(31-33)의 저부에 위치되는 가스라인(51-53)과; 가열통(31-33)사이에 위치되어 지지통(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고기(200)등이 꽂아지는 꽂이봉(71,72)과; 지지통(20)의 중간막이(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에 꽂이봉(71,72)의 선단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홈(81a,82a)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분에 체인스프로켓이 마련된 회전봉(81,82)과, 각 회전봉(81)(82)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110)와, 모터에 전원을 공급/차단시키는 스위치(111)를 구비하는 꽂이봉 회전수단과; 지지통(20)의 저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름받이(1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는 차단덮개(41)(42)의 설치로 고기의 가열열의 과도한 외부방출을 차단하여 이용자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가스열효율이 대폭 증진되어 고기의 익힘시간을 단축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기구이장치는 꽂이봉(71)(72)의 선단부를 회전봉(81)(82)의 결함홈(81a)(82a)에 끼워맞춤하는 작업이 번거롭다. 즉, 꽂이봉(71)(72)의 손잡이를 잡고서 길이가 긴 꽂이봉(71)(72)의 단부를 회전봉(81)(82)의 결합홈(81a)(82a)에 결합시키기 쉽지 않으므로 이용하기 불편하다.
또한, 고기(200)를 꽂이봉(71,72)에 꽂는 도중에 각 꽂이봉(71,72)의 두 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각 꽂이봉(71,72)의 단부와 각 결합홈(81a)(82a)의 두 홈 사이의 간격이 맞지 않게 되므로 꽂이봉(71,72)을 회전봉(81)(82)에 결합시킬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멈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꽂이봉을 회전체에 간편하게 꽂을 수 있도록 한 회전구이기의 꽂이봉 안내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평행한 두 꽂이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더라도 회전체에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 회전구이기의 꽂이봉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회전구이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 회전구이기의 꽂이봉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안내장치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케이스 310,320...측벽
350...꽂이봉 400...회전체
500...모터 600...고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나란한 두개의 제1,2꽂이핀과 네크부 및 손잡이가 형성된 꽂이봉에 고기를 꽂아서 회전체에 결합시킨 후 꽂이봉을 회전시키면서 고기를 굽는 회전구이기에 있어서,
마주보는 양측벽을 가지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 측벽에는 그 상단부에 상기 제1,2꽂이핀이 진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안내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안내슬롯의 하단부에 원형의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측 측벽에는 상기 수직안내슬롯과 대향된 위치에 상부로부터 개구되어 상기 꽂이봉의 네크부가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에 인접되어서는 안내구멍보다 직경이 크고 안내구멍과 동일중심선상에 상기 회전체가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제1,2꽂이핀의 각각 회전체의 가장자리로부터 결합되는 제1,2결합홈이 대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결합홈의 입구측에는 회전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1,2견인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2꽂이핀이 각 제1,2결합홈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 회전구이기의 꽂이봉 안내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 장치는 나란한 두개의 제1,2꽂이핀(351)(352)과 네크부(353) 및 손잡이(354)가 형성된 꽂이봉(350)에 고기(600)를 꽂아서 회전체(400)에 결합시킨 후 꽂이봉(350)을 회전시키면서 고기(600)를 굽는 회전구이기에 적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마주보는 양측벽(310)(320)을 가지는 케이스(300)의 일측 측벽(310)에는 그 상단부에 상기 제1,2꽂이핀(351)(352)이 진입되는 삽입구(313)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31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안내슬롯(3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안내슬롯(312)의 하단부에는 원형의 안내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00)의 타측 측벽(320)에는 상기 수직안내슬롯(312)과 대향된 위치에 상부로부터 개구되어 상기 꽂이봉(350)의 네크부(353)가 지지되는 지지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구멍(311)에 인접되어서는 안내구멍(311)보다 직경이 크고 안내구멍(311)과 동일 중심선상에 상기 회전체(400)가 모터(500)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400)에는 상기 제1,2꽂이핀(351)(352)이 각각 회전체(400)의 가장자리로부터 결합되는 제1,2결합홈(401)(402)이 대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400)의 제1,2결합홈(401)(402)의 입구측에는 회전체(40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1,2견인부(403)(404)가 형성되어서, 회전체(400)가 회전될때 상기 제1,2꽂이핀(351)(352)이 제1,2견인부(403)(404)에 의해서 각 제1,2결합홈(401)(402)을 지나치지 않고 제1,2결합홈(401)(402)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벽(310)의 삽입구(313)는 제1,2꽂이핀(351)(352)의 진입이 수월하도록 입구가 확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고기(600)를 굽기위한 화로(미도시)는 꽂이봉(35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꽂이봉(350)의 측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꽂이봉(350)을 케이스(300)에 결합시키는 동작은 꽂이봉(350)의 선단을 측벽(310)의 삽입구(313)에 진입시켜 놓고 꽂이봉(350)의 네크부(353)를 다른 측벽(320)의 지지홈(321)에 결합하여 지지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꽂이봉 안내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모터(500)의 동력으로 회전체(40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고기(600)가 꽂아진 꽂이봉(350)을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313)에 진입시키면 먼저 아래측의 제2꽂이봉(352)이 회전체(400)의 가장자리에 얹혀지게 된다.
이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꽂이핀(352)이 수직안내슬롯(312)에 의해서 정지된 위치에서 회전되는 회전체(400)의 가장자리와 마찰되면서 미끄러지게 되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400)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제2꽂이핀(352)이 제2결합홈(402)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제1꽂이핀(351)은 수직안내슬롯(312)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체(400)의 가장자리에 접하게 되고, 회전체(400)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홈(401)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회전체(400)가 모터(500)의 동력으로 고속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2꽂이핀(351)(352)이 제1,2결합홈(401)(402)을 지나치려 하지만, 각 제1,2꽂이핀(351)(352)은 제1견인부(403)(404)에 의해서 제1,2결합홈(401)(402)으로 안내된다.
또한, 측벽(310)의 안내구멍(311)의 직경이 회전체(4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2결합홈(401)(402)으로 진입된 제1,2꽂이핀(351)(352)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된다.
꽂이봉(350)을 빼내는 동작은 손잡이(354)를 잡고 들어올리면, 지지홈(321)의 상단부가 트인 구조로 됨으로써 네크부(353)가 지지홈(321)로부터 이탈이 가능하고, 동시에 꽂이봉(350)을 손잡이(354)측으로 잡아당기면 자연스럽게 꽂이봉(350)의 선단이 회전체(40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또한, 고기(600)를 꽂이봉에 꽂는 도중에 제1,2꽂이핀(351)(352) 사이의 간격이 변형되더라도 안내구멍(311)의 내주면과 제1,2결합홈(401)(402)에 의해서 변형된 꽂이핀이 회전체(400)의 가장자리에 안내되어 다시 변형되면서 결합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꽂이봉 안내장치는 삽입구(313)와 수직안내슬롯(312) 및 안내구멍(311)이 형성된 측벽(310)에 제1,2결합홈(401)(402)이 형성된 회전체(400)를 구비함으로써, 꽂이봉(350)을 측벽의 상단부로부터 진입시켜 놓기만 하면 회전체의 회전으로 자동적으로 결합홈에 진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꽂이봉의 결합작업이 간편하여 이용이 편리하다.
또한, 제1,2꽂이핀 사이의 간격이 변형되더라도 안내구멍(311)의 내주면과 제1,2결합홈(401)(402)에 의해서 변형된 꽂이핀이 다시 변형되면서 결합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Claims (2)

  1. 나란한 두개의 제1,2꽂이핀과 네크부 및 손잡이가 형성된 꽂이봉에 고기를 꽂아서 회전체에 결합시킨 후 꽂이봉을 회전시키면서 고기를 굽는 회전구이기에 있어서,
    마주보는 양측벽(310)(320)을 가지는 케이스(30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300)의 일측 측벽(310)에는 그 상단부에 상기 제1,2꽂이핀(351)(352)이 진입되는 삽입구(313)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31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안내슬롯(3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안내슬롯(312)의 하단부에 원형의 안내구멍(31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00)의 타측 측벽(320)에는 상기 수직안내슬롯(312)과 대향된 위치에 상부로부터 개구되어 상기 꽂이봉(350)의 네크부(353)가 지지되는 지지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311)에 인접되어서는 안내구멍(311)보다 직경이 크고 안내구멍(311)과 동일 중심선상에 상기 회전체(400)가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전체(400)에는 상기 제1,2꽂이핀(351)(352)이 각각 회전체의 가장자리로부터 결합되는 제1,2결합홈(401)(402)이 대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의 꽂이봉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홈(401)(402)의 입구측에는 회전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1,2견인부(403)(404)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2꽂이핀(351)(352)이 각 제1,2결합홈(401)(402)으로 안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이기의 꽂이봉 안내장치.
KR20-2003-0017070U 2003-05-28 2003-05-28 회전구이기의 꽂이봉안내장치 KR200325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70U KR200325440Y1 (ko) 2003-05-28 2003-05-28 회전구이기의 꽂이봉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70U KR200325440Y1 (ko) 2003-05-28 2003-05-28 회전구이기의 꽂이봉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440Y1 true KR200325440Y1 (ko) 2003-09-03

Family

ID=4933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070U KR200325440Y1 (ko) 2003-05-28 2003-05-28 회전구이기의 꽂이봉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4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79B1 (ko) * 2017-09-15 2018-07-13 석춘호 전기 구이장치
KR20190072785A (ko) * 2017-12-18 2019-06-26 김석원 레일이 임의로 놓여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장착되는 자동 꼬치구이기
KR102488649B1 (ko) * 2021-07-15 2023-01-17 주식회사 브이에스엘 회전구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79B1 (ko) * 2017-09-15 2018-07-13 석춘호 전기 구이장치
KR20190072785A (ko) * 2017-12-18 2019-06-26 김석원 레일이 임의로 놓여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장착되는 자동 꼬치구이기
KR102078902B1 (ko) * 2017-12-18 2020-04-02 김석원 레일이 임의로 놓여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장착되는 자동 꼬치구이기
KR102488649B1 (ko) * 2021-07-15 2023-01-17 주식회사 브이에스엘 회전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8538A1 (zh) 一种自动卷发器
KR20190087966A (ko) 정수기
CN111084544A (zh) 一种烹饪器具
KR200325440Y1 (ko) 회전구이기의 꽂이봉안내장치
KR200196696Y1 (ko) 고기 구이팬
KR100468625B1 (ko) 회전 숯불 구이판
CN212394642U (zh) 空气炸锅
KR102103118B1 (ko)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JP2010069201A (ja) 加熱調理器
KR101533367B1 (ko) 바베큐 오븐
KR200166365Y1 (ko) 꼬지바베큐 자동구이기
KR200167527Y1 (ko) 가스레인지용 그릴도아의 구조
JP2000334405A (ja) 洗浄装置
KR100257626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바베큐 랙 장착구조
KR100863839B1 (ko) 오븐
JP2008286509A (ja) グラス冷却装置
KR20090113133A (ko) 튀김장치용 찌꺼기제거장치
KR20210074738A (ko) 꼬치 전기 구이기
WO2017186105A1 (zh) 洗衣机控制盘座及洗衣机
CN217524765U (zh) 一种烤炉
CN211632888U (zh) 一种便于去除油水的电烧烤炉
CN219962510U (zh) 烹饪装置及烹饪电器
CN211511409U (zh) 烹饪器具
CN213940450U (zh) 翻炒机构及烹饪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