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400Y1 -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 Google Patents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400Y1
KR200325400Y1 KR20-2003-0012200U KR20030012200U KR200325400Y1 KR 200325400 Y1 KR200325400 Y1 KR 200325400Y1 KR 20030012200 U KR20030012200 U KR 20030012200U KR 200325400 Y1 KR200325400 Y1 KR 200325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ice
wet paper
present
paper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배
Original Assignee
김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배 filed Critical 김광배
Priority to KR20-2003-0012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면에 접착성이 유지되는 약제가 포함되고, 가요성 시트로 이루어진 습포지와; 상기 습포지의 하부와 상부와 부착되는 박리지 및 부착포를 포함하는 습포제에 있어서, 상기 습포지(10) 중앙 영역에 형성된 반원형의 끼움공(11); 및 상기 끼움공(1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박리지(30) 및 상기 부착포(50)로써 위치가 고정되는 패치부재(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피부에 붙이는 습포제의 원래 효과는 물론 에너지가 한층 더 높아진 효과가 혈관을 자극해 더욱 배가되고, 몸의 정맥과 동맥 부위에 붙이면 심장의 혈액 흐름이 원활해져, 평시보다도 한층 더 강한 힘을 낼 수 있는 더 큰 효과가 이루어지며, 파워를 요하는 운동선수나, 항공기 장거리 여행 할 때,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는 여러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A WET COMPRESS POULTICE AN ELECTRODE GENERATION}
본 고안은 숯 및 자석으로 전극을 발생시키는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석과 숯이 피부에 접하게 될 때, 각기 극성이 다른 전기성질을 띠게 되는데, 특히 인체의 생체에너지가 자석과 접할 시, 마이너스 약300~400mv DC전압으로 변하는 전기성질을 갖게 되는 반면에 숯은 인체와 접할 때, 플러스 극성을 띠는 약 350mv의 DC전압이 발생된다. 이렇게 극성이 서로 다른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전압이 발생되는 숯과 자석의 사이를 절연재로써 절연 고정시킨 제품을 사용시 피부 혈관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한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포제는 타박상, 근육통 등의 환부에 간단히 부착하여 통증을 완화 및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습포제는 가요성이 있는 직물지로 이루어지고, 일면에는 점착성이 있는 약제가 도포된 습포지를 구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습포제는 습포지 일면에 도포된 약제의 약리 작용에 의해서환부의 통증을 완화 및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단순한 기능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인체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생체에너지와 숯과 자석이 접할 때, 숯은 플러스극성 대 피부는 마이너스극성으로 일개 조가 되고, 자석은 마이너스 극성 대 피부는 플러스 극성을 띠게 되는 또 하나의 조가 된다. 이 두 가지 양극성의 대질을 가까이 붙여 놓으면 배터리를 직렬로 놓은 것과 같은 2배의 DC전압이 배가가 되면서 자장이 발생되어 피부 혈관의 활성화를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양면에 접착성이 유지되는 약제가 포함되고, 가요성 시트로 이루어진 습포지와; 상기 습포지의 하부와 상부와 부착되는 박리지 및 부착포를 포함하는 습포제에 있어서, 상기 습포지 중앙 영역에 형성된 반원형의 끼움공; 및 상기 끼움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박리지 및 상기 부착포로써 위치가 고정되는 패치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치부재는 상기 습포지의 끼움공에 삽입되는 링 타입의 자석; 상기 자석 내경에 그 외경이 삽입되고, 중앙 영역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숯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습포제 10 : 습포지
11 : 끼움공 20 : 패치부재
22 : 자석 24 : 절연체
24a : 삽입공 26 : 숯
50 : 부착포 60 : 통공
70 : 연결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1)는 습포지(10), 패치부재(20), 박리지(30) 및 부착포(40)를 포함한다.
상기 습포지(10)는 서로 분리되는 가요성 직물 시트로 이루어지고, 양면에는 점착성이 유지되는 약제가 포함되며, 중앙 영역에는 원형의 끼움공(11)이 형성된다.
상기 패치부재(20)는 습포지(10)의 끼움공(11)에 삽입되는 링 타입의 자석(22)과; 자석(22)의 내경에 그 외경이 삽입되고, 중앙 영역에는 삽입공(24a)이형성된 절연체(24)와; 절연체(24)의 삽입공(24a)에 삽입되는 숯(2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절연체(24)는 자석(22)과 숯(26) 사이에 구비되어 전극을 상호 차단하기 위한 실리콘으로 제작된다.
상기 박리지(30)는 습포지(10)의 일면에 점착성이 유지되는 약제 및 중앙 영역의 패치부재(20)를 보호하기 위하여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가요성 비닐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박리지(30)는 습포제(1) 및 패치부재(20)를 환부에 부착시킬 때, 습포지(1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부착포(50)는 습포지(10) 타면에 부착되어 습포지(10)와 패치부재(20)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습포지(10) 및 부착포(50) 양측의 적정위치에는 연통되게 통공(60)이 형성되고, 이 통공(60)에는 연결끈(70)을 연결하여 습포지(10)의 부착력이 저하되었을 때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습포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타박상, 근육통 등이 발생되는 부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습포지(10) 일면에 부착된 박리지(30)를 습포지(10)로부터 떼낸 다음, 습포지(10)의 타면을 환부에 부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습포지(10)가 피부에 부착되고, 이와 동시에 습포지(10)의 끼움공(11)에 삽입되고, 자석(22), 절연체(24) 및 숯(26)으로 이루어진 패치부재(20)가 피부에 밀착된다.
한편, 습포지(10) 및 부착포(50) 양측의 적정위치에 연통되게 형성된 통공(60)을 통하여 연결끈(70)을 연결시켜 습포지(10)의 부착력이 저하되었을 때 이를 이용하여 인체의 피부에 패치부재(20)를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패치부재(20)가 피부에 밀착되어 접촉되면, 패치부재(20)에 대한 피부의 이온작용이 발생되어 숯(26)은 피부에 대하여 플러스 극성을 갖게 되고, 피부는 마이너스 극성을 갖게 되며, 약 350mv의 DC전압이 발생된다.
그리고, 자석(22)은 피부에 대하여 마이너스 극성을 갖게 되고, 피부는 플러스극성을 갖게 되며, 약 300mv~400mv의 DC전압이 대응되게 발생되는 쌍극자 전압 사이에 약 700mv~1.2V 정도로 높이 배가가 되는 DC전압이 발생된다.
이때, 숯(26)의 플러스 극성과 자석(22)의 마이너스 극성이 직렬로 배열되었기 때문에 자석(22)과 숯(26) 사이의 전압은 위와 같은 볼트의 전압이 발생된다.
그리고, 전압발생 피부 부위에는 자석(22)의 자장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이 자장권 내에서 DC전압과 전류의 배가가 된 에너지 흐름으로, 쌍극자의 전극을 형성시켜 주는 생체전자적 습포제(1)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되는 자장과 쌍극 전압의 효과는 보통 피부에 붙이거나, 인체의 혈관이 가장 많은 동맥에 근접되게 접착시킴으로서 혈액의 원활한 개선효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개선효과는 혈액속의 헤모글로빈 내에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해 미들이 있는 데, 이들은 심장을 지날 때, 심장 전류에 의해 해미 입자들이 강자성체로 변화되면서 인체를 돌며 노폐물을 끌어 나르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을 부착해도 이와 같이 원래의 심장에서 작용하는 것과 유사한 작용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피부와 접한 숯(26)과 자석(22) 사이에 형성되는 쌍극의 DC전압과 전류흐름에 기존의 자석의 자장과 함께, 혈관 내에 흐르는 해미 입자들에게 또 한번 강 자장을 다시 한번 주게 되어, 혈액의 노폐물 흡입작용이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착용하고 수 시간 내에 예민한 사람은 심장 박동이 강하게 박동 하거나 목의 동맥부위에 찌릿 찌릿한 전기 흐름을 느끼게 된다. 이 상태는 에너지 활성화 변화의 전초 현상이며 스포츠를 하거나 강한 운동을 할 때, 한 단계 기어를 놓아 높아진 파워에너지가 수급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피부에 붙이는 습포제의 원래 효과는 물론 에너지가 한층 더 높아진 효과가 혈관을 자극해 더욱 배가가 되고, 몸의 정맥과 동맥 부위에 붙이면 심장의 혈액 흐름이 원활해져, 평시보다도 한층 더 강한 힘을 낼 수 있으며, 파워를 요하는 운동선수나, 장거리 여행시 혈액 순환이 좋아지는 여러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양면에 접착성이 유지되는 약제가 포함되고, 가요성 시트로 이루어진 습포지와; 상기 습포지의 하부와 상부와 부착되는 박리지 및 부착포를 포함하는 습포제에 있어서,
    상기 습포지(10) 중앙 영역에 형성된 반원형의 끼움공(11); 및
    상기 끼움공(1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박리지(30) 및 상기 부착포(50)로써 위치가 고정되는 패치부재(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재(20)는
    상기 습포지(10)의 끼움공(11)에 삽입되는 링 타입의 자석(22);
    상기 자석(22) 내경에 그 외경이 삽입되고, 중앙 영역에는 삽입공(24a)이 형성된 절연체(24); 및
    상기 절연체(24)의 삽입공(24a)에 삽입되는 숯(26);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습포지(10) 및 상기 부착포(50)에는 연통되게 통공(6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60)에는 연결끈(70)을 연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이발생되는 습포제.
KR20-2003-0012200U 2003-04-21 2003-04-21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KR200325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00U KR200325400Y1 (ko) 2003-04-21 2003-04-21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00U KR200325400Y1 (ko) 2003-04-21 2003-04-21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400Y1 true KR200325400Y1 (ko) 2003-09-03

Family

ID=4941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200U KR200325400Y1 (ko) 2003-04-21 2003-04-21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4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72Y1 (ko) * 2020-12-24 2022-05-10 귀네테르 주식회사 인체의 곡면 부위에 부착되기 위한 곡면 구조를 포함하는 의료용 패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72Y1 (ko) * 2020-12-24 2022-05-10 귀네테르 주식회사 인체의 곡면 부위에 부착되기 위한 곡면 구조를 포함하는 의료용 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61061B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d-shaped stimulation electrodes
EP0140980A1 (en) Therapeutic appliance employing flat battery
GB0303788D0 (en) Improved cardiac garment
AU581315B2 (en)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WO2006105395A3 (en) Trans-septal/trans-myocardial ventricular pacing lead
PL313937A1 (en) Clothing for application of controlled electric stimulation in order to restore impaired motorial function of an organ
WO2003089059A3 (en) Subcutaneous cardiac stimulator device with small contact surface electrodes
JP5128166B2 (ja) 電極パッド
JP6168640B1 (ja) 生体電池治療具
US66941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ductive weight reduction
WO2007106270A3 (en) Stimulating galvanic or slow ac current for therapeutic physiological effects
FR2342082A1 (fr) Appareil portatif destine a la stimulation physiologique par voie electrique
KR200325400Y1 (ko) 전극이 발생되는 습포제
JP5969436B2 (ja) 除電磁気健康パッド
JP2007125300A (ja) 美容機器
JP2001129004A (ja) 痔の生体力学治療器
JP2000060976A (ja) 人体の経穴経絡に皮接して用いる皮接体
CN209405488U (zh) 一种多用式硅胶电极片
CN210872277U (zh) 一种电刺激矫形装置
JP2016129763A (ja) 除電磁気健康パッド
CA2414398C (en) Pain relief device
JPS6316345Y2 (ko)
JPS6316346Y2 (ko)
KR20220034492A (ko) 근육에 전기 자극 기능이 있는 의류
JP2000236946A (ja) 電子パッティングブース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