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370Y1 - 플렉시블로케이팅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로케이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370Y1
KR200325370Y1 KR2019980000261U KR19980000261U KR200325370Y1 KR 200325370 Y1 KR200325370 Y1 KR 200325370Y1 KR 2019980000261 U KR2019980000261 U KR 2019980000261U KR 19980000261 U KR19980000261 U KR 19980000261U KR 200325370 Y1 KR200325370 Y1 KR 200325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duct
locking
locating device
flexible l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048U (ko
Inventor
이재신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00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37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2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4Work clamping means using fluid means or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어떤 윤곽형상의 제품도 용이하게 로케이팅할 수 있도록 하여 셋업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 작업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상면에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한 제품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한 본체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전후부 피스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부 실린더와;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의 로드 끝단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제품의 전면을 홀딩하기 위한 전방 홀딩부와; 상기한 본체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와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하부 피스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 실린더와; 상기한 상하부 피스톤의 로드 끝단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제품의 상면을 홀딩하기 위한 상방 홀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본 고안은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어떤 윤곽형상의 제품도 용이하게 로케이팅할 수 있도록 하여 셋업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기체 부품은 압출성형한 제품의 윤곽형상에 맞는 전용 치공구를 이용하여 제품을 일정한 형상으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전용 치공구로 제품을 가공하기 전에 미리 셋업바를 이동하여 셋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한 셋업 위치에 제품을 로케이팅시켜 준 후 홀딩해주게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전용 치공구는 제품의 윤곽형상에 따라서 각각 제작되고, 상기한 제품의 윤곽 형상에 맞게 작업자가 셋업 위치를 결정하고 로케이팅시켜 주어야 한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압출 성형된 제품의 윤곽형상에 따라서 제작된 전용 치공구마다 작업자가 일일이 제품의 윤곽형상에 맞게 셋업 위치를 결정한 후 제품을 셋업 위치에 로케이팅 시켜주게 되어 있으므로 그 만큼 셋업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제품개발기간이 장기간 소요된다.
또한 제품에 맞는 전용 치공구를 각각 제작하여 많은 비용이 낭비됨과 아울러 전용 치공구의 보관 장소의 확보 및 관리가 곤란하게 되고, 상기한 작업들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므로 그 만큼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떤 윤곽형상의 제품도 용이하게 로케이팅할 수 있도록 하여 셋업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 작업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상면에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한 제품의 후면을 지지하기 지지부재와; 상기한 본체에 전후방향을따라서 형성되고, 전후부 피스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부 실린더와;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의 로드 끝단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제품의 전면(煎面)을 홀딩하기 위한 전방 홀딩부와; 상기한 본체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와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하부 피스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 실린더와; 상기한 상하부 피스톤의 로드 끝단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제품의 상면을 홀딩하기 위한 상방 홀딩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를 이용하여 로케이팅하려면 먼저 제품의 윤곽형상에 따라 제어부에 셋업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셋업바가 X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제품의 셋업위치를 각각 결정하게 된다.
상기한 본체의 셋업위치가 결정되면 각 본체를 작업대의 전방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이동시켜 셋업위치에 로케이팅한 후 이 본체를 록킹시켜준다.
그리고 상기한 각 본체의 전방 홀딩부와 상방 홀딩부를 언클램핑 상태로 한 후 압출 성형한 제품의 후면 각 부위를 각 셋업위치에 위치한 지지부재에 지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와 상하부 실린더의 배출하면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이 본체의 후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상하부 피스톤이 본체의 하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과 상하부 피스톤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 홀딩부도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서 제품의 전면을 지지부재쪽으로 밀어 홀딩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상방 홀딩부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품의 상면을 지지부재의 상면쪽으로 밀어 홀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는 작업대(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 작업대(1)에 일정한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3)와; 상기한 본체의 상면에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한 제품(P)의 후면을 지지하기 지지부재(5)와; 상기한 본체(3)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전후부 피스톤(7)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부 실린더(9)와;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 (7)의 로드(11) 끝단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셋업위치에 로케이팅되고 제품 (P)의 전면을 홀딩하기 위한 전방 홀딩부(13)와; 상기한 본체(3)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9)와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하부 피스톤(1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 실린더(17)와; 상기한 상하부 피스톤 (15)의 로드(19) 끝단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셋업위치에 로케이팅되고 제품 (P)의 상면을 홀딩하기 위한 상방 홀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체(3)의 어느 일측면에 제공되고 이 본체(3)를 작업대(1)의 일정한 위치 즉, 제품의 셋업위치에 록킹시켜주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7)의 로드(11)에 제공되고 이 로드(11)가 전후방향으로 따라서 이동하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주기 위한 전후부 스윙캠(23)과; 상하부 피스톤 (15)의 로드(19)에 제공되고 이 로드(19)가 상하방향으로 따라서 이동하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주기 위한 상하부 스윙캠(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전방 홀딩부(13)는 전후부 피스톤(7)의 로드(11)와 수직 연결부재(27)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한 상방 홀딩부(21)는 상하부 피스톤(15)의 로드(19)와 수평 연결부재(29)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한 전방 홀딩부(13)와 상방 홀딩부(21)는 제품(P)의 윤곽형상에 따라 제품을 보다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수직 연결부재(27)와 수평 연결부재(29)와 각각 힌지축(31)(33)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부재(5)의 끝단면에 일체로 제공되고 제품(P)의 후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후방 미끄럼부재(35)와; 전방 홀딩부(13)와 상방 홀딩부(21)의 끝단면에 각각 일체로 제공되고 제품(P)을 보다 효과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전방 미끄럼부재(37)와 상방 미끄럼부재(3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9)에는 전부후 피스톤(7)이 상승할 수 있도록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라인(41)과;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7)이 원래의 하강할 수 있도록 유압공급라인(41)을 통하여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유압배출라인(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상하부 실린더(17)에는 상하부 피스톤(15)이 상승할 수 있도록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라인(45)과; 상기한 상하부 피스톤(15)이 원래의 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유압공급라인(45)을 통하여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유압배출라인(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9)의 유압공급라인(41)과 유압배출라인(43) 및 상하부 실린더(17)의 유압공급라인(45)과 유압배출라인(47)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본체(3)의 하단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고 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구름접촉되는 구름부재(49)와; 상기한 작업대(1)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구름부재(49)가 본체(3)의 일방향을 따라서 구르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록킹수단은 본체(3)에 형성된 형성된 가이드홈(53)을 따라 이동되고 작업대(1)에 형성된 가이드부재(51)로 밀어서 록킹하기 위한 록킹부재(55)와; 상기한 록킹부재(55)와 직각방향으로 결합되고 이 록킹부재(55)를 이동시켜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록킹레버(5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를 이용하여 로케이팅하려면 먼저 제품(P)의 윤곽형상에 따라 제어부에 셋업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셋업바가 x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제품의 셋업위치를 각각 결정하게 된다.
상기한 본체(3)의 셋업위치가 결정되면 구름부재(49) 및 가이드부재(51)에 의하여 본체(3)를 도 1의 실선의 위치에서 작업대(1)의 전방으로 일정한 길이만 이동시켜 셋업위치에 도 1의 일점쇄선과 같이 로케이팅한 후 록킹수단의 록킹레버 (57)를 당겨서 이 셋업위치에 본체(3)를 록킹시켜준다.
그리고 상기한 유압공급라인(41)(45)을 통하여 전후부 실린더(19)와 상하부 실린더(17)에 유압을 공급하면, 상기한 유압에 의하여 전후부 피스톤(7)이 전후부실린더(9)를 따라서 본체(3)의 전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전후부 스윙캠(23)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상항부 피스톤(15)이 상하부 실린더(17)를 따라서 본체(3)의 상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하부 스윙캠(25)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7)의 이동에 의하여 전방 홀딩부(13)도 수직 연결부재 (27)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재(5)의 후방 미끄럼부재(35)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되며 또한, 상기한 상하부 피스톤(15)의 이동에 의하여 상방 홀딩부(21)도 수평 연결부재(29)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재(5)의 후방 미끄럼부재(35)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각 본체(3)의 전방 홀딩부(13)와 상방 홀딩부 (21)를 언클램핑 상태로 한 후 압출 성형한 제품(P)의 후면 각 부위를 각 셋업위치의 지지부재(5)의 후방 미끄럼부재(35)에 지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9)와 상하부 실린더(17)의 유압배출라인(43)(47)을 통하여 유압을 배출하면,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7)이 본체(3)의 후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전후부 스윙캠(23)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상하부 피스톤(15)이 본체(3)의 하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하부 스윙캠(25)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7)과 상하부 피스톤(15)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수직 연결부재(27)에 의하여 전방 홀딩부(13)도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서전방 미끄럼부재(37)가 제품(P)의 전면을 지지부재(5)쪽으로 밀어 홀딩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수평 연결부재(29)에 의하여 상방 홀딩부(21)도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품(P)의 상면을 지지부재(5)의 상면쪽으로 밀어 홀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전방 홀딩부(13) 또는 상방 홀딩부(21)에 의하여 홀딩된 제품 (P)의 홀딩부위를 가공할 필요가 있을때에는 유압공급라인(41)(45)을 통하여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9) 또는 상하부 실린더(17)로 유압을 공급하여 전방 홀딩부(13) 또는 상방 홀딩부(21)의 홀딩부위를 언클램핑 상태로 한 후 가공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어떤 윤곽형상의 제품도 용이하게 로케이팅할 수 있도록 하여 셋업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작업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작업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상면에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품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한 본체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전후부 피스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부 실린더와;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의 로드 끝단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제품의 전면을 홀딩하기 위한 전방 홀딩부와; 상기한 본체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와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하부 피스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 실린더와; 상기한 상하부 피스톤의 로드 끝단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제품의 상면을 홀딩하기 위한 상방 홀딩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어느 일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본체를 작업대의 일정한 위치 즉, 제품의 셋업위치에 록킹시켜주기 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후부 피스톤의 로드에 제공되고 상기 로드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주기 위한 전후부 스윙캠과; 상하부 피스톤의 로드에 제공되고 상기 로드가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주기 위한 상하부 스윙캠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방 홀딩부와 상방 홀딩부는 제품의 윤곽형상에 따라 제품을 보다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수직 연결부재와 수평 연결부재와 각각 힌지축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부재의 끝단면에는 일체로 제공되고 제품의 후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후방 미끄럼부재와; 전방 홀딩부와 상방 홀딩부의 끝단면에 각각 일체로 제공되고 제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전방 미끄럼부재와 상방 미끄럼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후부 실린더에는 전후부 피스톤이 상승할 수 있도록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라인과; 전후부 피스톤이 하강할 수 있도록 유압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유압배출라인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하부 실린더에는 상하부 피스톤이 상승할 수 있도록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라인과; 상하부 피스톤이 하강할 수 있도록 유압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유압배출라인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하단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름부재와; 상기한 작업대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구름부재가 본체의 일방향을 따라서 구르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록킹수단은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고 작업대에 형성된 가이드부재로 밀어서 록킹하기 위한 록킹부재와; 상기한 록킹부재와 직각방향으로 결합되고 이 록킹부재를 이동시켜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록킹레버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하단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름부재와; 상기한 작업대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구름부재가 본체의 일방향을 따라서 구르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한 록킹수단은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고 작업대에 형성된 가이드부재로 밀어서 록킹하기 위한 록킹부재와; 상기한 록킹부재와 직각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록킹부재를 이동시켜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록킹레버로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로케이팅 장치.
KR2019980000261U 1998-01-13 1998-01-13 플렉시블로케이팅장치 KR200325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261U KR200325370Y1 (ko) 1998-01-13 1998-01-13 플렉시블로케이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261U KR200325370Y1 (ko) 1998-01-13 1998-01-13 플렉시블로케이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048U KR19990034048U (ko) 1999-08-16
KR200325370Y1 true KR200325370Y1 (ko) 2004-03-25

Family

ID=4941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261U KR200325370Y1 (ko) 1998-01-13 1998-01-13 플렉시블로케이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3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048U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2590B2 (ja) パンチング加工機およびその加工方法
US2850926A (en) Vise
US4449277A (en) Machine tool with a pallet change function
CN104249196B (zh) 履带板销孔加工设备
EP0257723A1 (en) Machining center having an inclinable worktable
US36689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n elongated workpiece
GB1493887A (en) Machine tools
US2808746A (en) Work handling mechanism for machine tools
KR101494692B1 (ko) 공작기계 공구 장착장치
KR200325370Y1 (ko) 플렉시블로케이팅장치
JP4138926B2 (ja) 板材加工装置のワーククランプ装置
CA1317868C (en) Bending machine
JP3989641B2 (ja) バーリング加工装置
US4355938A (en) Automatic work piece changer for a milling machine and the like
KR20200095855A (ko) 자동 절단가공장치
JP2006305692A (ja) 工作機械
CN216706362U (zh) 激光切割机的随动切割平台
CN205551667U (zh) 带有凸轮托料架升降装置的立式开槽机
CN106041591B (zh) 用于车床的刀具更换装置和方法
JPH06254736A (ja) 工作機械のワーク位置決め固定装置
US4077286A (en) Vertical boring and turning mill
CN205551587U (zh) 带有气缸托料架升降装置的立式开槽机
JPH06320227A (ja) 電動式マニプレータ装置
CN110756891B (zh) 钢板销拉削加工生产线的工作台总成
CN218694692U (zh) 一种电火花镜面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