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892Y1 -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892Y1
KR200324892Y1 KR20-2003-0014689U KR20030014689U KR200324892Y1 KR 200324892 Y1 KR200324892 Y1 KR 200324892Y1 KR 20030014689 U KR20030014689 U KR 20030014689U KR 200324892 Y1 KR200324892 Y1 KR 200324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eration tank
microorganisms
microbial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갑
Original Assignee
손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갑 filed Critical 손병갑
Priority to KR20-2003-0014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중공부를 갖는 담체의 중공부 내주벽에 내주벽의 표면을 확장하기 위하여 주름을 형성하고 미생물부착돌조(3)을 형성함으로서 미생물이 담체의 내부에 활착하여 서식하게 함으로서 미생물 담체가 폭기조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폭기조 내부의 물의 흐름을 따라 순환하면서 오·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지게하고 공기의 폭기 및 와류에 의해 미생물이 담체에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 한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에 관한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폐수 폭기조(5)의 내부에 투입하여 미생물을 담체에 부착되어 번식하며 오폐,수를 정화하는 내부가 다수의 관체로 형성되고 담체의 무게가 물의 비중에 최대한 근접하게 제작되는 공지의 미생물 담체에 있어서:
다수의 관체로 형성되는 담체(1)의 내부관체의 내주면을 주름(2)지게 형성하고 다수의 미생물부착돌조(3)을 형성하며 구획되는 내부관체중 선택된 하나의 관체는 주벽을 두껍게 하여서 된 구조로 되어 담체(1)가 폭기조(5) 내부를 떠다니면서 순환하게하여 폭기조(5) 전체에 걸쳐서 고른 정화가 이루어지게 하고 담체(1)의 내부에 미생물이 부착되고 담체(1)에 무게중심부(4)가 형성되어 담체(1)가 일정방향을 유지하며 폭기조(5)내를 유동하게 함으로서 미생물이 번식하는 내부 관체가 폭기되는 공기 및 와류에 영향을 적게받음으로서 미생물이 담체(1)로 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것이다.

Description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Microorganism carrier for wastewater transaction}
본 고안은 오·폐수의 정화 처리에 사용되는 미생물 담체에 관한 것으로서특히, 다수의 중공부를 갖는 담체의 중공부 내주벽에 내주벽의 표면을 확장하기위하여 주름을 형성하고 미생물부착돌조(3)을 형성함으로서 미생물이 담체의 내부에 활착하여 서식하게 함으로서 미생물 담체가 폭기조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폭기조 내부의 물의 흐름을 따라 순환하면서 오·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지게하고 공기의 폭기 및 와류에 의해 미생물이 담체에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 하여 미생물에 의한 오·폐수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의 가장 보편적인 처리방법으로 부유미생물을 이용하는 활성오니법과 부착성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막법이 있으며 수면에 위치하는 부유미생물을 이용함으로서 오,폐수가 부유미생물과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활성오니법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것이 생물막법이며 생물막법 또한 다수의 담체를 폭기조내에서 그물막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고정상과 물의 흐름에 따라 담체가 자유로이 유동하는 유동상 생물막법으로 구분되며 본 고안은 유동상 생물막법에 사용되는 미생물담체에 관한것이다.
미생물 담체란 생물막법에 의한 오·폐수의 정화처리시에 오·폐수의 정화를 담당하는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폐수의 폭기조 내부에 투입되어 미생물의 번식을 유도하고 번식된 미생물로 하여금 오·폐수 내부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미생물 담체는 통상적으로 다공부를 형성하여 미생물의 서식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다량의 미생물이 부착되어 번식할 수 있게 하고 폭기조내에서 폭기되는 공기방울 및 와류에 의해 부착된 미새물이 탈리되지 않아야 하며 미생물이 폭기조내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폭기조바닥으로 침전되거나 수면위로 부상하지 않고 담체간에 부착되지 않음으로서 담체가 물의 흐름에 따라 유동할수 있게 하여 미생물이 보다 많은 오폐수와 접촉하게 하여 오·폐수의 정화능력을 최대화 하는것이 최상의 미생물 담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종래에도 관체의 내부를 분할하여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담체의 외주표면에 주름을 형성한 합성수지관이나 또는 다공처리를 통해 다공부를 형성한 세라믹 및 스펀지등을 미생물 담체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미생물 담체는 주로 담체의 외부표면에 미생물이 부착되어 번식하게 됨으로서 폭기되는 공기방울 및 와류에 의해 담체의 외부에 부착된 미생물의 탈리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담체는 발포시켜 표면에 다수의 다공을 형성한 스펀지와 다공처리를 한 합성수지 및 세라믹담체등은 담체의 외부표면에 주로 미생물이 부착되어 번식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공기방울 및 와류에 의한 물의 흐름이 담체의 외부에 부착되는 미생물이 직접 접촉하게 되어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이 쉽게 탈리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내부가 다수의 관통공을 같는 관체로 형성하고 내부관통공의 주벽을 미생물이 접촉이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주름지게 형성하고 다수의 미생물부착판을 형성함으로서 미생물이 담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번식하게 하므로서 오·폐수폭기조의 내부를 물의 흐름 및 폭기 되는 공기에 미생물이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제한함으로서 담체에서 미생물이 탈리되는것을 방지하여 정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가" 부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담체를 폭기조에 투입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담체
2 : 주름
3 : 돌편
4 : 무게중심부
5 : 폭기조
6 : 폭기관
오·폐수 폭기조(5)의 내부에 투입하여 미생물을 담체에 부착되어 번식하며 오폐,수를 정화하는 내부가 다수의 관체로 형성되고 담체의 무게가 물의 비중에 최대한 근접하게 제작되는 공지의 미생물 담체에 있어서:
다수의 관체로 형성되는 담체(1)의 내부관체의 내주면을 주름(2)지게 형성하고 다수의 미생물부착돌조(3)을 형성하며 구획되는 내부관체중 선택된 하나의 관체는 주벽을 두껍게 하여서 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담체(1)를 폭기조(5)의 내부에 투입하면 담체(1)의 내측에 주름(2) 및 미생물부착돌조(3)이 형성되어있어 관체의 내측으로 미생물이 부착되어 번식하며 오폐수를 처리하게 되는데 물의 흐름에 따라 유동하는 담체(1)는 분할된 관체중의 어느 하나에 관체의 주벽두께를 두껍게하여 형성한 담체(1)의 무게중심부(4)가 항상 하방을 향하게 된다.
즉,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폭기조(5)의 바닥면에 설치된 폭기관(6)을 이용해 오·폐수가 담겨있는 폭기조(5)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게되면 폭기조(5)의 내부 수심의 중간정도에 위치하고 있던 미생물 담체(1)들이 물의 흐름에 따라 폭기조(5) 내부를 상, 하로 순환하면서 오·폐수를 정화가 이루어지므로서 폭기조(5) 내부의 특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폭기조(5) 전체에 걸쳐서 오·폐수의 정화처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본 고안의 담체(1)는 물의 흐름에 따라 유동하며 오,폐수를 정화하게 되는데 유동하는중에도 담체(1)의 일정부에 무게중심부(4)가 형성되어 항상 무게중심부(4)가 하방으로 향하려는 성질로 인하여 미생물이 서식하는 내부관체의 외주면에 직각으로 공기방울 및 와류가 접촉됨으로서 담체(1)의 내부에 서식하게 되는 미생물이 공기방울 및 와류에 의해 담체(1)에서 탈리되지 않게 되는것이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고안은 담체(1)가 폭기조(5) 내부를 떠다니면서 순환하게하여 폭기조(5) 전체에 걸쳐서 고른 정화가 이루어지게 하고 담체(1)의 내부에 미생물이 부착되고 담체(1)에 무게중심부(4)가 형성되어 담체(1)가 일정방향을 유지하며 폭기조(5)내를 유동하게 함으로서 미생물이 번식하는 내부 관체가 폭기되는 공기 및 와류에 영향을 적게받음으로서 미생물이 담체(1)로 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것이다.

Claims (2)

  1. 오·폐수 폭기조(5)의 내부에 투입하여 미생물을 담체에 부착되어 번식하며 오폐,수를 정화하는 내부가 다수의 관체로 형성되고 담체의 무게가 물의 비중에 최대한 근접하게 제작되는 공지의 미생물 담체에 있어서:
    내부가 다수의 관체로 형성되는 담체(1)의 내부관체의 내주면을 주름(2)을 형성하고 다수의 미생물부착돌조(3)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2. 상기1항에 있어서 분할하여 구획되는 내부관체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관체는 주벽 및 미생물부착돌조(3)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담체의 무게중심부(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KR20-2003-0014689U 2003-05-13 2003-05-13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KR200324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89U KR200324892Y1 (ko) 2003-05-13 2003-05-13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89U KR200324892Y1 (ko) 2003-05-13 2003-05-13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892Y1 true KR200324892Y1 (ko) 2003-08-27

Family

ID=4933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689U KR200324892Y1 (ko) 2003-05-13 2003-05-13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8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168B1 (ko) 2007-06-28 2007-12-17 주식회사 에이케이케이 비오디(bod)성 유기계 오염물질과 무기계 질소 및 인 화합물질을 분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담체.
KR100829882B1 (ko) 2007-04-02 2008-05-16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KR102071003B1 (ko) 2019-09-20 2020-01-29 (주) 부원건설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장 설치용 담체 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882B1 (ko) 2007-04-02 2008-05-16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KR100786168B1 (ko) 2007-06-28 2007-12-17 주식회사 에이케이케이 비오디(bod)성 유기계 오염물질과 무기계 질소 및 인 화합물질을 분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담체.
KR102071003B1 (ko) 2019-09-20 2020-01-29 (주) 부원건설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폐수처리장 설치용 담체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12478A (zh) 一种双球型悬浮填料
CN108455799A (zh) 污水处理系统以及方法
KR200324892Y1 (ko)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CN208218617U (zh) 污水处理系统
CN201817328U (zh) 一种中空多孔纤维填料折流曝气生物滤池
RU158003U1 (ru) Блок биологической загрузки
CN206318767U (zh) 电镀废水活性污泥法脱氮系统
CN214693501U (zh) 一种污水处理用填料球
CN209193630U (zh) 一种具有气水同向流结构的曝气生物滤池污水处理装置
KR100887760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JP3823093B2 (ja) 接触材ユニット
CN206486344U (zh) 一种固定床mbr设备
CN209797568U (zh) 一种环保型污水处理用mbr膜生物反应设备
CN204981487U (zh) 一种间歇式气浮-生物膜反应器废水深度处理系统
CN212151778U (zh) 一种悬浮填料
CN110156161A (zh) 一种微重床生化处理装置及污水处理方法
ES2739643A1 (es) Reactor de biomembrana para depurar un afluente de líquido contaminado
CN214734819U (zh) 一种高效脱氮污水处理装置
JP4454825B2 (ja) 汚水浄化槽及び汚水浄化方法
CN211419717U (zh) 一种具有曝气搅拌功能的硝化池
KR200257946Y1 (ko) 폐수처리용 미생물 접촉재
JP2002191361A (ja) ひも状微生物固定化担体
CN209352618U (zh) 一种湖泊污染净化装置及湖泊污染净化系统
JPH04193396A (ja) 汚水処理装置
JP2001239293A (ja) 芯部へ向かうフィンをもつ円筒状微生物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