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832Y1 - 자성체 발열판을 갖는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자성체 발열판을 갖는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832Y1
KR200324832Y1 KR20-2003-0017737U KR20030017737U KR200324832Y1 KR 200324832 Y1 KR200324832 Y1 KR 200324832Y1 KR 20030017737 U KR20030017737 U KR 20030017737U KR 200324832 Y1 KR200324832 Y1 KR 200324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heating plate
openings
container body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연
최재웅
Original Assignee
박재연
최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연, 최재웅 filed Critical 박재연
Priority to KR20-2003-0017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자성체 소재의 용기본체(10) 및 그 하부에 접합되는 자성체 소재의 발열판(20)을 갖는 조리용기(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열판(20)이 방사상 방향으로 복수의 개구부(24)들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본체(10)는 주조 후 응고되어 상기 개구부들(24)을 관통해 상기 발열판(20)의 저면까지 뻗은 접합돌기(12)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성체 발열판을 갖는 조리용기{cooking vessel with magnetic-heating- plate}
본 고안은 자성체 소재의 발열판이 비자성체 소재의 용기본체 저면에 접합되어 이루어진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판에 마련된 개구부를 매개로 하여 그 발열판이 용기본체에 보다 견고하게 접합되어 이루어진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조리용기"는 밥솥, 남비, 후라이팬 등과 같이 유도가열 및/또는 불꽃가열에 의해 음식물을 익히는 모든 종류의 조리용기를 포함한다.
전자조리기가 불을 사용하지 않고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조리용기 내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임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조리기와 함께 사용되는 조리용기는 투자율이 큰 자성체 조리용기로 국한되어 있었다.
하지만, 철과 같은 자성체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비자성체에 비해 그 무게가 무겁다는 근본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는, 성형성이 우수하고 열전도성이 매우 커서 불꽃가열식 조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자성체 조리용기는 투자율이 낮아 전자조리기에 의해 발열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비자성체 용기본체의 바닥표면에 자성체를 용사하거나 자성체의 도금을 형성시켜 제조되는 조리용기가 제안되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조리용기는 용사 또는 도금된 자성체가 쉽게 박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자성체 발열판에 구멍을 뚫고 이에 상응하는 비자성체 용기본체에 상기 구멍에 끼워지는 돌기를 구비시킨 후, 이들을 압착하여 제조된 조리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용기는, 기존 조리용기에 비해 내구적이었지만, 이종 금속간의 수축률 차이에 의한 박리현상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의 조리용기는, 발열판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단계, 돌기를 갖도록 용기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및 이들을 압착시키는 단계가 모두 별도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이에 따른 제조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덧붙여, 종래의 조리용기는, 자성체 발열판이 자장흐름이 거의 없는 바닥 중앙 부분까지 덮고 있어, 비자성체의 이점마저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또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본체가 주조방식에 의해 발열판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뻗어있는 구조를 이루어, 용기본체에 대한 발열판의 접합이 더욱 견고해진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 조리용기의 발열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조리용기가 다이캐스팅을 통해 제조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 조리용기가 전자가열기와 함께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판 및 조리용기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비자성체 소재의 용기본체 및 그 하부에 접합되는 자성체 소재의 발열판을 갖는 조리용기를 제공하되, 상기 발열판이 방사상 방향으로 복수의 개구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본체는 주조 후 응고되어 상기 개구부들을 관통해 상기 발열판의 저면까지 뻗은 접합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의 주조는 모래 주형에 의한 주조 및 다이캐스팅에 의한 주조 모두가 가능하지만, 다이캐스팅에 의한 주조시 발열판과 용기본체 사이의 접합력이 가장 우수하다.
여기에서, 상기 발열판은 상기 개구부들 각각의 주위로부터 상향연장된 연장부(26)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구부들 각각은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확대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합돌기들 각각은 상기 개구부들에 상응하게 상부로부터 하부로 확대되어 형성된 리벳머리부를 일체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판은 상기 개구부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관통형의 중공부를 자체 중앙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이하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조리용기의 발열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조리용기를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상기 조리용기가 전자조리기와 함께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1)는 용기본체(10)와 발열판(20)을 포함한다.
용기본체(10)는 비자성체,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성이 크면서도 양호한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이하 설명될 다이캐스팅 공정에 의해발열판(20)과 바람직하게 접합되면서 성형된다.
또한, 발열판(20)은,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마련된 원형의 중공부(22)와 그 중공부(2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폭 넓게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24)를 구비한 자성체 소재로 미리 만들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투자율이 높고 내열성이 큰 STS 430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들어진다.
이 때, 상기 중공부(22) 및 개구부(24)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용기본체(10)와의 접합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서, 개구부(24)들은 중앙의 중공부(22)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중공부(22)는 투자율 및 이에 따른 유도가열효율의 감소 없이도 비자성체의 이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부분이며, 이는 전자가열기(30)의 유도가열에 있어서 조리용기(1)의 중앙영역(A)에 자기력선(M)이 형성되지 않음을 이용한 것이다(도 4 참조).
즉, 상기의 중공부(22)는 자기력선이 형성되지 않는 조리용기(1)의 중앙에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비자성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조리용기(1)의 전체적인 경량성 및 열전도성을 증대시켜준다.
이제 도 3을 참조로하여, 상술한 조리용기(1)가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는 공정이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발열판(20)이 고정금형(42)과 가동금형(44)으로 이루어진 다이캐스팅용 금형 내에 미리 삽입되고, 그 후, 비자성체인 알루미늄 용탕이 그 금형 내에 고압으로써 주입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1)가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용탕은 가압식으로 흘러 발열판(20) 내의 중공부(22) 및 개구부(24)를 치밀하게 채운 후 응고되어지며, 이 중공부(22) 및 개구부(24) 내에서 응고된 용탕은 용기본체(10)와 발열판(20)의 접합을 가능하게 하는 대략 리벳구조의 접합돌기(12)를 이루게 된다(도 1 참조).
따라서, 용탕이 응고되어 이루어진 용기본체(10)와 발열판(2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접합구조의 조리용기(1)를 이루게 된다.
이제,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1)가 설명되어질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판(20)를 도시하며, 도 6은 상기 발열판(20)을 갖는 조리용기(1)을 도시한다.
이 때, 상기의 조리용기(1) 또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열판(20)은 개구부(24) 주위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된 연장부(26)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26)는 용기본체(10)과 발열판(20)의 접합면적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용기본체(10)와 발열판(20)의 수축률 차이에 의한 분리현상을 경감시켜주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개구부(24)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진적으로 확대되어지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용기본체(10)는 자체의 접합돌기(12)가 상기 개구부(24)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하부에 리벳머리부(12a)를 갖게 되며, 이 리벳머리부(12a)는용기본체(10a)의 저면과 함께 발열판(20)을 바람직하게 유지시켜 용기본체(10)와 발열판(20)과의 수축률 차이에 의한 분리현상을 크게 감소시켜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주조, 특히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접합돌기에 의해 용기본체와 발열판 사이의 접합이 더욱 견고해짐은 물론이고, 기존의 조리용기에 비해 보다 가볍고 열효율이 뛰어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고안은 기존의 조리용기에 비해 그 제조공정이 훨씬 단순하며, 이에 따른 제작비용이 크게 경감된다는 효과를 또한 갖는다.

Claims (3)

  1. 비자성체 소재의 용기본체(10) 및 그 하부에 접합되는 자성체 소재의 발열판(20)을 갖는 조리용기(1)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20)이 방사상 방향으로 복수의 개구부(24)들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본체(10)는 주조 후 응고되어 상기 개구부들(24)을 관통해 상기 발열판(20)의 저면까지 뻗은 접합돌기(12)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20)은 상기 개구부(22)들 각각의 주위로부터 상향연장된 연장부(26)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22)들 각각은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확대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합돌기들(12) 각각은 상기 개구부(22)들에 상응하게 상부로부터 하부로 확대되어 형성된 리벳머리부(12a)를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20)은 상기 개구부(24)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관통형의 중공부(22)를 자체 중앙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KR20-2003-0017737U 2003-06-05 2003-06-05 자성체 발열판을 갖는 조리용기 KR200324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37U KR200324832Y1 (ko) 2003-06-05 2003-06-05 자성체 발열판을 갖는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37U KR200324832Y1 (ko) 2003-06-05 2003-06-05 자성체 발열판을 갖는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832Y1 true KR200324832Y1 (ko) 2003-08-27

Family

ID=4941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737U KR200324832Y1 (ko) 2003-06-05 2003-06-05 자성체 발열판을 갖는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8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19B1 (ko) * 2009-01-29 2009-08-19 조용래 조리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1376307B1 (ko) 2012-06-11 2014-03-20 (주)에스티씨코리아 직화용기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19B1 (ko) * 2009-01-29 2009-08-19 조용래 조리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1376307B1 (ko) 2012-06-11 2014-03-20 (주)에스티씨코리아 직화용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602B1 (ko) 다중바닥을 구비한 주방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0381820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US20120273483A1 (en) Cooking vessel applicable for induction hea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6073545A (en) Cooking vessel for use in a cooking installation
KR200324832Y1 (ko) 자성체 발열판을 갖는 조리용기
KR20060101198A (ko)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3550A (ko) 주방용기
CN101754707B (zh) 与感应加热兼容的铸铝烹饪物品和生产方法
KR100954074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
JP2010042212A (ja) 誘導加熱調理容器
KR20030090585A (ko) 인덕션 레인지 겸용 주방용기
JP2003250698A (ja) 電磁調理用容器
KR20120005362U (ko) 유도가열 조리용기용 전열판
KR101322863B1 (ko) 인덕션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11354964U (zh) 复合底铸铁锅
US11612270B2 (en) Cooking utensil fill and drain tub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JPH0852064A (ja) 炊飯器
JP3122769U (ja) 電磁誘導加熱用の樹脂製食器
JPH09199264A (ja) 調理器用鍋
CN208481074U (zh) 一种铝锅
JPH08294453A (ja) 電磁調理用鍋
CN206365735U (zh) 一种含铜织网的锅具
CN106361131B (zh) 一种含铜织网的锅具及其复合层的制造工艺
KR200493374Y1 (ko) 유도가열 조리용기용 전열판
EP4360513A1 (en) Method for making a container for cooking food and respective container for cooking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