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835Y1 -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 Google Patents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835Y1
KR200323835Y1 KR20-2003-0014861U KR20030014861U KR200323835Y1 KR 200323835 Y1 KR200323835 Y1 KR 200323835Y1 KR 20030014861 U KR20030014861 U KR 20030014861U KR 200323835 Y1 KR200323835 Y1 KR 200323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piston
rotating shaft
insulin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길환
남영택
문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to KR20-2003-0014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6Electrically operated dose setting, e.g. input via touch screen or plus/minus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축이 단순히 피스톤 전진기구를 회전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여 회전축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제거하고 이에 따라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인슐린 약액이 담긴 시린지와 상기 시린지의 후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시린지에 인슐린 약액 토출 압력을 제공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사기구; 적소에 상기 주사기구를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단면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동력제공기구;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어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과 축결합된 회전축 결합공이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을 밀어서 상기 피스톤에 전진 동력을 제공하는 밀판 조립체 및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시린지 후단의 상기 주사기구 수납공간에 상기 피스톤이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원판부의 수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를 나선 전·후진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밀판 지지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insulin pump}
본 고안은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스톤에 전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당뇨병 환자에 대한 주사 치료법에 있어서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인슐린을 1일 2-3회 정도 환자에게 주사하게 된다. 이 때, 환자가 필요로 하는 인슐린 양은 시간이나 기타 인체의 상태 여하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바, 식사시에는 정상시보다 많은 양의 인슐린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수동 주사 방식으로는 항시 정확한 기준량의 인슐린을 환자에게 공급할 수가 없었고, 평상시보다 많은 양의 인슐린 투여하기 위해서는 병원을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주사 바늘을 복부의 체지방 층에 상시 삽입시켜 두고 피스톤을 구동시켜 정해진 시간마다 정해진 인슐린 량을 자동으로 주사하는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일반적으로 "인슐린 펌프"(insulin pump)라 한다)가 특허 제290253호(2001년 2월 28일 등록)로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자동 주입기에서 피스톤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는 박스형 하우징(2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주사기구가 설치되고, 주사기구의 하부에는 주사기구를 동작시키는 푸시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주사기구는 크게 인슐린 약액이 담기는 원통형의 시린지(21)와 시린지(21) 내에 삽입되어 인슐린 약액을 도관(1)을 통해 밀어내는 피스톤(22)으로 이루어진다. 피스톤(22)의 하단에는 원판상의 푸시부재(50)가 장착되고, 이러한 푸시부재(50)의 중앙에는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20)의 하부에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다수의 감속 기어열(미도시)로 이루어진 동력제공기구(30)가 구비되고, 감속 기어열의 종단 기어에는 회전축(3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축(31)은 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술한 푸시부재(50)의 암나사와 나사 결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회전축(31)이 회전함에 따라 푸시부재(50)가 전진하고, 이에 따라 시린지(21) 내에서 피스톤(22)이 전진함으로써 이렇게 전진한 양만큼의 인슐린 약액이 도관(1) 및 주사침(3)을 통하여 체내로 주사되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0은 인슐린 약액 보충시 주사기구를 하우징(2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를 나타내고, 2는 도관(1)을 시린지(21)에 연결하는 연결구를 나타내며, 40은 동력제공기구(3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마개를 나타낸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 있어서는 회전축이 피스톤에 직접 결합되어 피스톤을 구동하기 때문에 회전축에 많은 수직 하중이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축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회전축의 수나사와 푸시부재의 암나사가 접하는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의 전진 운동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축이 단순히 피스톤 전진기구를 회전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제거하고 이에 따라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는 인슐린 약액이 담긴 시린지와 상기 시린지의 후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시린지에 인슐린 약액 토출 압력을 제공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사기구; 적소에 상기 주사기구를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단면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동력제공기구;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어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과 축결합된 회전축 결합공이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을 밀어서 상기 피스톤에 전진 동력을 제공하는 밀판 조립체 및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시린지 후단의 상기 주사기구 수납공간에 상기 피스톤이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원판부의 수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를 나선 전·후진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밀판 지지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자동 주입기에서 피스톤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주사기구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서 밀판 조립체의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서 체결 보조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관, 2: 연결구,
3: 주사침, 10: 덮개,
20: 하우징, 21: 시린지,
22: 피스톤, 24: 배터리 덮개,
30: 동력제공기구, 31: 회전축,
40: 마개, 50: 푸시부재,
100: 하우징, 101: 격벽,
101a: 공회전 방지톱니, 101b: 회전축 관통공,
102: 주사기구 수납공간, 103: 동력제공기구 수납공간,
105: 시린지 투시창, 106: 배터리 마개,
107: 주사기구 분리마개, 108: 목줄 걸이공,
110: LCD 창, 112: 조작 버튼,
120: 주사기구, 121: 시린지,
122: 유연튜브 연결부, 123: 피스톤,
123a: 걸림 돌기, 124: O링,
127: 밀봉 마개, 130: 밀판 지지통,
131: 공회전 방지톱니, 132: 암나사,
140: 밀판 조립체, 141: 원판부,
141a: 수나사, 141b: 회전축 결합공,
142: 공회전 슬리브, 142a: 걸림 돌기,
142b: 수축 허용홈, 143: 고정 슬리브,
143a: 걸림 돌기, 143b: 수축 허용홈,
150: 동력제공기구, 151: 모터,
152: 육각 회전축, 153: 케이스,
160: 밀봉 덮개, 170: 체결 보조구,
171: 마개체결 소켓, 172: 밀판체결 렌치,
180: 유연 튜브, 182: 바늘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는 소형 박스 형상의 하우징(100) 내부에 주사기구(120)가 수납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원통상의 주사기구 수납공간(102)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적소에는 기기의 각종 전기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수납공간(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는데, 참조 부호 106은 배터리(미도시)를 그 수납공간 내에 구속하는 배터리 마개를 나타낸다. 하우징(100)의 정면에는 기기의 각종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CD 창(110)이 배치되어 있고, LCD 창(110)의 양측에는 각종 조작 버튼(112)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후단부에는 주사기구(120)에 인슐린 약액 토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기구(150)가 자리잡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동력제공기구(150)는 크게 케이스(153), 케이스(153)의 적소에 설치된 직류 모터(151), 케이스(153) 내부에 장착되어 직류 모터(151)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감속 기어열(미도시), 감속 기어열의 종단에 축결합된 채로 케이스(153)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된 육각 회전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조 부호 160은 케이스(153)에 어쩔 수 없이 형성되는 각종 틈새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덮개를 나타내고, 108은 기기를 목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목줄을 연결하는 목줄 걸이공을 나타낸다.
한편, 주사기구 수납공간(102)을 한정하는 하우징(100)의 선단에는 소정 길이의 수나사(104)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수나사(104)에는 필요시 주사기구(12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마개(107)가 나사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분리마개(107)의 내주면에는 수나사(104)와 결합되는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주사기구 수납공간(102)의 후단에는 격벽(10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격벽(101)의 주면에는 공회전 방지톱니(101a)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101)의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육각 회전축이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공(10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사기구(120)는 크게 인슐린 약액이 담기며 선단에 유연튜브 연결부(122)가 형성된 원통상의 시린지(121)와 시린지(121)의 후단을 통해 인입되어 인슐린 약액을 유연튜브 연결부(122)를 향해 토출하는 원통상의 중공 피스톤(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스톤(123)의 선단은 밀폐되어 있고 그 주변에는 밀봉용 O링(124)이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123)의 후단은 개방되어 있다. 참조 부호 127은 인슐린 약액 보충 또는 기타 필요시에 유연튜브 연결부(122)를 통해 인슐린 약액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마개를 나타내고, 105는 주사기구 수납공간(102)의 벽에 형성되어 시린지(121)에 담긴 인슐린 약액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린지 투시창을 나타낸다.
시린지(121) 후방의 주사기구 수납공간(102)에는 피스톤(123)을 전진(물론 후진도 가능할 것이다)시키는 밀판 조립체(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밀판 지지통(130)이 시린지(121) 후단과 맞닿은 채로 배치되어 있다. 밀판 지지통(130)의후단에는 격벽(101)에 형성된 공회전 방지톱니(101a)와 맞물리는 공회전 방지톱니(131)가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주사기구(120)와 밀판 지지통(130)이 주사기구 수납공간(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분리마개(107)를 수나사(104)에 결합시키게 되면, 시린지(121)의 선단이 분리마개(107)에 의해 구속되고, 시린지(121)의 후단과 맞닿아 있는 밀판 지지통(130)의 후단이 격벽(101)에 의해 구속되게 되어 주사기구 수납공간(102) 내에서의 시린지(121)의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이 억제된다. 더욱이,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밀판 지지통(130)의 공회전도 억제되게 된다. 한편, 밀판 지지통(130)의 내주면에는 소정길이(본실시예에서는 내주면의 전체 길이) 만큼에 암나사(1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주사기구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서 밀판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판 조립체(140)는 크게 주면에 수나사(141a)가 형성되어 밀판 지지통(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32)와 나사결합되는 원판부(141), 원판부(141)의 원판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원통상의 공회전 슬리브(142), 공회전 슬리브(142)의 외주면에 삽입된 채로 피스톤(123)의 후단부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어 공회전 슬리브(142)를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상의 고정 슬리브(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42b는 공회전 슬리브의 직경 수축을 허용함으로써 고정 슬리브(143)가 공회전 슬리브(142)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축 허용홈을 나타내고, 142a는 삽입된 고정 슬리브(143)가 공회전 슬리브(142)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방지하는 걸림 돌기를 나타낸다. 참조 부호 143b는 고정 슬리브의 직경 수축을 허용함으로써 고정 슬리브(143)가 피스톤(123)의 후단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축 허용홈을 나타내고, 143a는 삽입된 고정 슬리브(143)가 피스톤(123)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를 나타내는 바, 이를 위해 피스톤(123)의 후단 내주면에도 걸림 돌기(143a)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1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공회전 슬리브(142)의 외경과 고정 슬리브(143)의 내경 사이의 차를 고정 슬리브(143)의 외경과 피스톤(123)의 내경 사이의 차보다 크게 하면, 공회전 슬리브(142)가 피스톤(123)에 고정된 고정 슬리브(143)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즉 공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판부(141)의 중심에는 육각 회전축(152)과 축결합하는 육각형의 회전축 결합공(141b)이 형성되어 있는데, 육각 회전축(152)은 이러한 회전축 결합공(141b)에 공회전은 할 수 없지만 전·후진은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 구조는 예를 들어, 회전축 결합공(141b)의 직경(대향 꼭지점의 길이)을 육각 회전축(152)의 직경(대향 꼭지점의 길이)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육각 회전축(152)에는 어떠한 수직 하중도 인가됨이 없이 오직 회전축 결합공(141b)을 회전시키는 회전력만이 인가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모터(151)의 회전에 연동하여 육각 회전축(152)이 회전하면 밀판 조립체(140)의 원판부(141)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원판부(141)에 형성된 수나사(141a)가 밀판 지지통(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32)의 나사산을 타고 회전함으로써 1회전당 소정 길이 만큼씩 전진하여 피스톤(123)을 밀게 된다.그런데, 이 과정에서 피스톤(123)이 고정 슬리브(143)에 소정의 힘으로 구속되어 있고 공회전 슬리브(142)가 고정 슬리브(142) 내에서 공회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피스톤(123)이 어떠한 회전력도 인가받지 않은 채로 원활하게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서 체결 보조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판매 시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체결 보조구(170)가 세트로 제공되는데, 이러한 체결 보조구(170)에는 회전축 결합공(141b)에 결합되어 밀판 조립체(140), 즉 피스톤(123)을 수동으로 전·후진시키는 육각의 밀판체결 렌치(172)와 육각으로 이루어진 배터리 마개(106)를 여닫는 육각의 마개체결 소켓(17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구(120)에 인슐린 약액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사기구 분리마개(107)를 열어서 밀판 조립체(140)가 조립된 상태의 주사기구(120)를 분리한 상태에서 유연튜브 연결부(122)에 주사바늘을 꽂고 피스톤(123)을 잡아 당겨서 인슐린 약액통으로부터 원하는 양만큼의 인슐린 약액을 시린지(121)에 담게 된다. 다음으로, 체결 보조구(170)의 밀판체결 렌치(172)에 의해 밀판 조립체(140)를 수동으로 전진시켜서 시린지(121) 내부의 기포 등을 빼낸다. 이후, 밀봉 마개(127)로 유연튜브 연결부(122)를 밀봉시킨 상태에서 주사기구(120)를 그 수납공간(102)에 수납하고 분리마개(107)를 닫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시에는 밀봉 마개(127)를 제거한 후에 단부에 주사 바늘(182)이 달린 유연튜브(180)를 유연튜브연결부(122)에 연결시키고, 조작 버튼(112)을 조작하여 인슐린 약액을 유연튜브(180) 내로 도입함으로써 유연튜브(180) 내의 기포를 완전히 제거한 후에 주사 바늘(182)을 복부의 체지방층 등에 삽입하면 된다.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축과 회전축 결합공의 형상을 육각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였지만, 다른 다각형상으로 변형할 수도 있을 것이고, 기타 순수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변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에 따르면, 회전축이 단순히 피스톤 전진기구(밀판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기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피스톤을 진진시키는 밀판 조립체와 밀판 지지통이 넓은 면적으로 접하고 있기 때문에 힘이 분산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전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판의 원판부에서 발생하는 나선 전진 동력이 피스톤에 단지 전진 동력으로만 제공되기 때문에 피스톤에 가해지는 왜력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인슐린 약액이 담긴 시린지와 상기 시린지의 후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시린지에 인슐린 약액 토출 압력을 제공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사기구;
    적소에 상기 주사기구를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단면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동력제공기구;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어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과 축결합된 회전축 결합공이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을 밀어서 상기 피스톤에 전진 동력을 제공하는 밀판 조립체 및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시린지 후단의 상기 주사기구 수납공간에 상기 피스톤이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원판부의 수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를 나선 전·후진 운동하도록 지지하는 밀판 지지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구 수납공간은 선단이 상기 시린지의 선단을 구속하며 분리가능한 마개에 의해 한정되고 후단은 상기 밀판 지지통의 후단을 구속하는 격벽에 의해 한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격벽에는 공회전 방지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판 지지통의 후단에는 상기 공회전 방지톱니와 맞물리는 공회전 방지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선단이 폐쇄되고 후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판 조립체는 상기 원판부; 상기 원판부의 일측 판면에서 돌출형성되고 중공의 원통체으로 이루어진 공회전 슬리브 및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공회전 슬리브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공회전하며 외주면이 상기 피스톤의 후단부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 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슬리브에는 직경 수축을 허용하는 수축 허용홈과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슬리브에도 직경 수축을 허용하는 수축 허용홈과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소에는 목줄을 걸 수 있는 목줄 걸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결합공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렌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KR20-2003-0014861U 2003-05-14 2003-05-14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KR200323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61U KR200323835Y1 (ko) 2003-05-14 2003-05-14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61U KR200323835Y1 (ko) 2003-05-14 2003-05-14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117A Division KR100478771B1 (ko) 2003-03-27 2003-03-27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835Y1 true KR200323835Y1 (ko) 2003-08-21

Family

ID=4941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861U KR200323835Y1 (ko) 2003-05-14 2003-05-14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8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1943A (zh) * 2019-05-31 2019-08-09 安徽宏宇五洲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防针刺胰岛素注射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1943A (zh) * 2019-05-31 2019-08-09 安徽宏宇五洲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防针刺胰岛素注射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771B1 (ko)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US8460244B2 (en) Reservoir compartment adapter for infusion device
JP5856077B2 (ja) カートリッジ結合機構
US20050020980A1 (en) Coupling system for an infusion pump
JP5536641B2 (ja) 能動変位ポンプ
US4749109A (en) Volumetric pump with replaceable reservoir assembly
US9999722B2 (en) Portable medical fluid delivery device with drive screw articulated with reservoir plunger
JPH06315531A (ja) 交換自在の容器組立体
JP2002528676A (ja) 小型で経済的なポンプ駆動システム
KR20080065924A (ko) 주사기 조립체 및 이 주사기 조립체를 합체한 주입 펌프조립체
BRPI0617565A2 (pt) montagem de um conjunto de receptáculo fluìdo; montagem para subcutaneamente injetar um fluìdo em uma pessoa; kit para prover insulina à um paciente através de uma infusão e montagem para a liberação de insulina em um paciente diabético
US20170056579A1 (en) Spindle device for a piston of a reservoir with medicament fluid
US20200001004A1 (en) Liquid medication administration device
KR200323835Y1 (ko) 인슐린 약액 자동 주입기
JPH0767959A (ja) 自動注射器
JP6715391B2 (ja) 機械的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薬剤送達デバイス
CN218944039U (zh) 流体输送装置
WO2024004330A1 (ja) 薬液投与装置
WO2024004329A1 (ja) 薬液投与装置
KR100301656B1 (ko) 장시간 주사용 자동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