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164Y1 -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핸드폰 완구 - Google Patents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핸드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164Y1
KR200323164Y1 KR20-2003-0016644U KR20030016644U KR200323164Y1 KR 200323164 Y1 KR200323164 Y1 KR 200323164Y1 KR 20030016644 U KR20030016644 U KR 20030016644U KR 200323164 Y1 KR200323164 Y1 KR 200323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key
mobile phone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한
Original Assignee
신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한 filed Critical 신정한
Priority to KR20-2003-0016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핸드폰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녹음회로를 내장하여 미아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및 방지를 할 수 있는 미아 방지용 핸드폰 완구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미아발생 예방을 위해 이용하고 있는 방식은 주로 은 또는 철재로 된 목걸이나 팔찌 등에 유아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표기하여 유아에게 채우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유아들이 목걸이나 팔찌 등을 착용하기를 꺼려하고 또한 금방 싫증을 느끼기 때문에 항상 확인하지 않으면 분실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방식은 전화번호 또는 주소가 바뀌는 경우 수정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들이 지속적으로 흥미를 가질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휴대폰 완구에 디지털 음성녹음 장치를 결합하여 부모의 음성을 녹음 및 재생함으로써 미아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미아발생방지장치 겸용 핸드폰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드폰의 키패드를 조합하여 일정한 형식의 고유코드를 발생시켜야만 녹음이 되도록 함으로써 유아 또는 타인에 의해 녹음이 바뀌거나 삭제되지 않도록 한 미아발생방지장치 겸용 핸드폰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미아방지용 완구.

Description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핸드폰 완구{A toy cell-phone with a device for preventing children from going astray}
본 고안은 핸드폰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녹음회로를 내장하여 미아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및 방지를 할 수 있는 미아 방지용 핸드폰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미아발생 예방을 위해 이용하고 있는 방식은 주로 은 또는 철재로 된 목걸이나 팔찌 등에 유아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표기하여 유아에게 채우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유아들이 목걸이나 팔찌 등을 착용하기를 꺼려하고 또한 금방 싫증을 느끼기 때문에 항상 확인하지 않으면 분실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방식은 전화번호 또는 주소가 바뀌는 경우 수정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목걸이나 팔찌 등에 GPS 기술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을 삽입하여 착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고가의 비용과 복잡한 시스템 및 절차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들이 지속적으로 흥미를 가질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휴대폰 완구에 디지털 음성녹음 장치를 결합하여 부모의 음성을 녹음 및 재생함으로써 미아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미아발생방지장치 겸용 핸드폰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드폰의 키패드를 조합하여 일정한 형식의 고유코드를 발생시켜야만 녹음이 되도록 함으로써 유아 또는 타인에 의해 녹음이 바뀌거나 삭제되지 않도록 한 미아발생방지장치 겸용 핸드폰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아방지용 핸드폰 완구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아방지용 핸드폰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성녹음키 2 : 숫자키
3 : 확인키 4 : 음성재생키
5 : 스피커 6 : LCD
7 : 마이크 8 : 전원ON/OFF버튼
9 : 문자판 10 : 안테나
201 : 키조작부 202 : 제어부
203 : 메모리부 204 : 음성출력부
205 : 디스플레이부 206 : 음성입력부
207 : 전원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성 녹음 및 재생 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조작부;와, 상기 키조작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메모리 시키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입력시키는 음성 입력부; 및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 미아방지용 핸드폰 완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키조작부에 구비된 음성 녹음키, 숫자키, 확인키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확인과정을 거친 후에 음성 입력부에 접속된 마이크를 통해 유아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의 음성을 메모리부에 저장하게 되고, 음성 재생키를 누르면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던 음성정보가 음성 출력부에 접속된 스피커를 통해 바로 재생되므로 미아 발견자가 신속하게 보호자에게 연락함으로써 미아 방지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아방지용 핸드폰 완구의 정면 사시도로서, 경첩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덮개(100)와 본체(200)의 내측면이 서로 면 접촉되는 폴더형핸드폰 완구에 있어서, 본체(100)에는 음성녹음키(1)와 숫자키(2), 확인키(3), 음성재생키(4) 등으로 이루어진 버튼 조립체와 마이크(7)가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200)에는 LCD(6), 문자판(9) 및 스피커(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200)의 측면에는 전원 ON/OFF버튼(8)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완구는 본체(200)의 배면부에 건전지를 수납하는 건전지함, 본체(200)의 내부에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문자판(9)에는 미아 발생 시 미아 발견자에게 음성재생키(4)를 누르게 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아방지용 핸드폰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고안은 음성 녹음키(1), 음성 재생키(4), 확인키(3), 복수 개의 숫자키(2)로 이루어진 키조작부(201)와 마이크(7)를 통해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입력부(206)가 각각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제어부(20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202)는 메모리부(203), 저장된 음성을 스피커(5)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04), 제어부(20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LCD화면(6)을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5), 전원부(207)에 연결되어 상기 각 부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203)는 핸드폰 완구의 기능으로서 각 숫자키(2)에 대응하는 "여보세요", "안녕하세요" 등의 음성데이터 및 멜로디가 저장되어 있으며, 미아방지 장치의 기능으로서 음성입력부(206)를 통해 녹음된 유아의 이름,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담긴 음성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 음성입력부(206)는 보호자의 음성을 메모리부(203)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7)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는 A/D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출력부(204)는 메모리부(203)의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D/A컨버터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이득값으로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5)로 출력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자가 유아의 이름,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녹음하기 위해 우선 음성녹음키(1)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202)에서 음성녹음키(1)의 신호를 받아 음성녹음 모드로 절환되고, 이 후 숫자키(2)를 이용하여 소정 자릿수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키(3)를 누르면 제어부(202)에서 비교 판단하여 만약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음성입력부(206)에 연결된 마이크(7)를 통해 보호자의 음성을 녹음하기 시작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비밀번호 재입력을 요구하게 된다. 녹음이 끝나면 다시 확인키(3)를 눌러서 녹음을 종료한다. 따라서, 유아들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완구를 가지고 놀면서 키 조작을 하여도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되기 때문에 실수로 잘못 녹음된다거나, 녹음된 음성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녹음된 음성정보는 상기 제어부(202)에 의해 메모리부(203)에 저장되고, 저장된 보호자의 음성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음성재생키(4)를 조작하면 음성출력부(204)에 연결된 스피커(5)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203)의 음성정보가 재생되므로 미아 발견자는 신속하게 미아의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하게 되어 미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완구는 상술한 미아방지용 기능 외에 각 키를누름에 따라 해당되는 음성 및 멜로디가 출력되고, 또한 디스플레이부(205)에 연결된 LCD화면(6)을 통해 각 키에 해당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출력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데, 이는 공지의 기술인 바 상세한 기능 및 동작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아들이 좋아하는 핸드폰 완구의 형태로서 종래에 유아들이 목이나 팔에 착용하는 장신구에 이름과 연락처를 적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빨리 싫증을 내고 분실 위험이 컸던 단점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녹음이 가능하므로 유아들이 핸드폰 완구를 갖고 놀다가 실수로 녹음된 음성이 바뀌거나 지워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Claims (2)

  1. 음성 녹음 및 재생 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조작부;
    상기 키조작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메모리 시키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 출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입력시키는 음성입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문자 및 숫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핸드폰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조작부는 음성녹음키, 음성재생키, 숫자키, 확인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음성녹음 시 상기 음성녹음키를 누른 후 숫자키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키를 누르면 녹음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용 핸드폰 완구.
KR20-2003-0016644U 2003-05-28 2003-05-28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핸드폰 완구 KR200323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44U KR200323164Y1 (ko) 2003-05-28 2003-05-28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핸드폰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44U KR200323164Y1 (ko) 2003-05-28 2003-05-28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핸드폰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164Y1 true KR200323164Y1 (ko) 2003-08-14

Family

ID=4933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644U KR200323164Y1 (ko) 2003-05-28 2003-05-28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핸드폰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1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0416B2 (en) Group specific simplified cellular telephones
JPH1051831A (ja) 無線メッセージ端末装置
KR20010007135A (ko) 음향 시스템 및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KR200323164Y1 (ko)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핸드폰 완구
KR100943651B1 (ko) 대화형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KR200143167Y1 (ko) 휴대폰의 밧데리 팩에 일체로 제작되는 통화중 녹음 장치
KR200219766Y1 (ko) 영어학습보조용 완구형 전화기
JP2001054184A (ja) 音響システムおよび頭部装着型音響装置
KR200275697Y1 (ko) 메시지 녹음 및 재생 기능을 갖는 시계
KR200263112Y1 (ko) 완구용 화상 전화기
KR200178039Y1 (ko) 음성 및 신호의 녹음/재생 및 소거기능을 갖는디지털/아날로그 알람시계
KR200167829Y1 (ko) 인적사항 저장/출력장치
KR200179155Y1 (ko) 휴대폰의 통화녹음장치
JP3153011U (ja) お守り
KR100372201B1 (ko) 인형의 녹음 및 재생 장치
KR200411402Y1 (ko)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
KR200320568Y1 (ko) 알람 시계
KR200255017Y1 (ko) 단축 번호 버튼 목걸이
KR200372803Y1 (ko) 소리나는 액자
KR200212304Y1 (ko) 자동음성메시지 출력기능을 갖는 시계
KR200165522Y1 (ko) 휴대폰용 음성 녹음 및 재생 장치
KR200333333Y1 (ko) 유아 및 노인용 핸드폰
KR20020063977A (ko) 차량용 원격제어송신기를 이용한 음성 메모장치
KR20000015885U (ko)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KR200208778Y1 (ko) 전자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