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885U -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885U
KR20000015885U KR2019990000589U KR19990000589U KR20000015885U KR 20000015885 U KR20000015885 U KR 20000015885U KR 2019990000589 U KR2019990000589 U KR 2019990000589U KR 19990000589 U KR19990000589 U KR 19990000589U KR 20000015885 U KR20000015885 U KR 200000158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digital
output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영동
Original Assignee
류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영동 filed Critical 류영동
Priority to KR2019990000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885U/ko
Publication of KR20000015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885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Abstract

개시된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면,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사용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음성의 입력을 알리는 음성입력신호가 출력되어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 의해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터치센싱부는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는 상기 음성입력신호 및 접촉감지신호에 응하여 각각 제1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메모리는 제1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며, 그리고 메모리로부터의 디지털 음성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라도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음성 메시지로 갱신하여 반복적으로 녹음할 수 있고, 음성 메시지의 출력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APPARATUS FOR STORING AND ALARMING A SOUND MESSAGE}
본 고안은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이 갖고 노는 인형과 같은 장난감에는 놀이의 재미를 배가하기 위한 사운드 발생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이가 곰 인형을 갖고 놀다가 곰 인형의 특정 부분을 누르면 곰 울음소리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장치다.
또한, 대부분의 가정에서 하나씩은 사용되고 있는 알람시계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기저장된 사운드를 발생하여 특정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는 사운드 출력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곰 인형이나 알람시계들은 제품의 제조 단계에서 입력된 사운드만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알람시계의 특정 시간을 알리는 메시지를 자신이 듣고 싶은 메시지로 설정할 수 없고, 또한, 상술한 곰 인형을 다른 사람에게 선물하면서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설정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신체적 접촉과 같은 행위에 응하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일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설정값에 응하여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기능을 갖는 인형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형의 내부에 설치된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기능을 갖는 시계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한 도면; 및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계의 내부에 설치된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80 : 마이크로폰
120, 290 : 음성신호처리부
130, 30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140, 230 : 마이크로컴퓨터
150, 240 : 메모리
170, 250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180, 260 : 증폭부
190, 270 : 스피커시스템
160 : 터치센싱부
210 : 예약시간설정부
220 : 현재시간검출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데이터의 입력을 알리기 위한 음성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터치센싱부와, 상기 음성입력신호에 응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에 따른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접촉감지신호에 응하여 기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저장부와, 그리고 상기 저장부로부터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데이터의 입력을 알리기 위한 음성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디지털 음성신호에 따른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출력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예약시간설정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예약시간 설정부와, 현재 시간을 검출하여 현재시간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현재시간 검출부와, 상기 음성입력신호에 응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예약시간설정신호 및 현재시간검출신호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저장부와, 그리고 상기 저장부로부터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술한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에 있어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모리로서 데이터의 소거 및 기입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라도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음성 메시지로 갱신하여 반복적으로 녹음할 수 있고, 음성 메시지의 출력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기능을 갖는 인형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는 인형(100)의 몸체 내부에 장착되고, 인형(100)의 입주위에는 사용자, 즉 인형을 갖고 노는 어린아이가 인형(100)의 입에 키스를 한다거나 신체의 다른 일부분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싱부(160)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형(100)의 몸체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분이 인형(100)의 입주위에 접촉되었을 때,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190)이 설치된다. 또한, 인형(100)의 몸체에는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할 때 필요한 마이크로폰(110)이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형의 내부에 설치된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의 입력을 알리는 음성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110),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잡음등을 제거하는 음성신호 처리부(120),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 사용자의 신체적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센싱부(160), 상기 음성입력신호 및 접촉감지신호에 응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함)(140), 상기 제어신호에 응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메모리(150), 상기 메모리(150)로부터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70),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80) 그리고 증폭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190)을 갖는다. 이때, 상기 메모리(150)는 저장된 음성 데이터의 소거 및 새로운 음성 데이터의 저장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가 사용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먼저 음성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폰(110)의 온/오프 스위치(ON/OFF SWITCH)(미도시)를 온으로 조작하면, 마이크로폰(110)으로부터 마이컴(140)으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고 있음을 알리는 음성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마이크로폰(110)으로부터의 음성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150)에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소거되도록 제어한다.
다음,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로폰(110)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조되어 출력되고, 음성신호 처리부(120)는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섞여 있는 잡음 등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이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에 의해 음성신호 처리부(120)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메모리(150)는 마이컴(14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소거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0)로부터의 디지털 음성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음, 메모리(15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출력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일부분을 인형(100)의 입주위에 접촉시키면, 터치센싱부(16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마이컴(140)은 터치센싱부(160)로부터 접촉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15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메모리(150)로 제공한다.
메모리(150)는 마이컴(14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메모리(150)로부터의 디지털 음성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70)에 의해서 다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70)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증폭부(180)에 의해서 소정 레벨로 증폭되고, 증폭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스피커 시스템(190)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5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고, 메모리(15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해 반복적으로 출력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기능을 갖는 시계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는 시계(2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시계(200)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의 알람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예약시간설정부(210),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270) 그리고 새로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할 때 사용되는 마이크로폰(280)이 설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계의 내부에 설치된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의 입력을 알리는 음성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280),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잡음 등을 제거하는 음성신호 처리부(290),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0),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출력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예약시간설정신호를 출력하는 예약시간 설정부(210), 현재시간검출신호를 출력하는 현재시간 검출부(220), 상기 음성입력신호, 예약시간설정신호 그리고 현재시간검출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30), 상기 제어신호에 응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메모리(240), 상기 메모리(240)로부터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50),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60) 그리고 증폭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270)을 갖는다. 이때, 상기 메모리(250)는 저장된 음성 데이터의 소거 및 새로운 음성 데이터의 저장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먼저 음성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폰(280)의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온으로 조작하면, 마이크로폰(280)으로부터 마이컴(230)으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고 있음을 알리는 음성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마이컴(230)은 상기 마이크로폰(280)으로부터의 음성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240)에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소거되도록 제어한다.
다음,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로폰(280)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조되어 출력되고, 음성신호 처리부(290)는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섞여 있는 잡음 등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이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0)에 의해 음성신호 처리부(290)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면, 메모리(240)는 마이컴(23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소거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0)로부터의 디지털 음성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음,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출력 동작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시키기 위한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예약시간설정부(210)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예약시간설정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메시지의 출력 간격 및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전체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음성 메시지의 출력시간이 6시 정각으로 설정되고,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시간양을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출력설정값은 2분 동안에 걸쳐서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기설정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예약시간설정부(210)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6시 정각에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음성 메시지가 2분 동안 출력되도록 설정하면, 예약시간설정부(210)는 예약시간설정신호를 출력한다. 현재시간검출부(220)는 상기 시계(200)의 현재 시간을 검출하여 현재시간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마이컴(230)은 예약시간설정부(210)로부터의 예약시간설정신호에 따른 예약시간설정값과 현재시간검출부(220)로부터의 현재시간검출신호에 따른 현재시간검출값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상기 예약시간설정신호에 따른 예약시간설정값과 상기 현재시간검출신호에 따른 현재시간검출값이 일치하면, 마이컴(230)은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메모리(240)로 제공한다.
메모리(240)는 마이컴(23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메모리(240)로부터의 디지털 음성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50)에 의해서 다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증폭부(260)에 의해서 소정 레벨로 증폭되고, 증폭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스피커 시스템(270)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한편, 마이컴(230)은 메모리(24)로부터의 음성 메시지의 출력이 2분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시간검출부(220)로부터의 현재시간검출신호에 따른 현재시간검출값을 기설정된 음성 메시지 출력설정값과 비교한다.
상기 현재시간검출값이 기설정된 음성 메시지 출력설정값과 일치하면, 마이컴(230)은 메모리(240)로부터의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종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240)는 마이컴(23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종료한다. 상기 음성 메시지 출력설정값은 상기 예약시간설정부(2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내용 및 음성 메시지의 출력설정값 등은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고,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는 반복적으로 출력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장치에 있어서,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모리로서 데이터의 소거 및 기입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라도 기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음성 메시지로 갱신하여 반복적으로 녹음할 수 있고, 음성 메시지의 출력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데이터의 입력을 알리기 위한 음성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터치센싱부;
    상기 음성입력신호에 응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에 따른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접촉감지신호에 응하여 기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음성 데이터의 소거 및 기입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3.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데이터의 입력을 알리기 위한 음성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디지털 음성신호에 따른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출력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예약시간설정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예약시간 설정부;
    현재 시간을 검출하여 현재시간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현재시간 검출부;
    상기 음성입력신호에 응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예약시간설정신호 및 현재시간검출신호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음성 데이터의 소거 및 기입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시간설정신호의 설정값과 상기 현재시간검출신호의 검출값이 일치될 때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KR2019990000589U 1999-01-19 1999-01-19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KR200000158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589U KR20000015885U (ko) 1999-01-19 1999-01-19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589U KR20000015885U (ko) 1999-01-19 1999-01-19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85U true KR20000015885U (ko) 2000-08-16

Family

ID=5475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589U KR20000015885U (ko) 1999-01-19 1999-01-19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8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463A1 (ko) * 2011-07-22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463A1 (ko) * 2011-07-22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30449A1 (en) Electronic baby-soothing device with wireless remote monitor
US6707383B2 (en) Personal sensory reminder with customizable voice message
KR20000015885U (ko) 음성 메시지 저장 및 알람 장치
GB2215104A (en) Messsage apparatus
KR100677583B1 (ko) 버튼 조작 없는 음원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7411B1 (ko) 인형에 부착 가능한 스마트스피커
JPS62231292A (ja) 音声発生装置
KR200269231Y1 (ko) 유아용 모빌
KR200320568Y1 (ko) 알람 시계
KR200172005Y1 (ko)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
KR200275697Y1 (ko) 메시지 녹음 및 재생 기능을 갖는 시계
KR200191270Y1 (ko) 소리감지장치를 이용한 완구용 음성녹음 재생기
KR200180366Y1 (ko) 시계의 알람 제어장치.
JPS6358793U (ko)
KR200323164Y1 (ko)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핸드폰 완구
JPH0956290A (ja) ペット用ベルト
JPH04317661A (ja) 睡眠補助装置
KR100327256B1 (ko) 오디오 재생기용 유선 원격 제어장치
KR200300134Y1 (ko) 눕히면 우는 인형
KR200294857Y1 (ko) 입맞추면 소리를 내는 인형완구
KR900002006Y1 (ko) 초인종
KR200212304Y1 (ko) 자동음성메시지 출력기능을 갖는 시계
JPH0617490Y2 (ja) デジタルサウンドプロセッサーオーム返し発音シール動物玩具の発音操作装置
KR20030066012A (ko) 메시지 녹음 및 재생 기능을 갖는 시계
KR200329166Y1 (ko) 음량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