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005Y1 -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 - Google Patents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005Y1
KR200172005Y1 KR2019990018911U KR19990018911U KR200172005Y1 KR 200172005 Y1 KR200172005 Y1 KR 200172005Y1 KR 2019990018911 U KR2019990018911 U KR 2019990018911U KR 19990018911 U KR19990018911 U KR 19990018911U KR 200172005 Y1 KR200172005 Y1 KR 200172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unit
sound
amplifiers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진
Original Assignee
강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진 filed Critical 강남진
Priority to KR2019990018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변소음이 설정된 이상범위로 감지되면 조용한 음악 또는 경각심을 갖게 하는 음성이 자동으로 출력됨과 아울러, 상기한 음악 등도 사용자 스스로 녹음할 수 있도록 있도록 된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상용전원을 강하 및 정류하여 내부의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부(18)와, 가정 및 직장등의 장소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전기적인 소음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 및 증폭기(11,12)와, 상기 마이크 및 증폭기(11,12)에서 입력되고 있는 소음의 레벨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도조절부(13)와, 미리 음악 및 성경말씀등이 저장된 불휘발성 롬(ROM)으로 이루어진 메모리(16)와, 사용자가 직접 음악 및 원하는 소리를 직접 상기 마이크 및 증폭기(11,12)를 통해 녹음시켜 필요에 따라 재생되도록 한 휘발성 램(RAM)으로 이루어진 녹음부(15)와, 각종의 소리선택 혹은 녹음선택을 위한 입력부인 기능선택부(14)와, 상기 기능선택부(14)와 감도조절부(13)에 의해 입력된 소리, 녹음 및 감도를 세팅한 상태에서 마이크 및 증폭기(11,12)를 통해 입력되는 소음을 미리 설정한 소음레벨과 비교하여 설정범위 이상이면 출력단을 통해 소리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 10)의 출력신호로 상기 메모리(16)나 녹음부(15)의 음성 및 음악데이터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앰프 및 스피커(17,SP)로 구비된 것임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The noise recognition circuit of a peacefull household and ones job}
본 고안은 가정 및 직장 화목을 위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정 및 직장등에서 주변소음이 설정된 이상범위로 감지되면 조용한 음악 또는 경각심을 갖게 하는 음성이 자동으로 출력됨과 아울러, 상기한 음악 등도 사용자 스스로 녹음할 수 있도록 있도록 가정 및 직장 화목을 위한 소음 인식 회로에 관한 것이다.
근대들어 소음은 현대인의 건강을 해치는 주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예컨데 부부싸움, 부모가 자녀에게 내지르는 소리, 자녀들의 다투는 소리, 라디오나 TV 소리등 주변의 소음이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불러 일으킴은 물론이고,특히 고혈압 등의 환자같은 경우는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치명적일 수 밖에 없다.
한편, 최근에는 소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각종의 소음분야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인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7-57581호도 그중 하나이다. 이는 텔레비젼의 부근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응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장치로서, 주변소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특징은 있으나 그 적용용도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기타 다른 소음분야의 제품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69293호(무선통신기기의 소음감지형 호출방법)도 그 적용 용도가 한정적이어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즉, 가정 및 직장등에서 느낄 수 있는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란 요원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적인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장소에 따른 소음 예컨데 부부싸움, 부모가 자녀에게 내지르는 소리, 자녀들의 다투는 소리, 라디오나 TV 소리등 주변의 소음레벨을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소음이 설정된 이상범위로 감지되면 조용한 음악 또는 경각심을 갖게 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가정 및 직장에서의 화목을 위한 기기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음악 및 음성 등도 사용자 스스로 녹음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적용용도의 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소음 인식 회로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제어 블록도,
도 2a는 도 1의 녹음세팅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2b는 도 1의 주변소음 인식에 따른 녹음출력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1 : 마이크,
12 : 증폭기, 13 : 감도조절부,
14 : 기능선택부, 15 : 녹음부,
16 : 메모리, 17 : 앰프,
18 : 전원부, 19 : 백업전원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의 상용전원을 강하 및 정류하여 내부의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부와, 가정 및 직장등의 장소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전기적인 소음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 및 증폭기와, 상기 마이크 및 증폭기에서 입력되고 있는 소음의 레벨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도조절부와, 미리 음악 및 성경말씀등이 저장된 불휘발성 롬(ROM)으로 이루어진 메모리와, 사용자가 직접 음악 및 원하는 소리를 직접 상기 마이크 및 증폭기를 통해 녹음시켜 필요에 따라 재생되도록 한 휘발성 램(RAM)으로 이루어진 녹음부와, 각종의 소리선택 혹은 녹음선택을 위한 입력부인 기능선택부와, 상기 기능선택부와 감도조절부에 의해 입력된 소리, 녹음 및 감도를 세팅한 상태에서 마이크 및 증폭기를 통해 입력되는 소음을 미리 설정한 소음레벨과 비교하여 설정범위 이상이면 출력단을 통해 소리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로 상기 메모리나 녹음부의 음성 및 음악데이터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앰프 및 스피커로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소음 인식 회로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제어 블록도이며, 도 2a는 도 1의 녹음세팅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주변소음 인식에 따른 녹음출력 흐름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는 그 내부가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즉, 18은 전원부로서, 외부의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강하하되 정류 및 평할하여 내부의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건전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정전 등을 대비하여 별도의 백업용 배터리를 포함한 백업전원부(19)를 갖추는 것이 그 동작상 바람직하다.
11, 12는 마이크 및 증폭기로서, 가정 및 직장등의 장소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전기적인 소음신호로 출력하여 소음레벨 비교에 이용되며 특히, 사용자 스스로 음악 및 자신의 메시지를 녹음할 경우에도 이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13은 감도조절부로서, 상기 마이크 및 증폭기(11,12)에서 입력되고 있는 소음의 레벨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감도선택된 레벨은 후술하는 제어부에의 소음레벨 비교시 이용된다.
16은 메모리로서, 미리 음악, 부처님말씀, 원불교경귀, 성경말씀, 아빠 싸우지마, 조금만 낮추시죠 소리가 높네요, 또는 쉬-잇 하는 등의 소리가 저장된 불휘발성 롬(ROM)으로 이루어진다.
14는 기능선택부로서, 상기 메모리(16)에 저장된 각종의 소리를 선택하거나 혹은 자신의 원하는 소리를 직접 녹음시키기 위한 선택스위치등이 포함된 입력부이다.
10은 제어부로서, 본 고안 소음 인식 회로의 전체를 제어하되 특히 입력단의 상기 기능선택부(14)와, 상기 기능선택부(14)와 감도조절부(13)에 의해 입력된 소리, 녹음 및 감도를 세팅한 상태에서 마이크 및 증폭기(11,12)를 통해 입력되는 소음을 미리 설정한 소음레벨과 비교하여 설정범위 이상이면 출력단에 연결된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해 소리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17, SP는 앰프 및 스피커로서, 상기 제어부(10)의 출력신호로 상기 메모리 (16)나 녹음부(15)의 음성 및 음악데이터를 증폭시켜 출력한다.
이와같은 회로를 그 내부로 구성한 상태에서 그 외형을 다양하게 제작하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사람형상의 귀여운 달걀 모형이 손으로 '쉬잇'하면서 자신의 입을 가리는 동작의 캐릭터상품으로 제작된 이동식형태 또는 고정식형태인 예컨데, 기존의 아파트 스피커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예컨데,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시계기능을 포함시키는 등의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 2a와 도 2b를 근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소음 인식회로를 내장한 이동식 또는 고정식 형태로 제작된 제품은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 그 내부가 초기화되면서(S1) 동작대기 상태로 진입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소음레벨을 감도조절부(13)를 통해 설정하면(S2) 제어부(10)는 이후 마이크 및 증폭기(11,12)를 통해 유입되는 주변의 소음레벨 비교 근거자료로 삼는다.
단계 S2이후 기능선택부(14)의 녹음선택스위치를 조작하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소리나 혹은 음악 등을 선택하는 녹음기능단계(S3)로 진입하고 이와같이 녹음된 음성데이터는 별도의 램(RAM)으로 이루어진 녹음부(15)에 차례로 저장된다( S4).
이 상태에서 기능선택부(14)의 또다른 스위치인 소리선택스위치를 이용하여 어떠한 소리를 내보낼것인지를 결정하는 조작단계(S5)를 거치면 설정된 음이 자동세트되어(S6) 이후 동작대기 상태로 진입한다(S7).
동작대기상태에서(S7) 주변의 소음이 마이크 및 증폭기(11,12)를 통해 입력되고 있는 소음 감도가 인입되고 이 인입감도는 설정된 소음레벨과 비교되며 그 비교결과 기 설정된 소음이 일정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10)는 미리 세트된 음의 소리 예컨데, 음악, 부처님말씀, 원불교경귀, 성경말씀, '아빠, 싸우지 마'하는 어린이 음성, '조금만 낮추시죠, 소리가 높네요', 사용자가 스스로 녹음한 소리(부모나 자녀들의 목소리 직접 녹음)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앰프(17)와 스피커(18)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가정 및 직장 어떠한 장소에서도 상기한 음발생소리로 소음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줌으로써 자연스럽게 화목을 유도해 주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소에 따른 소음 예컨데 부부싸움, 부모가 자녀에게 내지르는 소리, 자녀들의 다투는 소리, 라디오나 TV 소리등 주변의 소음레벨을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소음이 설정된 이상범위로 감지되면 조용한 음악 또는 경각심을 갖게 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가정 및 직장에서의 화목을 위한 기기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음악 및 음성 등도 사용자 스스로 녹음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적용용도의 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의 상용전원을 강하 및 정류하여 내부의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부(18)와,
    가정 및 직장등의 장소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전기적인 소음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 및 증폭기(11,12)와,
    상기 마이크 및 증폭기(11,12)에서 입력되고 있는 소음의 레벨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도조절부(13)와,
    미리 음악 및 성경말씀등이 저장된 불휘발성 롬(ROM)으로 이루어진 메모리 (16)와,
    사용자가 직접 음악 및 원하는 소리를 직접 상기 마이크 및 증폭기(11,12)를 통해 녹음시켜 필요에 따라 재생되도록 한 휘발성 램(RAM)으로 이루어진 녹음 부(15)와,
    각종의 소리선택 혹은 녹음선택을 위한 입력부인 기능선택부(14)와,
    상기 기능선택부(14)와 감도조절부(13)에 의해 입력된 소리, 녹음 및 감도를 세팅한 상태에서 마이크 및 증폭기(11,12)를 통해 입력되는 소음을 미리 설정한 소음레벨과 비교하여 설정범위 이상이면 출력단을 통해 소리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의 출력신호로 상기 메모리(16)나 녹음부(15)의 음성 및 음악데이터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앰프 및 스피커(17,SP)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
KR2019990018911U 1999-09-07 1999-09-07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 KR200172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11U KR200172005Y1 (ko) 1999-09-07 1999-09-07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11U KR200172005Y1 (ko) 1999-09-07 1999-09-07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005Y1 true KR200172005Y1 (ko) 2000-03-15

Family

ID=1958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911U KR200172005Y1 (ko) 1999-09-07 1999-09-07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0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764B1 (ko) * 1999-12-24 2002-01-09 오길록 형광 디스플레이용 산화물계 적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CN112786042A (zh) * 2020-12-28 2021-05-1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车载语音设备的调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786042B (zh) * 2020-12-28 2024-05-31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车载语音设备的调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764B1 (ko) * 1999-12-24 2002-01-09 오길록 형광 디스플레이용 산화물계 적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CN112786042A (zh) * 2020-12-28 2021-05-1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车载语音设备的调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786042B (zh) * 2020-12-28 2024-05-31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车载语音设备的调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3622B1 (en) Conversation management in a personal audio device
US7149319B2 (en) Telecommunication system, speech recognizer, and terminal, and method for adjusting capacity for vocal commanding
KR100916726B1 (ko) 청력 역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오디오신호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195979A1 (en) Method for testing using hearing aid
US8538050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hearing aid
US7974427B2 (en) Method for identifying a hearing aid
US7747030B2 (en) Method for identifying a hearing aid
US8948426B2 (en) Method for calibrating a hearing aid
JP2009538554A (ja) 標準聴力特性を用いたイコライゼーション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音響出力装置
KR200172005Y1 (ko) 가정 및 직장 화목용 소음 인식 회로
JP2007097087A (ja) 音量調整装置
KR102197411B1 (ko) 인형에 부착 가능한 스마트스피커
CN113823065A (zh) 一种适用于智能住宅及养老服务的模块化智能终端
KR200323684Y1 (ko) 보이스레코더를 구비한 알람시계
KR200305786Y1 (ko) 다기능이 구비된 받침대
JPH10225349A (ja) 音声装置内蔵の額縁
JP3210381U (ja) 警告装置
KR200384440Y1 (ko) 통신장치
KR200310631Y1 (ko) 별도의 마이크 및 음성신호처리 제어부와 연결된 보청기장치
JP2006270583A (ja) 接続装置
JPS62181559A (ja) 発生音制御方法
CN114449427A (zh) 听力辅助装置及调整听力辅助装置输出声音的方法
KR200279553Y1 (ko) 전자제품용 음성증폭기
KR200269530Y1 (ko) 유선전화기의 벨소리 대체신호 녹음/재생장치
KR200320568Y1 (ko) 알람 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