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803Y1 - 소리나는 액자 - Google Patents

소리나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803Y1
KR200372803Y1 KR20-2004-0020000U KR20040020000U KR200372803Y1 KR 200372803 Y1 KR200372803 Y1 KR 200372803Y1 KR 20040020000 U KR20040020000 U KR 20040020000U KR 200372803 Y1 KR200372803 Y1 KR 200372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generating
generating circuit
generating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건식
Original Assignee
유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건식 filed Critical 유건식
Priority to KR20-2004-0020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61Memory and use thereof,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memory map
    • G10H2240/165Memory card, i.e. removable module or card for storing music data for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21Bluetooth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리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화나 미니어쳐 기념물 등을 액자 프레임안에 장치하여 탁상 위에나 벽 등에 거치하는 전시물에 있어서 내부에 사용자의 입력조작에 의하여 작동하는 음향발생모듈을 장착하고 음향발생모듈 내에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회로를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향의 내용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장치를 추가한 소리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리나는 액자{Sound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소리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화나 미니어쳐 기념물 등을 액자 프레임안에 장치하여 탁상위에나 벽 등에 거치하는 전시물에 있어서 내부에 사용자의 입력조작에 의하여 작동하는 음향발생모듈을 장착하고 음향발생모듈 내에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회로를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향의 내용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장치를 추가한 소리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리나는 액자들은 몇가지의 방법을 응용하여 제조되어 왔는데 정해진 음향을 반도체에 집적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일정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방법이나 간단한 메세지를 직접 녹음하여 재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고 라디오 회로를 삽입하여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액자속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하여 송출하는 방법등이 고안되어왔다.
상기 고정된 음향을 집적한 반도체를 사용한 액자는 제조 당시부터 정해진 음향만을 발생하기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변경하고자하여도 바꿀 수 없는 단점이 있어왔고 사용자가 직접 녹음하여 재생시키는 방법은 비교적 그 소리의 길이가 짧고 마이크에 직접 녹음을 하는 관계로 잡음이 많아 소리의 품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또한 라디오회로를 내장한 액자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관계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이나 내용으로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액자에 장착되는 음향발생모듈의 음향발생회로를 구성할 때 음향의 내용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게 함으로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첫째, 음향압축 디지털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카드팩을 착탈식으로 장착하게 하여 사용자가 이를 다른 내용의 메모리카드팩으로 교환함으로서 음향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도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둘째, 음향발생회로안에 음향압축디지털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내장시키고, 피씨링크 입출력포트를 통하여 피씨에 연결하여 원하는 음성데이터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음향의 내용을 변경하도록하는 데에 또 하나의 목적이 있으며,
세째, 음향발생회로에 불루투스무선장치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피씨에서 선택한 내용의 음향을 무선으로 송출하여 출력하면서 필요시에는 그 내용을 변경할 수 있도록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리나는 액자의 개략 정면도 및 후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니어쳐 악기를 장착한 액자의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위치 입력장치와 메모리카드팩을 장착한 음향발생모듈의 기능별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씨링크 입출력포트를 구비한 음향발생모듈의 기능별 블럭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불루투스무선장치를 구비한 음향발생모듈의 기능별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액자 프레임 101: 서화
102: 미니어쳐 기념품 200: 음향발생모듈
201: 음향발생회로 202: 건전지
205: 스피커 207: 터치감지금속편
208: 터치센서모듈 210: 메모리카드팩
211: 피씨링크 입출력포트 212: 불루투스무선장치모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리나는 액자의 개략 정면도 및 후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니어쳐 악기를 장착한 액자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카드팩을 장착한 음향발생모듈의 기능별 블럭도를 보여주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씨링크 입출력포트를 구비한 음향발생모듈의 기능별 블럭도 그리고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불루투스무선장치를 구비한 음향발생모듈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보통의 액자들은 책상위에 비치하거나 벽에 걸어 놓는 방식으로 전시하기 때문에 소리나는 액자의 경우 일반적인 푸쉬스위치를 신호 입력장치로서 사용할 경우 액자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어 액자가 밀리거나 흔들리는 경우가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인체감지형 터치스위치를 입력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을 기본 실시예로서 채택하였으나 여타의 입력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실시 범주내에 드는 것을 밝혀둔다.
도 1의 (가)는 액자의 정면도, (나)는 후면도를 보여주며 사각의 프레임(100)안에 서화(101)가 삽입, 장착되어 있고 프레임의 한 부분에 장착된 터치감지금속편(207)을 신체의 일부로 접촉하면 음향발생모듈(200)안의 회로가 작동하여 스피커(205)를 통하여 음향이 출력하도록 되어있으며 도 2는 액자 안에 서화 대신에 미니어쳐 기념품(102) 을 장착한 것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 또한 터치감지금속편(207)을 접촉하면 음향이 출력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모리카드팩을 장착한 음향발생모듈(200)의 기능별 블럭도로서 음향발생회로(201)는 메모리카드팩(210)에 저장된 소정의 음향압축알고리듬으로 압축된 음향신호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음향으로 재생하여주는 음향합성회로로서 메모리카드팩을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필요시에는 외부의 장치를 사용하여 같은 알고리듬으로 압축저장된 메모리팩을 만들거나 구입하여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교체가능한 메모리카드팩의 방식은 일반적인 시리얼인터페이스인 유에스비(USB)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회로 특유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한 사용자 전용의 방식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터치감지금속편(207)을 신체의 일부로서 접촉하면 터치센서모듈(208)은 사용자조작 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음향발생회로(211)를 동작시키고 도 3에서는 메모리카드팩(210)에 저장된 음향압축신호를 읽어들여 음성합성, 증폭과정을 거쳐 스피커(205)를 통하여 출력한다.
도 4는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피씨링크 입출력포트를 구비한 음향발생모듈의 기능별 블럭도로서 도 3의 메모리카드팩을 일일이 교환하지않고도 피씨에 연결하여 그 내용을 갱신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음향발생회로(201)는 내부에 플래쉬메모리와 같은 읽고쓰기가 가능한 메모리를 내장하고 이 메모리안의 내용은 피씨링크입출력포트(211)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된 피씨로부터 필요한 음향데이터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내용을 갱신한다.
도 5는 불루투스무선장치를 구비한 음향발생모듈의 기능별 블럭도를 보여준다. 음향발생회로(201)는 피씨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불루투스무선장치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불루투스무선모듈(212)을 통하여 수신하고 복조, 증폭한 다음 음향출력을 스피커로 내어보낸다. 사용자가 피씨안에 저장된 오디오파일을 선택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장치인 불루투스무선입출력기를 통하여 무선 송출하면 음향발생모듈(200)내의 음향발생회로(201)는 메모리를 내장할 필요없이 불루투스무선신호를 수신, 복조,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바로 음향신호로 출력함으로서 이 경우 사용자는 음향발생모듈내부를 조작하지 않고 피씨상의 조작만으로 음향의 내용을 교체가능한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리나는 액자에 따르면, 음악발생회로를 구성할 시, 메모리카드팩을 교체할 수 있는 방법, 피씨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방법, 또는 피씨로부터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받아 재생하는 방법 등을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소리나는 액자에서 소리의 내용을 쉽게 교체하지 못하던 점을 개선하여 소리나는 액자의 음향의 내용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신호입력장치부터 사용자의 조작 입력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음향발생회로, 상기 음향발생회로에서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음향발생회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 등으로 연결 구성된 음향발생모듈을 장착한 소리나는 액자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모듈은 소정의 음향압축알고리듬으로 압축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신호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음향으로 재생하는 음향합성기능을 가진 음향발생회로와,
    상기 음향발생회로는 상기 음향압축알고리듬으로 압축된 음향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탈착, 교환이 가능한 메모리카드팩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나는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모듈은,
    상기 음향압축알고리듬으로 압축된 음향신호데이터를 저장하는 읽고쓰기가 가능한 메모리를 내장한 음향합성기능을 가진 음향발생회로와,
    상기 메모리안에 저장된 음향신호데이터를 별도의 피씨로부터 다운로드하여 갱신하도록, 외부의 피씨와 연결하는 피씨링크입출력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나는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모듈은,
    외부의 피씨의 입출력포트에 연결된 불루투스무선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불루투스무선장치모듈과,
    상기 불루투스무선장치모듈로부터 수신된 무선음향신호를 음향신호로 복조,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음향발생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리나는 액자.
KR20-2004-0020000U 2004-07-14 2004-07-14 소리나는 액자 KR200372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00U KR200372803Y1 (ko) 2004-07-14 2004-07-14 소리나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000U KR200372803Y1 (ko) 2004-07-14 2004-07-14 소리나는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803Y1 true KR200372803Y1 (ko) 2005-01-14

Family

ID=4935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000U KR200372803Y1 (ko) 2004-07-14 2004-07-14 소리나는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8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43A (ko) * 2018-06-26 2020-01-07 이종원 모스를 이용한 입체 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43A (ko) * 2018-06-26 2020-01-07 이종원 모스를 이용한 입체 액자
KR102106649B1 (ko) * 2018-06-26 2020-05-28 이해원 모스를 이용한 입체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95241B (en) Audio system with removable, active faceplate
EP1196007A3 (en) On demand audio entertainment device that allows wireless download of content
JP2007104603A (ja) 携帯音声駆動装置
EP2291003A3 (en) Midi-compatible hearing device
US20010029192A1 (en) Cellular phone having an audio player
CN102314932A (zh) 便携式电子装置
US895417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cess an audio user interface and audio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198355A1 (en) Ear-mounted MP3 player with radio and remote control
KR200372803Y1 (ko) 소리나는 액자
US20210377647A1 (en) Headphones Workstation Assembly
KR101002162B1 (ko) 휴대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증폭기
CN101950155B (zh) 一种多功能智能闹钟音响
JP2014096657A (ja) 音響装置
KR200416009Y1 (ko) 외장형 폴더 스피커
KR20180001323A (ko) 스마트폰과 연결 가능한 전자드럼
KR20080110247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용 리모컨이 부착된 이어폰과 그이어폰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60122358A (ko) 메모리카드 장착홈을 갖는 무선헤드셋
CN201465569U (zh) 一种数字音响播放器
CN212278451U (zh) 一种新型蓝牙音箱
JP2004252076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2019040075A (ja) オーディオ装置
CN202340298U (zh) 配有线控器的数码插卡音箱
JP3118853U (ja) 車用型mp3音声変換器
KR100632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200208Y1 (ko) 멀티출력기능을 갖는 메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