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402Y1 -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 - Google Patents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402Y1
KR200411402Y1 KR2020060000174U KR20060000174U KR200411402Y1 KR 200411402 Y1 KR200411402 Y1 KR 200411402Y1 KR 2020060000174 U KR2020060000174 U KR 2020060000174U KR 20060000174 U KR20060000174 U KR 20060000174U KR 200411402 Y1 KR200411402 Y1 KR 200411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nit
buckle
storing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근
Original Assignee
최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근 filed Critical 최형근
Priority to KR2020060000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4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버클 장치는, 벨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벨트체결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버클에 있어서, 컴퓨터를 포함하는 외부 음원 공급 기기로부터 음원을 전송받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부; 외부의 음원 출력 장치와 잭으로 연결하기 위한 잭 삽입부;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 및 그에 대응하는 결과 신호를 포함하는 MP3 음원 데이터의 현재 출력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얇은 박막형의 재질로 버클 몸체의 일측부에 삽설되어 있으며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집적회로(IC)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PCB;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MP3플레이어를 구비하지 않아도 항상 의복에 구비하고 있는 버클 장치를 통해 MP3 음원을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으므로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원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버클, MP3, MP3 플레이어

Description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Buckle Apparatus having Function Storing and Playing MP3 data}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버클 장치에 적용되는 PCB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를 이용하여 MP3 음원을 저장 및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벨트 체결부 104: 인터페이스 커넥터부
106: 잭 삽입부 108: 키입력부
110: 디스플레이부 200: PCB
202: 메모리부 204: 마이크로프로세서
206: D/A 컨버터부 208: 디코더부
210: 증폭부
본 고안은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버클에 MP3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도 MP3 음원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반 CD에 가까운 음질을 유지하면서 일반 CD의 약 50배로 압축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MP3 플레이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이러한 MP3 플레이어는 음악을 파일로 저장하여 재생하도록 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 및 경량이다.
이러한 MP3 플레이어는 그 본체에 이어폰을 연결하고, 그 이어폰을 귀에 꽂고 다니면서 음원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MP3 음원을 청취하기 위하여 반드시 상기 MP3 음원을 저장한 MP3 플레이어를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지하철 등과 같은 장소에서 음악을 청취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는 반면에, 치열한 경쟁 사회에서 신경쓰고 준비해야할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상기 MP3 플레이어와 같은 음원 재생장치를 일일이 챙긴다는 것은 일종의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아무리 바쁜 현대인들이라 하더라도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벨트를 챙기지 못하고 외출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특히, 상기 벨트를 고정하는 버클 장치는 그 외관의 심미감에 따라 사용자에게 구매력을 호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벨트의 고정 또는 해지라는 단순한 용도로만 사용되 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항상 휴대해야 하는 벨트의 체결장치인 상기 버클에 MP3 플레이어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음원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진보된 버클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MP3의 휴대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버클에 얇은 박막 형의 mp3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도 MP3 음원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벨트체결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버클에 있어서, 컴퓨터를 포함하는 외부 음원 공급 기기로부터 음원을 전송받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부; 외부의 음원 출력 장치와 잭으로 연결하기 위한 잭 삽입부;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 및 그에 대응하는 결과 신호를 포함하는 MP3 음원 데이터의 현재 출력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얇은 박막형의 재질로 상기 버클 몸체의 일측부에 삽설되어 있으며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집적회로(IC)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PC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음원의 저장 및 재생 기능을 구비한 버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버클 장치에 적용되는 PCB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는 벨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벨트체결부(102); 컴퓨터와 같은 음원 공급 기기로부터 음원을 전송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부(104); 이어폰을 포함하는 음원 출력 장치(112)와 잭으로 연결하기 위한 잭 삽입부(106); MP3 음원 데이터 입력 및 재생을 위한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08);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 및 그에 대응하는 결과 신호를 포함하는 MP3 음원 데이터의 현재 출력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상기 MP3 음원 데이터의 입력 및 재생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집적회로(IC)를 구비하고 있으며 얇은 박막형의 재질로 버클 몸체의 내부 또는 그 일측부에 삽설된 PC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벨트 체결부(102)는 벨트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하는 고정 돌기를 형성하는 형태의 체결 수단 또는 벨트의 일부를 압지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는 형태의 체결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통상의 벨트 체결 구조이다.
인터페이스 커넥터부(104)는 본 고안인 버클 장치에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제공되는 MP3 음원 외에 컴퓨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통해 상기 MP3 음원을 전송 받아 상기 버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08)는 통상적으로 ON/OFF 입력부, 선곡 입력부, 볼륨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P3 음원의 임의 재생을 방지하는 잠금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PCB(200)는 본 고안인 버클 장치가 직접적으로 MP3 음원의 입력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모리부(202); 마이크로프로세서부(204); 디코더부(206); D/A 컨버터부(208); 및 증폭부(2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메모리부(202)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부(104)를 통해 입력되어진 MP3 음원 데이터 및 상기 키입력부(108)를 통해 입력되어진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고안인 버클 장치가 기본적으로 특정 MP3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MP3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코더부(206)는 상기 메모리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음원을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A 컨버터부(208)는 상기 디코더부에서 복원된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는 증폭부(210)에서 볼륨이 가변된 후에 상기 잭 삽입부를 통해 연결된 음원 출력 장치(112)에서 음원이 출력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204)는 상기 키입력부(108)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부(202), 디코더부(206), D/A 컨버터부(208) 및 증폭 부(210)에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04)는 본 고안인 버클 장치가 MP3 음원 입력 및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 장치를 이용하여 MP3 음원을 저장 및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버클 장치에 이미 저장되어 출시된 MP3 음원을 이어폰 등의 음원 출력장치(112)를 이용하여 잭 삽입부(106)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음악을 청취하거나 인터페이스 커넥터부(104)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된 MP3 음원을 메모리부(202)에 저장한 후에 상기 음원 출력장치(112)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S302, S304).
이 경우 사용자는 키입력부(108)를 조작함으로써 듣고 싶은 음원을 선택하거나, 볼륨을 조절하는 등의 각종 재생 제어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S306).
마이크로프로세서(20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재생 제어 신호를 인식하여 MP3 음원을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PCB(200)의 각 동작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308).
이에 의해, 디코더부(206)가 사용자로부터 선택 신호를 입력받은 특정 음원의 압축을 풀고 디코딩 작업을 수행한다(S310).
디코딩된 음원은 D/A 컨버터부(208)에서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변환되어 증폭부(210)를 거쳐 증폭된 후에(S312) 이어폰, 헤드폰 등을 포함하는 음원 출력 장치(112)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S314).
한편,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MP3플레이어를 구비하지 않아도 항상 구비하고 있는 버클 장치를 통해 MP3 음원을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으므로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원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벨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벨트체결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버클에 있어서,
    컴퓨터를 포함하는 외부 음원 공급 기기로부터 음원을 전송받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부;
    외부의 음원 출력 장치와 잭으로 연결하기 위한 잭 삽입부;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 및 그에 대응하는 결과 신호를 포함하는 MP3 음원 데이터의 현재 출력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얇은 박막형의 재질로 상기 버클 몸체의 일측부에 삽설되어 있으며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집적회로(IC)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피시비(PC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음원의 저장 및 재생 기능을 구비한 버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PCB)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부를 통해 입력되어진 MP3 음원 데이터 및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진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음원을 복원하는 디코더부;
    상기 디코더부에서 복원된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D/A 컨버터부;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부, 상기 디코더부, 상기 D/A 컨버터부에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음원의 저장 및 재생 기능을 구비한 버클 장치.
KR2020060000174U 2006-01-03 2006-01-03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 KR200411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174U KR200411402Y1 (ko) 2006-01-03 2006-01-03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174U KR200411402Y1 (ko) 2006-01-03 2006-01-03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402Y1 true KR200411402Y1 (ko) 2006-03-14

Family

ID=4176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174U KR200411402Y1 (ko) 2006-01-03 2006-01-03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4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173B1 (ko) ANC(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US20010029192A1 (en) Cellular phone having an audio player
JP2008539647A (ja) エコー機能を有するリモコン
JP2001057695A (ja) 一体型ヘッドフォン装置
KR200464595Y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용 거치대 일체형 마이크
KR200302150Y1 (ko)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헤드셋
KR200411402Y1 (ko) Mp3 음원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버클 장치
CN2922049Y (zh) 耳麦可携式能播放Mic声音数码音乐播放器
KR20010028354A (ko) 카 오디오용 엠피3 플레이어
US20070072557A1 (en) Wireless microphone device having built-in memory element
KR100705966B1 (ko)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CN100557700C (zh) 具有卡拉ok功能的数码播放器
US20070172090A1 (en) Portable earphone-microphone type digital music player
JP3975233B2 (ja) オーディオ機器および音声出力制御方法
KR100403538B1 (ko) 개인 컴퓨터용 디지털 입체음향 오디오 시스템
CA2352706C (en) Hand karaoke equipment
KR20000012814A (ko) 디지털 음원 재생기를 내장한 헤드폰 세트및 그 구동 방법
KR20000061637A (ko) 플래쉬 메모리를 가진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CN201571180U (zh) 一种自身带有播放器功能的耳机
KR200306443Y1 (ko) 영상가요 반주기능을 갖는 pda 단말기
JP2001022362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100321917B1 (ko) 엠피쓰리 파일 재생용 헤드폰
US20060030376A1 (en) Stereophonic wireless microphone
KR200182619Y1 (ko) Mp3 기능을 구비한 마우스
KR200374122Y1 (ko)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휴대형 미니디스크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