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524Y1 -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 - Google Patents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524Y1
KR200322524Y1 KR20-2003-0015694U KR20030015694U KR200322524Y1 KR 200322524 Y1 KR200322524 Y1 KR 200322524Y1 KR 20030015694 U KR20030015694 U KR 20030015694U KR 200322524 Y1 KR200322524 Y1 KR 200322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ap
cartridge tank
fuel supply
suppl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20-2003-0015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8Liquid-fuel supply arrangements forming parts of 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외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작동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작동에 따라 급유공을 개방 혹은 폐쇄하는 주유밸브를 갖는 급유캡이 주유구에 씌워진 상태로 연료통의 연료주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탱크와, 상기 연료통의 연료주입구내에서 상기 카트리지탱크의 급유공을 개방하여 카트리지탱크로부터 연료가 흘러나오도록 상기 급유캡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가압핀이 구비된 연료공급캡을 갖는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의 주유구에 씌워진 급유캡의 테두리에 걸려 일체로 체결된 상태에서 연료공급캡이 주유구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Fuel Supply Structure of Cartridge Tank for Petroleum Stove}
본 고안은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사용하던 연료공급캡의 구조를 개량하고, 이 개량된 연료공급캡을 카트리지탱크의 주유구에 씌워진 급유캡 테두리의 외주면에 걸어서 일체로 조립 체결하고,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의 주유구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료공급캡의 가압핀이 항상 급유캡의 급유공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됨에 따라 연료통의 연료주입구에 카트리지탱크를 불안정하게 안착시키는 경우에도 주유밸브의 개방을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수 있어 안정적인 연료 공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난방기구로 사용되는 석유스토브는 심지가 점화되면서 연소를 시작함과 아울러 기화된 연료가 통기공이 천공된 심지외통 사이로 확산되어 연소되면서 상승하고, 이와 같은 연소과정에서 심지외통을 가열하여 적열 상태로 만들고 이 열이 방열유리인 열투과통으로 방출되어 복사열을 얻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석유스토브의 일반적인 구성상태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석유스토브는 심지(도시안됨)에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심지외통(1)과, 이 심지외통(1)의 일측면 쪽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료(석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료를 저장 공급하는 연료통(2)과, 상기 심지외통(1)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심지를 승강시켜 연소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자동 소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작동부(3)를 갖으며, 그 외관 전체를 외관케이스(5)로 감싸 보호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료통(2)에는 연료를 주유 공급하기 위한 연료주입구(2a)가 마련되어 있고, 이 연료주입구(2a)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료를 담아 공급하는 별도의 카트리지탱크(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탱크(4)를 채택한 석유스토브는 주유 시 카트리지탱크(4)를 석유스토브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연료를 넣고, 연료를 주유한 후 카트리지탱크(4)를 다시 외관케이스(5) 상부를 통해 상기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 안착시켜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연소중인 상태에서 연료를 넣을 경우 화재의 위험이 따르므로 주유 시 사용자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석유스토브를 소화시킨 상태에서 연료를 넣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탱크(4)를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 안착시켜 장착할 때, 종래에는 상기 연료주입구(2a) 내에 일체로 체결 안착시키거나 혹은 단순히 걸쳐서 착탈 분리되는 연료공급캡(6)이 별도로 안착되고, 이 연료공급캡(6)에 의해 카트리지탱크(4)의 주유구(4a)를 막고 있는 마개 형태의 급유캡(7) 내부에 마련된 주유밸브(7c)를 가압(밀어서) 개방함으로써, 카트리지탱크(4)로부터 연료(석유)가 연료통(2)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탱크를 이용한 연료 공급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는 연료주입구(2a) 내벽에 밀착되면서 착탈 분리 가능한 별도의 연료공급캡(6)이 안착되고, 이 연료공급캡(6)의 중심에는 수직하게 가압핀(6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선단 주유구(4a)에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 조립되어 주유구(4a)를 막으면서 가운데 부위에 급유공(7a)이 형성된 급유캡(7)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급유캡(7) 내부에는 외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작동하는 스프링(7b)과, 상기 스프링(7b)의 작동에 따라 급유캡(7)의 급유공(7a)을 개방 혹은 폐쇄하는 주유밸브(7c)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카트리지탱크(4)와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 안착되는 연료공급캡(6)을 통해 연료를 공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 내부에 별도로 제작된 연료공급캡(6)을 끼워 안착시킨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캡(6)을 연료주입구(2a)에 일체로 나사 체결할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캡(6)을 나사 체결없이 단순히 연료주입구(2a)에 걸쳐서 안착시킬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급유캡(7)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카트리지탱크(4)를 세워서 상기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 안착된 연료공급캡(6)의 가압핀(6a)에 상기 급유캡(7)의 급유공(7a)을 딱 맞춘 상태로 장착한다.
이렇게 상기 카트리지탱크(4)가 연료공급캡(6)이 안착된 연료주입구(2a)에 장착되게 되면, 상기 연료공급캡(6)의 가압핀(6a)이 급유캡(7)의 급유공(7a)을 통해 상기 주유밸브(7c)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유밸브(7c)가 안쪽으로 밀리면서 급유공(7a)이 개방되어 카트리지탱크(4)내의 연료가 연료통(2)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카트리지탱크(4)로부터 연료가 한꺼번에 빠져 나와 연료통(2)으로 전부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연료통(2) 내부에 연료량이 적정한 수준을 유지한 상태에서 연료통(2) 내에 들어있는 연료량에 의한 압력과카트리지탱크(4) 내의 압력이 서로 상응하게 되면서 연료통(2) 내부의 연료를 연소과정에 사용함에 따라 조금씩 흘러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탱크(4) 내부의 연료량은 카트리지탱크(4)에 마련된 연료량확인창(4b)을 통해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카트리지탱크(4) 내부의 연료가 모두 떨어지게 되면, 상기 카트리지탱크(4)를 연료통(2)으로부터 분리하여 재 급유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탱크(4)를 연료통(2)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연료공급캡(6)의 가압핀(6a)이 상기 급유캡(7)의 급유공(7a)에서 빠지면서 주유밸브(7c)가 스프링(7b)의 힘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되면서 급유공(7a)을 자동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탱크(4)에 연료 즉, 석유를 급유할 경우에는, 카트리지탱크(4)의 주유구(4a)에 씌워진 급유캡(7)을 벗기고, 도시되지 않은 급유호스를 주유구(4a)에 꽂아 넣고 카트리지탱크(4)에 석유를 급유한다.
그런 다음, 벗긴 급유캡(7)을 나사 조립 방식으로 다시 닫은 후,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 카트리지탱크(4)를 다시 장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탱크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주유구(4a)에 설치된 급유캡(7)의 급유공(7a)과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 안착된 연료공급캡(6)의 가압핀(6a)이 항상 정확하게 일치해야 만이 상기와 같이 급유공(7a)이 개방되면서 카트리지탱크(4) 내의 연료가 연료통(2)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상기 카트리지탱크(4)와 연료공급캡(6)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카트리지탱크(4)가 연료주입구(2a)내에서 연료공급캡(6)과 서로 대응되게 맞물려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안착이 불안정할 경우에는 상기 급유공(7a)과 가압핀(6a)의 체결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되면서 연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탱크(4)의 안착이 불안정할 경우, 상기 급유공에 끼워지지 않은 연료공급캡(6)의 가압핀(6a)이 카트리지탱크(4)의 하중에 의해 휘어져 연료공급캡(6) 자체가 쓸모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특히, 석유스토브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탱크(4)를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 장착하게 될 때, 통상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외관케이스(5)의 상부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관케이스(5)의 상부와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 사이에 어느 정도 높이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눈으로 확인하면서 안착 위치를 맞추지 못하고 감각적으로 카트리지탱크(4)를 연료주입구(2a)에 맞춰 안착시켜야 함에 따라 불안정한 안착이 이루질 소지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급유캡(7)이 연료공급캡(6)에 끼워질 때, 연료공급캡(6)의 가압핀(6a)과 급유캡(7)의 급유공(7a)은 약간의 오차 범위 내에서 연료공급캡(6)의 중앙에서 서로 일치되어 정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한번에 카트리지탱크(4)를 정확한 안착 위치에 맞추지 못하고, 여러번 위치를 찾아 약간씩 움직이면서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켜는 경우에 있어서, 급유캡(7)과 연료공급캡(6)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약간씩 움직이는 과정에서 가압핀(6a)이 전술한 바와 같은 카트리지탱크(4)에 의한 간섭(하중)을 받아 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사용하던 연료공급캡의 구조를 개량하고, 이 개량된 연료공급캡을 카트리지탱크의 주유구에 씌워진 급유캡 테두리의 외주면에 걸어서 일체로 조립 체결하고,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의 주유구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료공급캡의 가압핀이 항상 급유캡의 급유공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됨에 따라 연료통의 연료주입구에 카트리지탱크를 불안정하게 안착시키는 경우에도 주유밸브의 개방을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연료 공급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석유스토브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석유스토브의 외관케이스 내에 카트리지탱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석유스토브에서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4a는 종래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 3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b는 종래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A부분에 대응되는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에 체결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캡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캡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에 체결 조립된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심지외통 2 : 연료통
3 : 기능작동부 4 : 카트리지탱크
4a : 주유구 5 : 외관케이스
6, 8 : 연료공급캡 6a, 8a : 가압핀
7 : 급유캡 7a : 급유공
7b : 스프링 7c : 주유밸브
8b : 후크 8c : 연료배출통로
8d : 지지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작동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작동에 따라 급유공을 개방 혹은 폐쇄하는 주유밸브를 갖는 급유캡이 주유구에 씌워진 상태로 연료통의 연료주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탱크와, 상기 연료통의 연료주입구내에서 상기 카트리지탱크의 급유공을 개방하여 카트리지탱크로부터 연료가 흘러나오도록 상기 급유캡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가압핀이 구비된 연료공급캡을 갖는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의 주유구에 씌워진 급유캡의 테두리에 걸려 일체로 체결된 상태에서 연료공급캡이 주유구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료공급캡은 그 테두리에 상기 급유캡의 테두리에 걸려 체결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바닥면 중심에 상기 급유캡의 급유공에 대응 정렬되는 가압핀이 수직하게 마련됨과 아울러 이 가압핀 주위에 급유캡의 선단을 밀착 지지하여 급유캡의 급유공과 연료공급캡의 바닥면 사이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지지턱이 마련되며, 그 측면 및 바닥면에 카트리지탱크에서 흘러나온 연료가 빠져나갈 수 있는 연료배출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에 체결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캡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캡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에 체결 조립된 상태에서의 작동 상태도 이다.
이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석유스토브의 구성 및 석유스토브에 장착되는 카트리지탱크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함으로 종래 기술을 인용 참조함과 아울러, 종래와 동일한 구성 및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석유스토브에서 카트리지탱크(4)를 이용하여 연료를 공급할 때,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주유구(4a)에 씌워진 급유캡(7)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가압핀(8a)이 마련된 연료공급캡(8)을 일체로 후크 조립하여 연료공급캡이 상기 주유구(4a)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료공급캡(8)의 가압핀(8a)이 항상 급유캡(7)의 급유공(7a)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됨에 따라 급유공(7a)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탱크(4)는 선단에 주유구(4a)가 마련되어 있고, 이 주유구(4a)에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 조립되어 주유구(4a)를 막으면서 가운데 부위에 급유공(7a)이 형성된 급유캡(7)이 조립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급유캡(7) 내부에는 외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작동하는 스프링(7b)과, 상기 스프링(7b)의 작동에 따라 급유캡(7)의 급유공(7a)을 개방 혹은 폐쇄하는 주유밸브(7c)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카트리지탱크(4)를 이용하여 연료를 공급하고자 하면,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주유구(4a)에 씌워진 급유캡(7) 내부의 주유밸브(7c)를 밀어서 개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상기 급유캡(7)의 급유공(7a)에 대응되도록 중심에 수직하게 가압핀(6a)이 마련된 연료공급캡(6)을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 내에 착탈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안착시키거나 혹은 나사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탱크(4)가 상기 연료주입구(2a)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었을 때, 상기 연료공급캡(6)의 가압핀(6a)이 상기 급유캡(7)의 급유공(7a)에 정확하게 일치하여 상기 주유밸브(7c)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카트리지탱크(4)가 상기 연료주입구(2a)에 불안정하게 장착될 경우, 종래 기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급유캡(7)에 연료공급캡(8)을 일체로 조립 체결하여 카트리지탱크(4)가 불안정하게 장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연료공급캡(8)이 카트리지탱크(4)의 주유구(4a)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급유캡(7)의 급유공(7a)과 연료공급캡(8)의 가압핀(8a)이 항상 정확하게 정렬 대응되어 연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료공급캡(8)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급유캡(7)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게 씌워질 수 있는 캡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연료공급캡(8)의 테두리에는 상기 급유캡(7)의 테두리에 걸려 체결될 수 있는 다수개의 후크(8b)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 중심에는 상기 급유캡(7)의 급유공(7a)에 대응 정렬되는 가압핀(8a)이 수직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측면 및 바닥면에는 카트리지탱크(4)에서 흘러나온 연료가 빠져나갈 수 있는 연료배출통로(8c)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후크(8b)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료공급캡(8)을 급유캡(7)의 외주면을 따라 밀어 넣어 급유캡(7)의 턱진 테두리 부위에서 후크(8b)가 탄성적으로 체결되고, 이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임으로 후크(8b)를 잡고 벌리지 않는 한 연료공급캡(8)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료공급캡(8)의 바닥면 사방에는 카트리지탱크(4)의 주유구(4a)에 씌워진 급유캡(7)의 선단을 밀착 지지하여 급유캡(7)의 급유공(7a)과 연료공급캡(8)의 바닥면 사이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지지턱(8d)이 마련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캡(8)이 카트리지탱크(4)의 급유캡(7)에 일체로 조립된 후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 세워진 상태로 장착되었을 때, 상기 지지턱(8d)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내려오는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급유캡(7) 선단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가압핀(8a)에 의해 주유밸브(7c)가 밀려 올라가면서 급유공(7a)이 개방됨과 동시에 이 개방된 급유공(7a)과 연료공급캡(8)의 바닥면 사이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이 공간을 통해 흘러나온 연료가 연료공급캡(8)의 연료배출통로(8c)를 거쳐 연료통(2) 내부로 원활하게 흘러 들어 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카트리지탱크(4)의 급유캡(7)에 일체로 후크 조립되는 연료공급캡(8)을 통해 연료를 공급하는 과정을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급유캡(7)을 열어 카트리지탱크(4)에 필요한 만큼 연료를 주유한 상태에서 급유캡(7)을 다시 닫는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탱크(4)에 씌워진 급유캡(7)의 테두리에 연료공급캡(8)의 후크(8b)를 통해 걸어서 연료공급캡(8)이 카트리지탱크(4)의 주유구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일체로 체결 조립한다.
그런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급유캡(7)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카트리지탱크(4)를 세워서 상기 연료통(2)의 연료주입구(2a)에 장착한다.
이렇게 상기 카트리지탱크(4)가 연료주입구(2a)에 장착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캡(8)의 바닥면이 연료주입구(2a)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카트리지탱크(4)가 자중에 의해 연료공급캡(8)의 지지턱(8d)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까지 밑으로 내려와 멈추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료공급캡(8)의 가압핀(8a)이 급유캡(7)의 급유공(7a)을 통해 상기 주유밸브(7c)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유밸브(7c)가 안쪽으로 밀리면서 급유공(7a)이 개방되어 카트리지탱크(4)내의 연료가 연료공급캡(8)의 연료배출통로(8c)를 거쳐 연료통(2)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물론 이때, 종래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카트리지탱크(4)로부터 연료가 한꺼번에 빠져 나와 연료통(2)으로 전부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연료통(2) 내부에 연료량이 적정한 수준을 유지한 상태에서 연료통(2) 내에 들어있는 연료량에 의한 압력과 카트리지탱크(4) 내의 압력이 서로 상응하게 되면서 연료통(2) 내부의 연료를 연소과정에 사용함에 따라 조금씩 흘러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탱크(4) 내부의 연료량은 카트리지탱크(4)에 마련된 연료량확인창(4b)을 통해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카트리지탱크(4) 내부의 연료가 모두 떨어지게 되면, 상기 카트리지탱크(4)를 연료통(2)으로부터 분리하여 재 급유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탱크(4)를 연료통(2)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카트리지탱크(4)의 자중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급유캡(7)의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7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주유밸브(7c)가 제자리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연료공급캡(8)이 카트리지탱크(4)의 주유구(4a) 외주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밀려 급유캡(7)의 테두리에 걸리는 초기 위치까지 밀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료공급캡(8)의 가압핀(8a)이 급유공(7a)에서 빠지면서 급유공(7a)이 자동적으로 폐쇄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한 개량된 연료공급캡의 구조 자체는 예시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즉, 본 고안에 도시된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고안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이 추구하는 카트리지탱크에 연료공급캡을 일체로 조립 체결하여 연료통의 연료주입구에 카트리지탱크를 불안정하게 안착시키는 경우에도 주유밸브의 개방을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연료공급캡은 모두 본 고안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사용하던 연료공급캡의 구조를 개량하고, 이 개량된 연료공급캡을 카트리지탱크의 주유구에 씌워진 급유캡 테두리의 외주면에 걸어서 일체로 조립 체결하고,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의 주유구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료공급캡의 가압핀이 항상 급유캡의 급유공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됨에 따라 연료통의 연료주입구에 카트리지탱크를 불안정하게 안착시키는 경우에도 주유밸브의 개방을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연료 공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력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작동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의 작동에 따라 급유공을 개방 혹은 폐쇄하는 주유밸브를 갖는 급유캡이 주유구에 씌워진 상태로 연료통의 연료주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트리지탱크와,
    상기 연료통의 연료주입구내에서 상기 카트리지탱크의 급유공을 개방하여 카트리지탱크로부터 연료가 흘러나오도록 상기 급유캡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가압핀이 구비된 연료공급캡을 갖는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캡이 카트리지탱크의 주유구에 씌워진 급유캡의 테두리에 걸려 일체로 체결된 상태에서 연료공급캡이 주유구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캡은 그 테두리에 상기 급유캡의 테두리에 걸려 체결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바닥면 중심에 상기 급유캡의 급유공에 대응 정렬되는 가압핀이 수직하게 마련됨과 아울러 이 가압핀 주위에 급유캡의 선단을 밀착 지지하여 급유캡의 급유공과 연료공급캡의 바닥면 사이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지지턱이 마련되며, 그 측면 및 바닥면에 카트리지탱크에서 흘러나온 연료가 빠져나갈 수 있는 연료배출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
KR20-2003-0015694U 2003-05-21 2003-05-21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 KR200322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694U KR200322524Y1 (ko) 2003-05-21 2003-05-21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694U KR200322524Y1 (ko) 2003-05-21 2003-05-21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524Y1 true KR200322524Y1 (ko) 2003-08-06

Family

ID=4933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694U KR200322524Y1 (ko) 2003-05-21 2003-05-21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5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1526C2 (ru) Распылитель аромата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сгорания с перезаправляемым блоком
CA2073207A1 (en) Burner assembly for oil lamps using plastic fuel containers
KR200322524Y1 (ko) 석유스토브용 카트리지탱크의 연료 공급구조
US7950920B2 (en) Combustion device
KR20050012693A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의 작동방법
US6846091B2 (en) Portable lantern
JP2019200033A5 (ko)
JP3629623B2 (ja) Lpg燃焼装置
CN212511144U (zh) 火盖、燃烧器和灶具
US10219652B2 (en) Portable stove
NO772063L (no) Gasslighter.
EP0294444A1 (en) ALCOHOL STOVE.
JP4839124B2 (ja) 携帯コンロ用ガスボンベおよび携帯コンロ
EP0341640B1 (en)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a gaslighter structure
JP5794109B2 (ja) 石油燃焼器の燃料供給構造
KR102035516B1 (ko)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WO2007080471A2 (en) A combustion device
JP3091109B2 (ja) カートリッジ式給油タンク
KR910001534Y1 (ko) 버어너
JPH09269118A (ja) 石油燃焼器の油タンク構造
KR200336325Y1 (ko) 숯불구이기용 가스버너헤드
KR200225600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레버구조
US20050019717A1 (en) Lighter
WO2003083368A2 (en) A Compact Stove.
JPH052609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