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440Y1 - 텐트 플라이 구조 - Google Patents

텐트 플라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440Y1
KR200322440Y1 KR20-2003-0015479U KR20030015479U KR200322440Y1 KR 200322440 Y1 KR200322440 Y1 KR 200322440Y1 KR 20030015479 U KR20030015479 U KR 20030015479U KR 200322440 Y1 KR200322440 Y1 KR 200322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tent
vertical
fly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종
Original Assignee
권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종 filed Critical 권혁종
Priority to KR20-2003-0015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면적에 다수개의 텐트를 설치하는 경우 플라이를 설치하면서도 적은 공간에서도 다수개의 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텐트 플라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플라이 설치방식으로는 불가능한 대형 텐트 구조물에도 플라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플라이 설치 구조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텐트 플라이 구조는 다수개의 수직하는 프레임 혹은 파이프와 수평상태의 프레임 혹은 파이프들이 연결부재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지붕 부분에 철재 프레임 혹은 파이프들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일정한 형태의 집 모양의 철재 텐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붕 부분 연결부재의 중앙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설치된 수직 중간 연결 수단; 상기 수평 상태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된 수평 중간 연결 수단; 상기 수직 중간 연결 수단과 수직 중간 연결 수단을 통해 텐트 표면 재질과 같은 재질의 텐트 플라이 재질이 고정되면서 덮혀져 텐트로 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텐트 플라이 구조{TENT FLY STRUCTURE}
본 고안은 텐트 플라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면적에 다수개의 텐트를 설치하는 경우 플라이를 설치하면서도 적은 공간에서도 다수개의 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텐트 플라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텐트는 텐트 표면 재질을 오래 유지하기 위하여 다중 코팅을 한 고가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그러나 이런 고가의 텐트 표면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오랜 비바람이나 햇빛등으로 인하여 텐트 표면 재질이 변하게 되어 결국 텐트 수명이 짧아지는 원인이 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는 한 가지 방법은 텐트위에 별도로 플라이를 설치하는 것인데, 종래 텐트 플라이 구조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플라이는 지면에 플라이 지지용 펙(peg)과 펙 지지용 로프등을 설치할 일정한 면적을 가져야만 하므로 플라이 설치로 인한 전체 텐트 설치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실제로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플라이를 설치하지 않은 텐트가 대부분 이었다. 특히 초대형 텐트 구조물은 플라이 설치가 더욱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설치할 방법에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텐트 플라이 구조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텐트 구조물에 별도로 플라이를 설치할 수 있는 플라이 구조물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완성된 후에도 전체 구조물이 많은 설치면적을 차지하지 않게되어 공간 점유율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텐트 자체의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텐트의 성능도 개선할 수 있도록 새로운 개념의 텐트 플라이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 구조물과 플라이 구조물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프레임 혹은 파이프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에서 플라이가 설치된 상태의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서의 텐트 구조물과 플라이 구조물과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직 및 수평 중간 부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따른 수직 및 수평 중간 부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텐트 12,14,16,84,94: 프레임 혹은 파이프
22,24,32,34,82,92: 연결부재 52: 수직 중간 부재
62: 수평 중간 부재
60,70, 82a,92a : 나사 구멍 86, 96: 너트
200: 플라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다수개의 수직하는 프레임 혹은 파이프와 수평상태의 프레임 혹은 파이프들이 연결부재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지붕 부분에 철재 프레임 혹은 파이프들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일정한 형태의 집 모양의 철재 텐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붕 부분 연결부재의 중앙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설치된 다수개의 수직 중간 연결 수단; 상기 수평 상태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다수개의 수평 중간 연결 수단; 상기 수직 중간 연결 수단과 수직 중간 연결 수단을 통해 텐트 표면 재질과 같은 재질의 텐트 플라이 재질이 고정되면서 덮혀져 텐트로 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플라이 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중간 연결 수단은 상기 지붕 부분의 연결부재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 구멍에 수직상방향에서 결합되도록 위치하는 수직 중간 부재; 상기 수직 중간부재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 상기 수직 중간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프레임 혹은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는 수직 중간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중간 연결 수단은 상기 수평 연결부재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 구멍에 대략 수평 방향에서 결합된 수평 중간 부재; 상기 수평 중간부재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 상기 수평 중간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프레임 혹은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는 수평 중간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중간 연결 수단은 상기 지붕 부분의 연결부재의 소정 위치에 그의 플랜지부가 용접되어 수직상방향에서 결합되도록 위치하는 수직 중간 부재; 상기 수직 중간부재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 상기 수직 중간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프레임 혹은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는 수직 중간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중간 연결 수단은 상기 수평 연결부재의 소정위치에 그의 플랜지부가 용접되어 대략 수평 방향에서 결합된 수평 중간 부재; 상기 수평 중간부재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 상기 수평 중간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프레임 혹은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는 수평 중간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부재는 모자형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 및 수평 중간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플라이 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 구조물과 플라이 구조물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프레임 혹은 파이프 분해 조립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서 플라이가 설치된 상태의 텐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에서의 텐트 구조물과 플라이 구조물과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수평 구조물은 플라이의 팽팽한 당김을 유지하기 위해 그 각도와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트 플라이 구조는 먼저 텐트 구조물에 플라이 설치를 위한 별도의 플라이 구조물을 설치한다.
텐트(100)는 타포린 재질의 텐트 표면 재질로 외관이 둘러싸여 있는데, 기본적으로 철재 구조물에 타포린 재질의 텐트 표면 재질이 덮혀 있는 구조이다. 상기 텐트(100) 내부를 살펴보면, 다수개의 철재 프레임 혹은 파이프들로 형성된 구조물로 되어있다. 텐트 몸체부분은 다수개의 수직하는 프레임 혹은 파이프(12)와 수평상태의 프레임 혹은 파이프(14)들이 연결부재(22)(24)들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텐트 지붕 부분 역시 철재 프레임 혹은 파이프(16)들이 연결부재(32)(34)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같이 하여 일정한 형태의 집 모양의 철재 텐트 구조물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철재 텐트 구조물 상태에서, 지붕 부분 연결부재(32)의 중앙 상부에는 나사 구멍(60)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 구멍(60)에 수직상방향에서 결합되도록 수직 중간 부재(52)가 위치하고 있다(도 1에서는 나사결합). 상기 수직 중간부재(52)는 상부 및 하부가 나사가 형성되어있다.
참조 부호 54는 상기 수직 중간부재(52)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참조 부호 92는 플라이 구조물을 위한 프레임 혹은 파이프(9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수직 중간 부재(52)와 결합된다.
참조부호 96은 상기 연결부재(92)의 나사 구멍(92a)을 통과하는 수직 중간 부재(52)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 예를 들면 모자형 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참조부호 62는 상기 플라이 구조물의 측면을 형성하는 수평 중간 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텐트 구조물의 연결부재(22)(24)에 결합되는 것으로서(도 1에서는 나사 결합됨) 전체적인 구성은 수직 중간 부재와 거의 동일하다. 즉 상기 연결부재(22),(24)에는 나사 구멍(70)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 구멍(70)에 대략 수평 방향에서 결합되도록 수평 중간 부재(62)가 위치하고 있다(도 1에서는 나사결합). 상기 수평 중간부재(62)는 상부 및 하부가 나사가 형성되어있다. 참조 부호 64는 상기 수평 중간부재(62)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참조 부호 82는 플라이 구조물을 위한 프레임 혹은 파이프(8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수평 중간 부재(62)와 결합된다. 참조부호 86은 상기 연결부재(82)의 나사 구멍(82a)을 통과하는 수평 중간 부재(62)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 예를 들면 모자형 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텐트 구조물과 플라이 구조물이 완성된 상태에서 플라이 구조물의 표면 재질은 텐트 표면 재질과 거의 같은 재질이며 플라이 표면 재질은 상기 텐트 지붕 부분을 덮으면서 텐트 지붕측의 프레임 혹은 파이프(94)에 걸쳐지고 아울러 텐트 측면측 프레임 혹은 파이프(84)에 걸쳐져서 모양을 갖춘 플라이를 형성한다. 플라이 표면 재질(200)은 상기 모자형 너트(86)(96)를 통해 고정되어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플라이 구조물과 텐트 구조물과의 연결 및 플라이 표면 재질과의 결합관계는 도 3에서 상세히 볼 수 있다. 즉 플라이 표면 재질(200)은 파이프(92)에 걸쳐져서 하방으로 처지지 않는 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플라이를 팽팽하게 하기 위해 측면을 따라 파이프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파이프 없이 단지 침(볼트, 나사등)만(후술하는 수평 중간 부재(62)) 나와 있어 모자형 너트(86)를 부착한 플라이를 끼워서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측면에서 수평 중간 부재(62)에 의해 텐트 구조물과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직 및 수평 연결 부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는 도 4 에 따른 수직 및 수평 연결 부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직 연결 부재 및 수평 연결부재(520)(620)는 하단에 플랜지부(522)(622)가 형성되어 이 부분이 연결부재(32) 및 (22)의 용접부(600)(700)에 용접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별도로 나사 작업 없이도 간단한 용접만으로 플라이 구조물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기타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텐트 플라이 구조에 따르면, 좁은 공간에서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플라이 구조물의 수직 및 수평 중간 부재를 통해 플라이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텐트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이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다수개의 수직하는 프레임 혹은 파이프와 수평상태의 프레임 혹은 파이프들이 연결부재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지붕 부분에 철재 프레임 혹은 파이프들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일정한 형태의 집 모양의 철재 텐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붕 부분 연결부재의 중앙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설치된 다수개의 수직 중간 연결 수단;
    상기 수평 상태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다수개의 수평 중간 연결 수단;
    상기 수직 중간 연결 수단과 수직 중간 연결 수단을 통해 텐트 표면 재질과 같은 재질의 텐트 플라이 재질이 고정되면서 덮혀져 텐트로 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플라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중간 연결 수단은
    상기 지붕 부분의 연결부재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 구멍에 수직상방향에서 결합되도록 위치하는 수직 중간 부재;
    상기 수직 중간부재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
    상기 수직 중간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프레임 혹은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는 수직 중간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중간 연결 수단은
    상기 수평 연결부재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 구멍에 대략 수평 방향에서 결합된 수평 중간 부재;
    상기 수평 중간부재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
    상기 수평 중간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프레임 혹은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는 수평 중간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플라이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중간 연결 수단은
    상기 지붕 부분의 연결부재의 소정 위치에 그의 플랜지부가 용접되어 수직상방향에서 결합되도록 위치하는 수직 중간 부재;
    상기 수직 중간부재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
    상기 수직 중간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프레임 혹은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는 수직 중간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중간 연결 수단은
    상기 수평 연결부재의 소정위치에 그의 플랜지부가 용접되어 대략 수평 방향에서 결합된 수평 중간 부재;
    상기 수평 중간부재에 결합되는 중간 지지너트;
    상기 수평 중간 부재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프레임 혹은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는 수평 중간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플라이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모자형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 및 수평 중간부재는 상부 및 하부에 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플라이 구조.
KR20-2003-0015479U 2003-05-20 2003-05-20 텐트 플라이 구조 KR200322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479U KR200322440Y1 (ko) 2003-05-20 2003-05-20 텐트 플라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479U KR200322440Y1 (ko) 2003-05-20 2003-05-20 텐트 플라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440Y1 true KR200322440Y1 (ko) 2003-08-06

Family

ID=4941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479U KR200322440Y1 (ko) 2003-05-20 2003-05-20 텐트 플라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4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75B1 (ko) 2010-09-07 2012-11-15 정용휘 연속 연결형 텐트
KR101296763B1 (ko) 2012-01-03 2013-08-14 주식회사비엔오 절첩식 천막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075B1 (ko) 2010-09-07 2012-11-15 정용휘 연속 연결형 텐트
KR101296763B1 (ko) 2012-01-03 2013-08-14 주식회사비엔오 절첩식 천막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9458B1 (ja) 手すり壁用固定具
JP3152208U (ja) 屋根上載置物固定装置
KR200322440Y1 (ko) 텐트 플라이 구조
KR101190055B1 (ko) 막구조물에 대한 수직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JP4815160B2 (ja) 手摺
KR200430587Y1 (ko) 차양막 골조
JP6014919B2 (ja) 他物固定具
JP5354785B2 (ja) 簡易建物
KR102213903B1 (ko) 교통 신호등용 지주장치
KR102309877B1 (ko) 처짐 방지 장치가 설치된 가로재가 구비된 지주
JP7330486B2 (ja)
KR200425987Y1 (ko) 어닝의 지주 및 수평지지대 고정구조
KR20070011766A (ko) 방음벽
KR100366715B1 (ko) 플라스틱 하우스
KR20090055285A (ko) 태양광 전지 어셈블리
KR200400784Y1 (ko) 방음벽
CN109798019A (zh) 一种支撑组件以及具有该支撑组件的帐篷
KR200278489Y1 (ko) 마퀴형 천막 상단 캡 구조
JP5192418B2 (ja) 屋外構造体及びその組立方法
JP3873278B2 (ja) シェルター
KR200272661Y1 (ko) 천막
KR20190000560U (ko) 글램핑용 텐트
KR200415853Y1 (ko) 가로등 지주
KR200398134Y1 (ko) 방음벽
JP2009197523A (ja) 上吊り式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