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023Y1 -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023Y1
KR200320023Y1 KR20-2003-0010002U KR20030010002U KR200320023Y1 KR 200320023 Y1 KR200320023 Y1 KR 200320023Y1 KR 20030010002 U KR20030010002 U KR 20030010002U KR 200320023 Y1 KR200320023 Y1 KR 200320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e
compression
dehydration
pressing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숙
Original Assignee
오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숙 filed Critical 오인숙
Priority to KR20-2003-0010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압착형 잔반 탈수장치의 탈수의 효율성 향상과 제작성의 개선에 역점을 둔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단과 후단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망통에 이송스크류가 내장되고, 구동수단으로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게 한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통에 종래의 밀판 대용의 압착링을 적어도 2개 이상을 소정의 간격으로 내장하고, 압착링 구간의 이송날개는 압착링의 내경보다도 작게 반경을 줄여 이송스크류가 압착링의 간섭을 받지 않고 회전하도록 구성한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Compressiontype dehydrating machin for residue of food}
본 고안은 음식점 등에서 수거한 폐음식물을 유기질 비료로 활용하기 위해 탈수하는 압착식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탈수효율의 증대와 제작성 향상에 목적을 둔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대비되는 종래의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로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은 밀판형이 있다. 이 탈수장치는 망통(1)의 배출단측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류(2) 상에 누두형 밀판(3)의 축공을 끼우고 복귀스프링(4)으로 그 뒤를 받쳐 망통(1)의 배출단 언저리에 밀착되도록 쏠리게 한 것으로, 투입구(5)로 투입되는 잔반을 이송스크류(2)로 강제 이송하여 밀판(3)의 탄력적 저항과의 협동작용에 따라 탈수되고, 탈수된 물은 망통(1)에 산재한 배수공으로 빠져나가고 고형물은 이후에도 계속되는 이송스크류(2)의 이송압력이 복귀스프링(4)의 저항을 상회할 때 밀판(3)이 뒤로 밀려나 퇴로가 열리면서 그 사이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면부호 (6)은 배출구다.
이러한 압착식 밀판형 잔반 탈수장치는 복귀스프링의 탄력조정이 쉽지 않다. 이를테면 복귀스프링의 탄력이 약하면 잔반의 투입량이 규정량을 웃돌 경우 이송압력에 밀린 밀판이 일찍 밀려나는 바람에 미처 탈수되지 못한 잔반이 배출되기도 하고, 또 복귀스프링의 탄력이 과한 경우에는 탈수된 고형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망통 내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는 등 탈수가 비효율적으로 이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밀판형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탈수의 효율성을 높이고 제작도 용이한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같은 기술적 과제는, 선단과 후단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망통에 이송스크류가 내장되고, 구동수단으로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망통에 종래의 밀판 대용의 압착링을 적어도 2개 이상 소정의 간격으로 내장하고, 압착링 구간의 나선형 이송날개는 압착링의 내경보다도 작게 반경을 줄여 압착링의 간섭을 받지 않고 이송스크류가 작동하도록 구성한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로 달성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판형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의 종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망통 2: 이송스크류
3: 밀판 4: 복귀스프링
5: 투입구 6: 배출구
8: 압착링 8a: 테이퍼
8b: 뒷면 8c: 안내홈
9a: 이송날개
도 2에서, 선단과 후단에 투입구(5)와 배출구(6)가 형성된 망통(1)에 이송스크류(2)가 내장되고, 구동수단(7)으로 이송스크류(2)를 회전시키게 한 것에 있어서, 본 고안은 망통(1)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압착링(8)을 분산 수용하고, 압착링(8) 구간의 나선형 이송날개(9a)는 회전할 때 압착링(8)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존의 이송날개(9)보다도 반경을 작게 형성한 것이다. 다시 말해 압착링(8)의 내경보다도 반경을 작게 형성한 것이다. 이 그림에는 3개의 압착링(8:81,82,83)이 장착된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2개 또는 4개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압착링(8)은 투입구(5)에서 배출구(6)를 향하여 완만하게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8a)를 준 것이다. 압착링(8)의 뒷면(8b)은 급한 경사면이거나 직면으로 하여 테이퍼(8a)에 의한 잔반의 압착 탈수와 뒷면(8b)에 의한 압찰 탈수 후의 반의 풀림을 유도하므로서 탈수과정에서의재압착 탈수가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게 한다.
선후 압착링(81,82)(82,83)간의 거리는 잔반의 탈수와 전단계에서 압착 탈수된 잔반이 후속 탈수단계에서 풀렸다가 재탈수하기 적합한 거리를 계산하여 정확한 위치를 잡아 장착한다. 예를들면,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전단계에서 예비적으로 탈수가 진행된 이후여서 후속 압착링으로 갈수록 함수율이 낮을 것은 당연한 이치다. 이 점을 고려했을 때, 후방에 위치할수록 앞쪽 압착링과의 간격은 좁혀도 된다. 이런 식으로 압착링(9)의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송스크류(2)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투입구(5)로 잔반을 투입하면 배출구(6)를 향해 차례로 압착링(81,82)을 통과하면서 압착에 의한 탈수와 잔반의 풀림이 반복되어 점차적으로 함수율이 낮아지다가 마지막 압착링(83)을 통과하면 거의 완벽할 정도로 탈수된 고형물로 되고, 이후 계속되는 이송스크류(2)의 이송압에 밀려가다가 마침내 배출구(6)로 배출된다.
그리고 어느 이송날개(9a)든 자기 구간의 압착링(81,82,83)에는 일절 접촉되지 않고 이송스크류(2)가 안전하게 회전하게 된다.
한편, 잔반이 이송스크류(2)에 의해 강제로 이송되다가 압착링(8)을 통과할 때 부하가 걸리는 수가 있다. 잔반의 양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압착링(8)과 이송날개(9a) 사이의 틈(10)으로 제때에 통과하지 못하고 정체현상을 빚는 바람에탈수가 더디 진행될 것이고, 정체현상을 방치하면 당해 압착링(8)의 전방쪽 이송날개(9a,9)에 상당한 무리가 가게 된다. 따라서 잔반이 압착링(8)을 통과할 때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
도 3 및 도 4는 그 대책의 일단을 나타낸 것이다. 즉, 압착링(8)의 내면에서 그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안내홈(8c)을 형성하는 것이다. 기본 실시예에서는 잔반이 압착링(8)과 이송날개(9a) 사이의 틈(10)으로만 통과하게 되어 있어서 과부하에 대처할만한 방도가 마땅치 않았다. 그런데 아압착링(8)의 내면에 안내홈(8c)이 주어짐에 따라 잔반이 통과할 수 있는 틈(10)이 확장되어 보다 많은 양의 잔반이 통과할 수 있게 돼 잔반이 탈수될 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의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는 망통의 배출단을 빠져나가는 탈수된 고형물의 배출압력에 탄력적으로 후퇴하여 고형물의 퇴로를 열어주던 종래의 밀판형 잔반 탈수장치와는 달리 밀판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배제됨에 따라 밀판의 복귀성 탄력을 조정하지 않아도 탈수가 효과적으로 이뤄지고, 또한 여러 단계에 걸쳐 잔반의 압착 탈수와 풀림이 반복되어 탈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그리고 제작도 용이해진다.
또, 안내홈을 가진 압착링을 적용하면 보다 많은 양의 잔반을 무리없이 탈수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선단과 후단에 투입구(5)와 배출구(6)가 형성된 망통(1)에 이송스크류(2)가 내장되고, 구동수단(7)으로 이송스크류(2)를 회전시키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망통(1)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압착링(8)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내장하고, 압착링(8) 구간의 이송날개(9a)는 압착링(8)의 내경보다도 작게 반경을 줄여 이송스크류(2)가 압착링(8)의 간섭을 받지 않고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8)은 내면의 원주를 등분한 곳에 안내홈(8c)이 형성된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KR20-2003-0010002U 2003-04-02 2003-04-02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KR200320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002U KR200320023Y1 (ko) 2003-04-02 2003-04-02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002U KR200320023Y1 (ko) 2003-04-02 2003-04-02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023Y1 true KR200320023Y1 (ko) 2003-07-18

Family

ID=4941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002U KR200320023Y1 (ko) 2003-04-02 2003-04-02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20Y1 (ko) 2016-05-31 2017-01-19 전희철 압착식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20Y1 (ko) 2016-05-31 2017-01-19 전희철 압착식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4342A (zh) 一种螺旋压榨脱水机
JPH0910522A (ja) 固液分離装置
CN101244349A (zh) 用于废水处理的螺杆压力脱水器
US4397230A (en) Screw press improvements
KR200320023Y1 (ko)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KR20100113235A (ko) 협잡물 탈수기
KR102037992B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2227107B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102116172B1 (ko) 과실의 씨앗 분리장치
RU2646905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еления твердой и жидкой фаз и подвижный элемент его наборного пластинчатого фильтра
RU2314204C1 (ru) Шнековый пресс
KR19990024209A (ko) 야채 쓰레기 압축기
KR101209234B1 (ko) 펠렛 제조장치
US11534997B2 (en) Roll press arrangement, press roll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watering fibrous granular feedstock
KR200331971Y1 (ko) 압착식 잔반 탈수기
US20040182260A1 (en) Rendering screw press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2012301B1 (ko) 슬러지 절단기능을 갖는 스크루 프레스
RU167408U1 (ru) Шнековый пресс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влаги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KR20180068617A (ko) 음식물 쓰레기용 감량기
JP3124997B2 (ja) スクリーン渣の脱水装置
KR100501086B1 (ko) 슬러지의 연속 압착 탈수 장치
KR200166661Y1 (ko) 잔반 분쇄기의 탈수 이송 스크류
JPS6113196Y2 (ko)
JP4153126B2 (ja) スクリュー式脱水機
JP3568512B2 (ja) 固液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