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971Y1 - 압착식 잔반 탈수기 - Google Patents

압착식 잔반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971Y1
KR200331971Y1 KR20-2003-0019558U KR20030019558U KR200331971Y1 KR 200331971 Y1 KR200331971 Y1 KR 200331971Y1 KR 20030019558 U KR20030019558 U KR 20030019558U KR 200331971 Y1 KR200331971 Y1 KR 200331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ehydrator
dehydration
screw
resid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숙
Original Assignee
오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숙 filed Critical 오인숙
Priority to KR20-2003-0019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퍼형 회전축으로 된 이송스크류와 탄성 밀판을 가진 압착식 잔반 탈수기가 안고 있는 단점을 해소하여 탈수 효율을 높이고 이송스크류의 제작도 용이한 압착식 잔반 탈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단과 후단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주면에는 미세한 탈수공이 형성된 실린더에 이송스크류가 내장되고, 실린더 밖의 구동수단으로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며, 실린더의 후단에 탄성 밀판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이송스크류는 지름이 작은 평축형 전반부와 지름이 큰 평축형 후반부로 구분 형성하여 종래의 테이퍼형 스크류축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 잔반의 투입 초기부터 압착 탈수가 이뤄지게 하며, 실린더의 후단에는 압착링을 설치하여 상기한 이송스크류에 의해 압착 탈수되는 잔반의 탈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지게 구성한 압착식 잔반 탈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착식 잔반 탈수기{Pressuretype leftover dehydrator}
본 고안은 음식점 등에서 수거한 잔반을 유기질 비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탈수하는 압착식 탈수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탈수효율의 증대와 이송스크류의 제작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압착식 잔반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대비되는 종래의 압착식 잔반 탈수기로서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은 밀판형이 있다. 이 잔반 탈수기는 탈수공이 천공된 실린더(1)의 배출단측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류(2) 상에 누두형 밀판(3)의 축공을 끼우고 복귀스프링(4)으로 그 뒤를 받쳐 실린더(1)의 배출단 언저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쏠리게 한 것으로, 투입구(5)로 투입되는 잔반을 이송스크류(2)로 강제 이송하여 밀판(3)의 탄력적 저항과의 협동작용에 의해 탈수시키고, 탈수된 물은 실린더(1)에 산재한 탈수공으로 빠져나가며, 고형물은 이후 계속되는 이송스크류(2)의 압송력이 복귀스프링(4)의 저항력을 상회할 때 밀판(3)이 뒤로 밀려나면서 열리는 틈으로 배출된다. 도면부호 (6)은 고형물용 배출구를 표시한다.
이러한 압착식 밀판형 잔반 탈수기 중에는 이송스크류의 회전축이 배출구쪽으로 점차 굵어지게 형성된 테이퍼형이 있는데, 가공난이도가 높고, 나선형 이송날개의 제작과 부착난이도도 높다. 또, 이송스크류가 고속 회전할 때에는 스크류축 선단이 너무 가늘어서 그 부위의 실린더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넓어 잔반의 계류량이 많기 때문에 잔반이 직선 상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이송스크류를 따라 돌면서 이송되는 까닭에 제대로 탈수가 이뤄지지 않는다. 맹탕 상태로 이송되다가 실린더의 말미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어느 정도 탈수가 이뤄진다. 그 결과, 탈수효율은 저조하고, 탈수기의 장대화가 불가피하다. 장척의 잔반 탈수기는 곧 고가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시장 경제성이 낮고, 설치할 때 점유면적도 넓게 차지하므로 비합리적이다.
또, 복귀스프링의 탄력조정도 쉽지 않다. 이를테면 복귀스프링의 탄력이 약하면 잔반의 투입량이 규정량을 웃돌 경우 이송압력에 밀린 밀판이 일찍 밀려나는 바람에 미처 탈수되지 못한 잔반이 배출되기도 하고, 또 복귀스프링의 탄력이 과한 경우에는 탈수된 고형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실린더 내에서 적체현상을 빚는 등 탈수가 비효율적으로 이뤄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고안은 테이퍼형 회전축으로 된 이송스크류와 탄성 밀판을 가진 압착식 잔반 탈수기가 안고 있는 단점을 해소하여 탈수 효율을 높이고 이송스크류의 제작도 용이한 압착식 잔반 탈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선단과 후단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주면에는 미세한 탈수공이 형성된 실린더에 이송스크류가 내장되고, 실린더 밖의 구동수단으로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며, 실린더의 후단에 탄성 밀판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이송스크류는 지름이 작은 평축형 전반부와 지름이 큰 평축형 후반부로 구분 형성하여 종래의 테이퍼형 스크류축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 잔반의 투입초기부터 압착 탈수가 이뤄지게 하며, 실린더의 후단에는 압착링을 설치하여 상기한 이송스크류에 의해 압착 탈수되는 잔반의 탈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지게 구성한 압착식 잔반 탈수기를 제안한다.
도 1은 종래의 밀판형 압착식 잔반 탈수기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압착식 잔반 탈수기의 단면도
도 3은 압착링의 부분절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실린더 2: 이송스크류
3: 밀판 4: 복귀스프링
5: 투입구 6: 배출구
8: 스크류축 8a: 전반부
8b: 후반부 9: 압착링
9c: 안내홈
도 2에서, 선단과 후단에 투입구(5)와 배출구(6)가 형성되고 주면에는 미세한 탈수공이 천공된 실린더(1)에 이송스크류(2)가 내장돼 구동수단(7)으로 회전되며, 실린더(1)의 말미에는 복귀스프링(4)에 의해 상시 실린더(1)의 후단부를 봉쇄하는 방향으로 쏠리는 밀판(3)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본 고안은 이송스크류(2)의 스크류축(8)을 부분적으로 지름에 차등을 둬 단차지게 형성한다.
즉, 상기 스크류축(8)은 전반부(8a)는 가늘지만 그 부위의 실린더(1) 내주면간에 형성되는 주위공간이 종래의 테이퍼형 스크류축 선단에 이한 주위공간보다도 축소되는 굵기로 형성하고, 스크류축(8)의 후반부(8b)는 전반부(8a) 보다도 굵게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후반부(8a,b)는 평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스크류축(8)의 전반부(8a)와 후반부(8b)의 굵기에 차이를 둠에 따라 투입구(5)로 유입되는 잔반은 후반부(8b)의 선단에 당도할 때까지 투입 초기부터 적체현상을 빚지 않고 압송과 동시에 탈수가 이뤄질 수 있고, 1차 탈수된 잔반이 후반부(8b)로 접어들면서 그 부위의 실린더(1) 내주면간에 형성된 주위공간이 더욱 좁아서 재압착 탈수가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스크류축(8)이 전반부(8a)와 후반부(8b)간에 평이한 단차를둔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스크류축(8)을 3분할 이상 구분하여 후단으로 갈수록 단계별로 지름이 점차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1)의 후단에는 압착링(9)을 부착한다. 도 3에서, 압착링(9)의 앞면(9a)은 투입구(5)에서 배출구(6)를 향하여 완만하게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지게 하고, 압착링(9)의 뒷면(9b)은 급한 테이퍼로 형성하여 실린더(1) 상에서 앞면(9a)에 의한 잔반의 최종 압착 탈수를 유도하므로서 탈수와 탈수된 잔반 고형물의 압출을 도모하고, 또한 뒷면(9b)에는 테이퍼진 밀판(3)의 선단부(3a)가 복귀스프링(4)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하여 잔반의 고형물이 거듭 탈수돼 압출되도록 한다.
이송스크류(2)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투입구(5)로 투입된 잔반은 이송스크류(2)에 의해 배출구(6)쪽으로 압송된다. 잔반은 전반부(8a)의 초입부터 탈수되기 시작한다. 전반부(8a)는 종전의 테이퍼형 스크류측의 선단에 비해 굵어서 그 부위의 실린더(1)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주위공간이 협소해졌기 때문이다.
전반부(8a) 구간에서 이뤄지는 것을 1차 탈수라고 할 때 후반부(8b)에서는 1차 탈수물이 거듭 탈수되는 2차 탈수가 이뤄진다. 후반부(8b)가 전반부(8a) 보다도 굵어서 그 구간의 주위공간이 전반부(8a)쪽 구간의 주위공간보다도 더 협소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전반부(8a)와 후반부(8b) 모두 평축이므로 잔반의 이송도 원활하다.
후반부(8b)의 말단에 이를 즈음 함수율이 현저히 낮아진 잔반은 압착링(9)을 통과할 때 밀판(3)의 강력한 저항을 받으므로 그 함수율은 더욱 낮아지고, 최종적으로 탈수된 고형물은 밀판(3)의 저항을 뿌리치고 배출구(6)로 배출된다.
한편, 어느 정도 탈수된 후의 고형물이 과하게 압착링(9)을 통과하면 부하가 걸릴 수 있다. 고형물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스크류축(8)의 후단부와 압착링(9) 사이의 틈으로 제때 통과하지 못하고 적체현상을 빚어 후속 잔반에 대한 탈수가 더디 진행될 것이고, 이러한 적체현상을 방치하면 이송스크류(2)의 이송날개에 상당한 무리가 가게 된다. 따라서 탈수된 잔반이 압착링(9)을 통과할 때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도 3과 도 4는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대책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압착링(9)의 내주면에서 그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안내홈(9c)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착링(9)의 내주면에 안내홈(9c)이 주어짐에 따라 고형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어 고형물의 통과가 순탄하게 이뤄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의 압착식 잔반 탈수기는 이송스크류의 스크류축은 전·후반부가 평축이면서도 후반부가 전반부보다도 굵게 형성하여 단차지게 하고 전반부와 실린더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주위공간을 좁힘으로서 실린더에 잔반이 투입되는 초기부터 압착 탈수가 이뤄지고, 점진적 압착 탈수도 아주 효과적이며, 테이퍼형 스크류축에 비해 제작도 용이하다.
또, 실린더의 후단에 압착링이 부가되므로서 잔반의 탈수가 더욱 촉진된다.

Claims (3)

  1. 선단과 후단에 투입구(5)와 배출구(6)가 형성되고 주면에는 탈수공이 천공된 실린더(1)에 구동수단(7)으로 구동되는 이송스크류(2)가 내장되고, 실린더(1)의 후단에 복귀스프링(4)에 지지된 밀판(4)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이송스크류(2)의 스크류축(8)을 다같이 평축이면서도 후반부(8b)가 전반부(8a) 보다도 굵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식 잔반 탈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의 후단에 압착링(9)을 부착한 압착식 잔반 탈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9)은 내주면의 원주를 등분한 곳에 안내홈(9c)이 형성된 압착식 잔반 탈수기.
KR20-2003-0019558U 2003-06-20 2003-06-20 압착식 잔반 탈수기 KR200331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58U KR200331971Y1 (ko) 2003-06-20 2003-06-20 압착식 잔반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58U KR200331971Y1 (ko) 2003-06-20 2003-06-20 압착식 잔반 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971Y1 true KR200331971Y1 (ko) 2003-11-03

Family

ID=4941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558U KR200331971Y1 (ko) 2003-06-20 2003-06-20 압착식 잔반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9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20Y1 (ko) 2016-05-31 2017-01-19 전희철 압착식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20Y1 (ko) 2016-05-31 2017-01-19 전희철 압착식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476B1 (ko) 원추형 이축 스크류 압출기 및 탈수기
US20130199383A1 (en) High compression shaft configuration and related method for screw press systems used in rendering applications
EP0817720B1 (en) Screw compressor and outlet portion for screw compressor
KR200331971Y1 (ko) 압착식 잔반 탈수기
JP6761092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およびスクリュープレスの運転方法
US3578740A (en) Dewatering pelletizer apparatus
JP5631067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
KR102037992B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US3164862A (en) Means for cutting dewatered elastomers
US336082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orking and disintegrating synthetic rubber
KR200320023Y1 (ko) 압착식 잔반 탈수장치
US11534997B2 (en) Roll press arrangement, press roll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watering fibrous granular feedstock
KR102227107B1 (ko) 슬러지 탈수장치
WO2004082927A1 (en) Improvements to presses used to separate liquids from solids
JPS6113196Y2 (ko)
JP2009142874A (ja) スクリュプレス
JPH11320192A (ja) スクリュープレス
JP3568512B2 (ja) 固液分離装置
JP7424892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およびスクリュープレスの運転方法
JPS5946718B2 (ja) スクリユ−プレス
RU2065871C1 (ru) Шнековый пресс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сока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JPH028637Y2 (ko)
RU2139195C1 (ru) Шнековый пресс
CN116330730A (zh) 一种挤压脱水机的主轴结构
CN109366788B (zh) 一种天然橡胶初加工湿搅挤洗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