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844Y1 - 포장용 비닐봉지 - Google Patents

포장용 비닐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844Y1
KR200319844Y1 KR20-2003-0013406U KR20030013406U KR200319844Y1 KR 200319844 Y1 KR200319844 Y1 KR 200319844Y1 KR 20030013406 U KR20030013406 U KR 20030013406U KR 200319844 Y1 KR200319844 Y1 KR 200319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adhesive
outlet
fusion
f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Priority to KR20-2003-0013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8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드, 풀, 된장, 고추장과 같이 죽상태의 내용물이 포장되는 비닐봉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봉지내에 담겨진 내용물의 인출이 편리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에 접착제가 포장되는 비닐봉지(11)에 있어서, 상부 양측이 중앙부위보다 많이 융착되어 비닐봉지(11)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담겨진 접착제가 상부 중앙으로 유도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 중앙에 통공(14)이 천공된 비닐봉지(11)와, 상기 비닐봉지에 형성된 통공(14)내에 끼워져 인출구의 직경에 비해 커다랗게 형성된 플랜지(15a)가 비닐봉지의 내부에서 융착 고정된 인출구(15)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용 비닐봉지{omitted}
본 고안은 본드, 풀, 된장, 고추장과 같이 죽상태의 내용물이 포장되는 비닐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비닐봉지의 구조를 개선하여 비닐봉지내에 담겨진 내용물(이하 "접착제"라 함)의 인출이 편리해지도록 하는 포장용 비닐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봉지내에 담겨져 판매되는 본드 또는 풀과 같은 접착제는 비닐봉지내에 담겨진 상태에서 모서리부분을 절취한 다음 인출하여 도배, 목공용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비닐봉지의 일부를 절취하여 접착제를 인출하는 상태도로서, 종래의 비닐봉지(1)는 하부가 수평면(2)으로 실링된 상태에서 상측 개구부를 통해 접착제(3)를 충진한 다음 상측 개구부를 수평면(4)으로 실링함과 동시에 절취하므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배 또는 목공용으로 사용시에는 작업자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모서리부분을 잘라 절취부(5)를 형성한 다음 중간부위를 파지하여 눌러주면 접착제(3)가 절취부(5)를 통해 인출되므로 접착제(3)를 원하는 부위에 직접 바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비닐봉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비닐봉지(1)의 몸통부위를 파지한 상태에서 몸통부위를 누르면서 접착제를 인출하여 접착제(3)를 도포시 절취부의 반대편이 작업자의 시야(6)를 방해하게 되므로 도포하고자 하는 부위가 보이지 않아 원하지 않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폐단이 있었다.
둘째, 비닐봉지내의 접착제를 인출하여 사용함에 따라 비닐봉지내에 접착제가 조금 남아있을 경우에 잔류 접착제를 인출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잔류 접착제를 인출시 비닐봉지의 상면이 수평면으로 되어 있어 잔류 접착제가 절취부측으로 유도되지 않고 반대편으로도 이동하게 되므로 절취부를 통해 잔류 접착제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절취부의 반대편으로 이동된 접착제를 다시 절취부측으로 밀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셋째, 도배작업시 벽체의 모서리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자 할 경우에는 비닐봉지에 담겨진 상태로 모서리부분의 도포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접착제를 별도의 용기에 담아 도포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넷째, 비닐봉지에 담겨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포작업을 완료하고 난 다음 일정량의 접착제가 남아 있을 경우에 잔류된 접착제가 굳지 않도록 보관할 수 없어 폐기 처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섯째, 비닐봉지의 일측 모서리부분을 잘라 절취부를 형성한 다음 중간부위를 눌러 접착제를 짜면서 도포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연질의 비닐봉지의 절취부가 접착제 압출 압력에 의해 찢어져 절취부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접착제의 과잉 인출로 인해 접착제의 소모량이 증대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비닐봉지의 상부 중간에 플랜지를 갖는 별도의 인출구를 융착 고정하여 비교적 얇은 비닐봉지에 고정된 인출구가 좌, 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접착제의 도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닐봉지의 인출구가 고정되는 상부 양측을 융착하여 비닐봉지에 압력을 가할 때 비닐봉지내에 담겨진 접착제가 인출구측으로 자연 유도되도록 하여 잔류 접착제가 남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접착제가 포장되는 비닐봉지에 있어서, 상부 양측이 중앙부위보다 많이 융착되어 비닐봉지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담겨진 접착제가 상부 중앙으로 유도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 중앙에 통공이 천공된 비닐봉지와, 상기 비닐봉지에 형성된 통공내에 끼워져 인출구의 직경에 비해 커다랗게 형성된 플랜지가 비닐봉지의 내부에서 융착 고정된 인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포장용 비닐봉지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비닐봉지의 일부를 절취하여 접착제를 인출하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인출구의 플랜지가 상부 융착부에 함께 융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비닐봉지 12 : 상부 융착부
13 : 하부 융착부 14 : 통공
15 : 인출구 15a : 플랜지
16 : 숫나사산 17 : 탭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인출구의 플랜지가 상부 융착부에 함께 융착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에서 비닐봉지(11)의 상부 융착부(1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이 중앙부위보다 많이 융착되어 비닐봉지의 양측에 화살표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에 따라 담겨진 접착제가 상부 융착부의 형상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부 중앙(인출구측)으로 유도되어 잔류 접착제가 남지 않도록 되어 있고 하부 융착부(13)는 통상의 비닐봉지와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닐봉지(11)의 상부 중앙에 통공(14)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통공(14)내에는 인출구(15)의 직경에 비해 커다란 플랜지(15a)를 갖는 인출구(15)가 끼워져 상기 플랜지를 비닐봉지(11)의 내부에서 융착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5a)를 비닐봉지(11)상에 융착 고정하여도 인출구(15)를 통해 접착제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플랜지(15a)에 의해 어느 정도 강도를 유지하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융착부(12)를 융착하는 과정에서 플랜지(15a)의 일부가 상부 융착부(12)에 위치되도록 하여 융착작업을 실시하면 인출구(15)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작업시 비닐봉지(11)의 재질과 인출구(15)에 형성된 플랜지(15a)의 재질이 동일하므로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도 이들의 융착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비닐봉지(11)의 통공(14)에 융착 고정되는 인출구(15)를 직선형태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비닐봉지(11)내의 접착제를 인출하면서 벽지의 도배작업을 실시할 때 보다 편리하게 접착제를 인출하여 벽체의 모서리부분에 도포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구(15)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인출구(15)의 외주면에 숫나사산(16)을 형성하여 상기 숫나사산에 별도의 탭(17)을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비닐봉지(11)내의 접착제를 별도의 용기에 담지 않고도 벽체의 모서리부분에 더욱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비닐봉지(11)는 알루미늄 시트 또는 합성수지 시트가 포함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롤형태로 권취된 비닐 원단을 봉지형태로 실링하여 그 내부에 접착제를 충진하는 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형태로 감겨진 원단을 비닐봉지가 되게 실링하기 전에 비닐봉지의 상부 융착부(12)의 중앙에 위치되게 통공(14)을 연속적으로 천공한 다음 후 공정에서 상기 통공(14)내에 인출구(15)를 연속적으로 자동 투입하여 열가압하므로써, 플랜지(15a)가 통공(14)의 가장자리에 열 융착된다.
이와 같이 통공(14)내에 인출구(15)를 연속적으로 융착 고정한 상태에서 원단을 이송시켜 봉투형상으로 중첩면을 실링함과 동시에 하부 융착부(13)를 통상의 비닐봉지와 같이 수평으로 실링하고 나면 접착제 탱크(도시는 생략함)로부터 일정량의 접착제가 인출되므로 비닐봉지(11)내에 접착제가 충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에 의해 비닐봉지(11)내에 접착제가 충진되고 나면 비닐봉지를 1스탭 하방으로 이송시킨 다음 상부를 융착하여 상부 융착부(1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부 융착부를 형성하는 히터의 형상은 양측이 중앙부위보다 많이 융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융착부(12)가 형성되므로 비닐봉지(11)내에 접착제의 충진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융착부(1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인출구(15)의 플랜지(15a)가 상부 융착부(12)상에 위치하므로 인출구(15)를 통해 접착제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인출구가 좌, 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인출되는 접착제를 원하는 지점에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형태로 이루어진 비닐 원단을 봉지형태로 실링한 다음 봉투형태의 비닐봉지내에 접착제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포장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비닐봉지(11)내에 접착제가 충진되어 있을 경우 이를 인출하여 도포하는 과정을 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출구(15)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 비닐봉지(11)의 양측면을 파지하면 인출구(15)가 비닐봉지(11)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어 작업자의 시야가 비닐봉지(11)에 의해 방해받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가 접착제의 도포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면서 도포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인출구(15)의 개구부를 도포하고자 하는 부위에 정확히 위치시킨 상태에서 비닐봉지(11)의 양측면을 도 4의 화살표방향으로 눌러주면 비닐봉지(11) 내에 담겨져 있던 접착제가 상부 융착부(12)의 형상에 따라 자연스럽게 인출구(15)측으로 유도되어 개구부를 통해 인출되므로 원하는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배작업으로 인해 건물 벽체의 모서리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6과 같이 인출구(15)에 형성된 숫나사산(16)에 별도의 탭(17)을 나사 결합하여 상기 탭을 통해 접착제를 인출하게 되므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체의 모서리부분에 접착제를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닐봉지의 상부 모서리부분에 인출구가 고정되어 있어 종래의 비닐봉지보다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비닐봉지의 상부 중앙에 융착 고정되는 인출구에 외경이 큰 플랜지가 형성되어 비닐봉지에 융착 고정됨과 동시에 플랜지의 일부가 상부 융착부에 함께 실링되어 견고성을 유지하게 되므로 비닐봉지내의 접착제를 인출시에 인출구가 좌우로 유동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비닐봉지의 상부 좌우가 중앙부위보다 낮게 융착되어 있어 비닐봉지내에 담겨진 접착제를 인출하기 위해 비닐봉지를 누름에 따라 비닐봉지내의 접착제가 자연스럽게 좌우 융착면에 의해 상부 중앙으로 유도되어 인출구로 되므로 비닐봉지내에 잔류 접착제가 남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셋째, 비닐봉지에 담겨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포작업을 완료하고 난 다음 일정량의 접착제가 남아 있더라도 인출구의 외부에 캡을 씌워 놓으면 비닐봉지에 남아 있던 접착제가 굳지 않게 되므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비닐봉지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통공내에 별도의 인출구를 융착 고정하여 접착제를 인출하게 되어 있어 접착제를 짜면서 도포작업을 실시하더라도 인출구가 훼손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접착제의 과잉 인출로 인한 접착제의 소모량이 증대되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Claims (4)

  1. 내부에 접착제가 포장되는 비닐봉지에 있어서, 상부 양측이 중앙부위보다 많이 융착되어 비닐봉지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담겨진 접착제가 상부 중앙으로 유도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 중앙에 통공이 천공된 비닐봉지와, 상기 비닐봉지에 형성된 통공내에 끼워져 인출구의 직경에 비해 커다랗게 형성된 플랜지가 비닐봉지의 내부에서 융착 고정된 인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포장용 비닐봉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비닐봉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의 일부가 상부 융착부의 융착시 함께 융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비닐봉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에 형성된 숫나사산에 별도의 탭을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비닐봉지.
KR20-2003-0013406U 2003-04-29 2003-04-29 포장용 비닐봉지 KR200319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406U KR200319844Y1 (ko) 2003-04-29 2003-04-29 포장용 비닐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406U KR200319844Y1 (ko) 2003-04-29 2003-04-29 포장용 비닐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844Y1 true KR200319844Y1 (ko) 2003-07-12

Family

ID=4941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406U KR200319844Y1 (ko) 2003-04-29 2003-04-29 포장용 비닐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8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32B1 (ko) * 2008-07-02 2009-05-28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비닐봉지형 접착제 인출용 건 및 이에 사용되는 비닐봉지형접착제
KR20160098858A (ko) 2015-02-11 2016-08-19 조아현 수용 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32B1 (ko) * 2008-07-02 2009-05-28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비닐봉지형 접착제 인출용 건 및 이에 사용되는 비닐봉지형접착제
KR20160098858A (ko) 2015-02-11 2016-08-19 조아현 수용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4239A (en) Resealable bag
EP0658480B1 (en) An opening arrangement for a packing container
JP2892716B2 (ja) 包装容器の開孔装置
JPH0714736B2 (ja) 開放装置とその方法
JPH05201446A (ja) 容器パッケージ用開口装置
JPH10338244A (ja) テープ張り密封袋及びその製法
US6805261B1 (en) Flexible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3373926A (en) Seamed container with easy opening feature
US5364019A (en) Opening arrangement
US3797726A (en) Container for liquids with an openable pouring spout
US3146912A (en) Package opening means
US5366295A (en) Flexible easy-opening pack
JPH0233588B2 (ko)
ITBO940141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contenitori in foglio plastifica- to e contenitori cosi' ottenuti
ITBO940445A1 (it) Erogatore perfezionato per un contenitore di liquidi.
US4792069A (en) Pouring edge on packing containers
US2373744A (en) Bag closure
US407496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ntainers
KR200319844Y1 (ko) 포장용 비닐봉지
JPH08502012A (ja) 注口装置を有する流動媒体用パック、流動媒体用パ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ツール
WO1997006070A1 (en) Improved applicator-container
JP3119760U (ja) 容易に混合可能な剤型分室包装袋構造
KR200312221Y1 (ko) 포장용 비닐봉지
JP2985650B2 (ja) 粘稠液用のバッグインボックス
KR100615945B1 (ko) 포장용 지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