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741Y1 - 포장물의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물의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741Y1
KR200319741Y1 KR20-2003-0011114U KR20030011114U KR200319741Y1 KR 200319741 Y1 KR200319741 Y1 KR 200319741Y1 KR 20030011114 U KR20030011114 U KR 20030011114U KR 200319741 Y1 KR200319741 Y1 KR 200319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ealing
guide plate
film
upp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종
김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Priority to KR20-2003-0011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7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65B9/08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in a web folded and sealed transversely to form pockets which are subsequently filled and then closed by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물의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름의 이송이 정확히 이루어지면서도 인출롤러와 실링롤러의 사이에 설치한 노즐에 의해 가스의 낭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노즐이 가스의 주입시 필름의 이송에 최대한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 포장물의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물의 포장장치는, 포머(400)와 인출롤러(520)를 갖춘 인출롤러부(500) 및 실링롤러(620)를 갖춘 실링롤러부(600)가 필름(W)의 이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인출롤러와 실링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필름의 이송방향 중심으로 세장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일측상부안내판(710)과 타측상부안내판(720)이 설치되되, 상기 인출롤러부와 실링롤러부의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소정위치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로 연장된 고정관부(910)와, 상기 고정관부의 단부에서 상기 한쌍의 실링롤러(620)가 마주하여 밀착되는 곳을 일정길이 지나는 위치까지 실링롤러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상부안내판과 타측상부안내판의 사이에 일측상부안내판과 타측상부안내판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 노즐관부(920)를 포함하는 노즐(90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물의 포장장치{WRAPPING MACHINE OF A PACKAGE}
본 고안은 필름를 이송하여 공급하는 인출롤러 및 인출롤러에 의해 이송된 필름를 길이방향으로 실링하는 실링롤러를 포함하는 포장물의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름의 이송이 정확히 이루어지면서도 인출롤러와 실링롤러의 사이에 설치한 노즐에 의해 가스의 낭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노즐이 가스의 주입시 필름의 이송에 최대한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 포장물의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변색 또는 변질하기 쉬운 식육이나 날햄등의 피수납물이 변색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질소가스를 충진하여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포장체의 제조방법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10-0241113호로 공지되어 있는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태원단(Wo)의 필름(W)이 풀어내기롤(49a,49b)에 의해 풀어져서 포머(44)로 공급되고, 이 포머(44)를 통과한 필름(W)의 상부가 등봉인기(45)에 의해 봉인되어 이송하게 되며, 타측에서 트레이(40a)에 의해 이송되어 온 피포장물(M2)은 도시되지 않은 로보트등에 의해 필름(W)의 위로 공급되어 상기 포머(44)로 안내되고, 이 포머(44)에는 혼합가스탱크(42)로부터 공급관로(43)와 노즐(43b)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가 공급되면서 필름(W)이 성형되며, 상기 필름(W)에 피포장물(M2)이 수용된 상태로 이송하면 가로봉인겸커터(48)에 의해 밀봉하여 제조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체(31)의 상부가 상기 등봉인기(45)에 의해 밀봉되고, 이후 또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가로봉인겸커터(48)에 의해 절단되어 밀봉된다. 다음 상기 포장체(31)의 일단으로 포머(44)의 상부로 설치된 노즐(43b)을 통해서 가스가 주입된 상태로 이송하다 타단부가 또 다시 가로봉인겸커터(48)에 의해 절단되어 포장체(31)의 양단이 밀봉되는 단부봉인부(36a,36b)를 갖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단부봉인부(36a,36b)가 가로봉인겸커버(48)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등봉인기(45)에 의해 등봉부(37)가 형성되어 피포장물(M2)이 수용된 포장체(31)가 성형되어, 내부에 주입된 가스에 의해서 내부에 수용된 피포장물의 변질과 변색이 오랜기간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포장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등봉인기(45)가 열이 공급되어 밀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등봉인기(45)가 높은 온도로 되어 초기 이송시에 열에 의해 필름(W)이 녹아서 필름(W)이 제대로 이송하지 않고, 또 이송중에라도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 포장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노즐(43b)이 등봉인기(45)에 의해서 밀봉되기 전까지만 위치하여 노즐(43b)에 의해 공급되는 가스가 등봉인기(45)에 의해 밀봉되기 전에 불필요하게 누출되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 노즐(43b)을 최대한 등봉인기(45)와 가까이 위치시키려고 할 때 노즐(43b)이 피포장물(M2)에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름의 진행방향으로 볼 때 포머의 후방에 위치하여 필름을 이송하는 인출롤러와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실링하는 실링롤러의 사이에 설치한 노즐과, 상기 인출롤러와 실링롤러의 위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노즐의 상부면과 일치하도록 상부면이 배치되는 한쌍의 상부안내판이 구비되어, 필름의 실링을 하면서도 필름의 이송이 정확히 이루어짐은 물론, 노즐이 실링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용이하여 실링된 후 이송되는 위치에서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여 가스의 낭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포장물의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또한 노즐의 노즐관부가 실링롤러의 상부이면서 실링롤러에 의해 필름이 실링된 후까지 위치하면서도 상기 일측상부안내판과 타측상부안내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피포장물에 간섭을 전혀 주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설명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일측상부안내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설명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노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측상부안내판과 타측상부안내판을 조립 상태로 배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종래 포장물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포장물을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500 인출롤러부 520 인출롤러
600 실링롤러부 620 실링롤러
710 일측상부안내판 720 타측상부안내판
900 노즐 910 고정관부
920 노즐관부 930 분리판
본 고안에 의한 포장물의 포장장치는, 포머와 인출롤러를 갖춘 인출롤러부 및 실링롤러를 갖춘 실링롤러부가 필름의 이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인출롤러와 실링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필름의 이송방향 중심으로 세장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일측상부안내판과 타측상부안내판이 설치된 포장물의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롤러부와 실링롤러부의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소정위치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로 연장된 고정관부와, 상기 고정관부의 단부에서 상기 한쌍의 실링롤러가 마주하여 밀착되는 곳을 일정길이 지나는 위치까지 실링롤러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상부안내판과 타측상부안내판의 사이에 일측상부안내판과타측상부안내판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 노즐관부를 포함하는 노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포장물의 포장장치는, 상기 고정관부에서 노즐관부로 연장되는 반대쪽으로 상기 인출롤러에 의해 이송 공급되는 길이방향의 밀봉부를 안내하기 위한 일정폭과 길이로 고정된 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포장물의 포장장치는, 상기 노즐관부의 자유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실링롤러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설명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일측상부안내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설명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물의 포장장치는, 전장부품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100)와, 이 콘트롤박스(100)의 일측에 필름(W)을 설치하여 풀어지도록 설치된 릴부(200)와, 이 릴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피포장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300)와, 상기 릴부(200)에서 풀린 필름(W)이 말려서 유입되도록 상기 컨베이어(300)의 일단에 설치된 포머(400)와, 이 포머(400)에 의해 유입된 필름(W)을 잡고 이송하는 인출롤러부(500)와, 이 인출롤러부(500)에서 이송된 필름(W)을 길이 방향으로 밀봉하는 실링롤러부(600)와, 상기 인출롤러부(500)와 실링롤러부(6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포머(400)와 인출롤러부(500)의 인출롤러(520)에 의해 이송된 필름(W)을 안내하는 일측상부안내판(710)과 타측상부안내판(720) 및, 상기 실링롤러부(600)를 통과한 포장물의 필름(W)을 절단하고 밀봉하는 절단 및 밀봉부(8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릴부(200)에 의해 필름(W)이 인출되어 포머(400)로 공급되고 상기 컨베이어(300)에 의해 공급된 도시되지 않은 피포장물이 포머(400)로 공급되면, 상기 인출롤러부(500)의 인출롤러(520)가 필름(W)을 이송하면서 피포장물도 함께 이송하게 되고, 이때 상기 필름(W)의 하부 밀봉부는 상기 일측상부안내판(710)과 타측상부안내판(720)의 사이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실링롤러부(600)의 실링롤러(620)에 의해서 밀봉부가 실링되어 이송하면, 상기 절단 및 밀봉부(800)에서 필름(W)의 길이를 순착적으로 절단하여 상기 피포장물이 각각 포장된다.
여기서 상기 인출롤러부(500)는, 상기 콘트롤박스(100)의 하부에 고정된 프레임(510)과, 이 프레임(510)의 상부에 동기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필름(W)의 하부로 돌출된 밀봉부를 밀착하여 이송하도록 된 한쌍의 인출롤러(520)와, 상기 일측상부안내판(710)과 타측상부안내판(720)을 인출롤러(5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정 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봉(530)과, 상기 프레임(510)의 일측면에 회동시 상기 인출롤러(520)중의 어느하나가 다른 인출롤러(520)에서 멀어지고 복원시에는 다시 밀착되도록 설치된 셋팅레버(5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롤러부(600)는, 상기 콘트롤박스(100)의 하부에 고정된 프레임(610)과, 이 프레임(610)의 상부에 동기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필름(W)의 하부로 돌출된 밀봉부를 가열 가압하여 실링하도록 된 한쌍의 실링롤러(620)와, 상기 일측상부안내판(710)과 타측상부안내판(720)을 인출롤러 (520) 및 실링롤러(6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일정 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봉 (630)과, 상기 프레임(610)의 일측면에 회동시 상기 실링롤러(620)중의 어느하나가 다른 실링롤러(620)에서 멀어지고 복원시에는 다시 밀착되도록 설치된 셋팅레버(640)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W)의 공급을 위하여 셋팅할 때에는 상기 셋팅레버(540,640)를 회전시켜 필름(W)의 위치로 조절하여 놓고 다시 셋팅레버(540,640)를 복귀시키면 상기 인출롤러(520)와 실링롤러(620)가 필름(W)의 밀봉부(T)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요지 구성은, 상기 인출롤러부(500)와 실링롤러부(600)의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상기 콘트롤박스(100)의 하부이거나 또는 상기 인출롤러부 (500)와 실링롤러부(600)의 내측면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한쌍의 실링롤러(620)가 마주하여 밀착되는 곳을 일정길이 지나는 위치까지 실링롤러(620)의 상부로 연장되어 가스를 분출하도록 된 노즐(900)이 더 설치된 것이다.
상기 노즐(9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출롤러부 (500)와 실링롤러부(600)의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상기 콘트롤박스(100)의 하부이거나 또는 상기 인출롤러부(500)와 실링롤러부(600)의 내측면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로 연장된 고정관부(910)와, 상기 고정관부(910)의 단부에서 상기 한쌍의 실링롤러(620)가 마주하여 밀착되는 곳을 일정길이 지나는 위치까지 실링롤러(620)의 상부로 연장된 노즐관부(9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관부(910)를 통해서 질소가스등이 공급되면 상기 노즐관부 (920)를 통해서 피포장물이 수용된 상기 필름(W)으로 공급되므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이 극히 적어 가스의 낭비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부(910)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반대쪽으로 상기 인출롤러 (520)에 의해 이송 공급되는 필름(W)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일정폭과 길이로 된 분리판(930)을 더 설치 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판(930)이 설치됨으로 인해서 상기 필름(W)의 밀봉부(T)를 안내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상기 노즐관부(920)가 가스배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도 일정길이 돌출되어 있으나 이는 꼭 필요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 상기 노즐관부(920)의 자유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실링롤러(620)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경사면(921)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관부(920)의 상부로 이송하는 필름(W)의 긁힘등을 방지 한다.
또한 상기 고정관부(910)는 상기 콘트롤박스(100)의 하부이거나 또는 상기 인출롤러부(500)와 실링롤러부(600)의 내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911a)이 형성된 클램프(911)와, 이 클램프(911)에 끼워져 보울트와 같은 고정수단(912)에 의해 상하이동이 제한되는 결합관(913)과, 이 결합관(913)의 상부에 일단이 끼워져 밀봉되고 상부가 가압되어 상기 노즐관부(920)와 연통된 연결관(9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911)와 고정수단(912) 및 결합관(913)이 없이 상기 연결관(914)이 직접 질소등의 가스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콘트롤박스(100)의 하부이거나 또는 상기 인출롤러부(500)와 실링롤러부(600)의 내측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측상부안내판(710)과 타측상부안내판(720)은 도 2와 도 3 및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마주보면서 상기 포머(400)의 일단을 감싸도록 형성된 포머안착부(711,721)와, 상기 지지봉(530,630)에 양단 각각이 나사못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 구멍(712,722)과, 상기 인출롤러부(500)와 실링롤러부 (600)를 감싸도록 일정길이 하부로 절곡된 절곡부(713,7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타측상부안내판(720)에 설치된 밀봉부경사판(724)은 상기 필름(W)이 상기 인출롤러(520)에 의해 이송되어 실링롤러(620)에 의해 밀봉된 후 한쪽으로 누워서 밀착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필름의 실링을 하면서도 필름의 이송이 정확히 이루어짐은 물론, 노즐이 인출롤러부와 실링롤러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실링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용이하여 실링된 후 이송되는 위치에서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여 가스의 낭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즐의 노즐관부가 실링롤러의 상부이면서 실링롤러에 의해 필름이 실링된 후까지 위치하면서도 상기 일측상부안내판과 타측상부안내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피포장물에 간섭을 전혀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포머(400)와 인출롤러(520)를 갖춘 인출롤러부(500) 및 실링롤러(620)를 갖춘 실링롤러부(600)가 필름(W)의 이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인출롤러(520)와 실링롤러(62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필름의 이송방향 중심으로 세장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일측상부안내판(710)과 타측상부안내판(720)이 설치된 포장물의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롤러부(500)와 실링롤러부(600)의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소정위치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부로 연장된 고정관부(910)와,
    상기 고정관부(910)의 단부에서 상기 한쌍의 실링롤러(620)가 마주하여 밀착되는 곳을 일정길이 지나는 위치까지 실링롤러(620)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상부안내판(710)과 타측상부안내판(720)의 사이에 일측상부안내판(710)과 타측상부안내판(72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 노즐관부(920)를 포함하는 노즐(90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의 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부(910)에서 노즐관부(920)로 연장되는 반대쪽으로 상기 인출롤러(520)에 의해 이송 공급되는 길이방향의 밀봉부(T)를 안내하기 위한 일정폭과 길이로 고정된 분리판(9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의 포장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부(920)의 자유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실링롤러(620)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의 포장장치.
KR20-2003-0011114U 2003-04-11 2003-04-11 포장물의 포장장치 KR200319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114U KR200319741Y1 (ko) 2003-04-11 2003-04-11 포장물의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114U KR200319741Y1 (ko) 2003-04-11 2003-04-11 포장물의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741Y1 true KR200319741Y1 (ko) 2003-07-16

Family

ID=4941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114U KR200319741Y1 (ko) 2003-04-11 2003-04-11 포장물의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7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894A (ko) 2016-10-18 2018-05-08 주식회사 에스피엘코리아 진공포장용 실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894A (ko) 2016-10-18 2018-05-08 주식회사 에스피엘코리아 진공포장용 실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938B1 (ko) 스트래핑 기계에서 스트래핑으로 인한 휴지 시간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US48541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oam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CA2112738C (en) Sealing and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US48007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oam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KR20150111847A (ko) 봉지충전 포장방법 및 봉지충전 포장기
US20160288937A1 (en) Tubular-bag machine having a gas-adjusting device, and gas-adjusting device for such a tubular-bag machine
SE8501826L (sv) Sett att strecka en bana av forpackningsmaterial
KR20110066839A (ko) 포대충전포장방법 및 포대충전포장기
KR102485702B1 (ko) 포장기
KR200319741Y1 (ko) 포장물의 포장장치
KR101576122B1 (ko)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1416118B1 (ko)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KR101798834B1 (ko) 파이프 포장 장치
KR101960025B1 (ko) 버블랩 자동 포장 장치
KR102346597B1 (ko) 소형 김의 포장장치
JP4849747B2 (ja) 横型袋包装機における脱気装置
US3382648A (en) Film feeding device
KR100196120B1 (ko) 포장장치
KR20040088298A (ko) 테이블롤러 에이프런에서의 이송스트립 부상장치
JP2552097Y2 (ja) 胴巻包装機のフィルムガイド装置
JP2006306420A (ja) ヒートシール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US20080134646A1 (en) Steam-replacement deaeration method for use in bag packaging and nozzle for use in steam-replacement deaeration
JP6653644B2 (ja) 包装方法
KR100310042B1 (ko) 화장품 용기의 자동 팩킹장치
JPS61449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