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612Y1 -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612Y1
KR200319612Y1 KR20-2003-0012353U KR20030012353U KR200319612Y1 KR 200319612 Y1 KR200319612 Y1 KR 200319612Y1 KR 20030012353 U KR20030012353 U KR 20030012353U KR 200319612 Y1 KR200319612 Y1 KR 200319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holder
support shaft
brack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찬
Original Assignee
대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2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6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9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comprising flexible, resilient, movable or rotatable elements, e.g. with vibrating or contracting movements; Springs; Valves;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에어 클리너 바디에서 커버의 탈착조작이 용이하고 역화현상에 따른 에어 클리너 내부의 순간 압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홀더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한 정비를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에어 필터가 내장되는 에어 클리너 바디(23)에 대하여 에어 클리너를 홀더부재(10)로 개폐자재 함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바디(23)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 1브라켓(17)에 고정되는 지지축(14)과, 상기 지지축(14)에 대하여 장력을 유지하고 역화현상시 완축작용을 하는 스프링(12)과, 상기 지지축(14)을 제 1브라켓(17)에 체결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용 손잡이부(11)와, 상기 스프링(12)을 지지하는 홀더(13) 및 에어 클리너 커버(2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홀더(13)를 받침하는 제 2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The structure of a holder of air-cleaner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걸러주는 에어 클리너의 탈착조작이 용이함과 동시에 역화현상에 따른 에어 클리너 내부의 순간 압력을 상쇄시켜 에어 필터를 비롯한 관련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정비의 편의성을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클리너는 자동차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중의 먼지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여 청정 공기만을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써, 이러한 에어 클리너는 통상 에어필터가 안착되는 통체 형상의 에어 클리너 바디와, 동일 형태의 커버 및 상기 커버를 개폐자재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홀더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클리너를 체결하기 위한 클램핑 타입(Clamp Type)의 홀더부재는 내부 기밀성을 유지하기에 좋은 구조를 갖고 있고, 그 구조상 한번 조임되면 조임장력에 거의 변화가 없고 일정한 텐션을 항상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에어 클리너는 상기 에어 클리너 바디에 대하여 커버가 클램핑 타입의 홀더부재에 의해 강한 텐션력으로 조임되기 때문에 밀폐력은 양호하지만 홀더부재의 조임력이 가변되지 않아 역화(Back Fire)현상시 에어 클리너 내부로 발생되는 순간 압력을 적절히 상쇄시키지 못함에 따라 상쇄되지 못한 압력에 의해 홀더부재가 강제로 해탈되거나 또는 플라스틱의 에어 클리너 바디나 커버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주변 부품들 및 에어 필터가 찌그러지고 파손되는 등이 조임 구조상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에어 클리너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에어 클리너를 개폐자재 하는 홀더부재의 탈착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역화 현상에 따른 일정 이상의 압력이 에어 클리너 내부에 발생되더라도 홀더부재에 형성된 스프링에 의해 상쇄가 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정비의 편의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 홀더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클리너가 홀더부재에 의해 조임된 상태의 조립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클리너 홀더부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홀더부재 11 : 조작용 손잡이부
12 : 스프링 13 : 홀더
14 : 지지축 15 : 걸림돌기
17 : 제 1브라켓 18 : 제 2브라켓
20 : 에어 클리너 커버 21 : 패킹
22 : 에어필터 23 : 에어 클리너 바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를 고정하는 홀더구조는 상기 에어 클리너 바디(23)의 일측에 장착된 제 1브라켓(17)에 고정되는 지지축(14)과, 상기 지지축(14)에 대하여 장력을 유지하고 역화현상시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12)과, 상기 지지축(14)을 제 1브라켓(17)에 체결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용 손잡이부(11)와, 상기 스프링(12)을 지지하는 홀더(13) 및 에어 클리너 커버(2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홀더(13)를 받침하는 제 2브라켓(1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축(14)은 끝단부에 걸림돌기(15)가 형성되어 있어 조작용 손잡이부(11)의 회전에 의해 제 1브라켓(17)에 고정되며, 에어 클리너 바디(23)에 대하여 에어 클리너 커버(20)를 개폐자재 하는 홀더부재(10)는 다수개가 적정한 위치에 균등배치 되어 고정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클리너가 홀더부재에 의해 조임된 상태의 조립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클리너 홀더부재의 사용 상태도로써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클리너 바디(23)와, 에어 클리너 커버(20)를 조임하기 위한 홀더부재(10)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에어 클리너는 우선 제 1, 2브라켓(17,18)을 에어 클리너 커버(20)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한다. 그런 다음 홀더부재(10)의 조작용 손잡이부(11)를 잡고 지지축(14)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5)가 상기 제 2브라켓(18) 및 제 1브라켓(17)의 홀과 일치하게 통과시킨 뒤, 상기 조작용 손잡이부(11)를 이용하여 지지축(14)을 90°회전시켜 상기 제 1브라켓(17)에 지지축(14) 끝단의 걸림돌기(15)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재(10)는 지지축(14)에 대하여 홀더부재(14)를 스프링(12)으로 탄력설치하고, 상기 스프링(12)은 홀더(13)에 의해 지지되어 진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10)의 조작용 손잡이부(11)를 회전하여 지지축(14)의 걸림돌기(15)를 제 1브라켓(17)에 고정시키고 조작용 손잡이부(11)를 놓으면 지지축(14)에 대하여 압축상태에 있던 스프링(12)은 반발력에 의해 홀더(13)를 누르게 되고 동시에 에어 클리너 커버(20)는 자연적으로 에어 클리너 바디(23)에 밀착 커버되는 것이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 바디(23) 내부로는 외부에서 먼지나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어 청정공기를 엔진으로 공급 가능하게 되고, 홀더부재(10)는 스프링(12)의 탄발력에 의해 강한 압착력이 발휘되어 임의적인 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 클리너 내부로 역화현상에 의한 순간적인 압력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홀더부재(10)의 스프링(12)에 의해 순간 압력의 적절한 상쇄가 상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 바디(23) 및 에어 클리너 커버(20)나 이의 홀더부재(10)의 파손이 방지되고 동시에 각종 부품 및 기기의 손상방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클리너 커버(20)의 일측면은 상기 홀더부재(10)를 거꾸로 장착하여 상기 제 1브라켓(17)에 걸림돌기(15)를 고정시킴으로써 힌지역할 기능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에어 클리너 커버(20)의 완전 오픈이 불필요할 시 사용자는 일측면의 홀더부재(10)만 분리하여 커버를 뒤로 젖히면 타측면에 거꾸로 장착된 홀더부재(10)가 힌지역할을 하여 커버의 완전분리를 막음으로써 간단한 에어 필터 점검시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더부재(10)의 지지축(14)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5)가 제 1브라켓(17)에 고정되어 에어 필터 커버(20)의 오픈이 가능하도록 힌지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 클리너 바디에 대하여 에어 클리너 커버가 스프링이 장착된 홀더부재에 의해 확실한 밀폐 커버가 가능하고 별도의 공구나 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조작용 손잡이부에 압력을 가한 다음 회전시켜 지지축 끝단과 브라켓이 분리되도록 하면 에어 클리너 커버의 개폐자재가 가능하여 홀더부재의 착탈이 용이하고, 스프링에 의한 가변조작이 가능하여 역화 현상에 따른 에어 클리너 내부의 순간 압력이 적절히 상쇄되기 때문에 각종 부품이나 기기의 손상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에어 필터가 내장되는 에어 클리너 바디(23)에 대하여 에어 클리너를 홀더부재(10)로 개폐자재 함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바디(23)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 1브라켓(17)에 고정되는 지지축(14)과;
    상기 지지축(14)에 대하여 장력을 유지하고 역화현상시 완축작용을 하는 스프링(12)과;
    상기 지지축(14)을 제 1브라켓(17)에 체결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용 손잡이부(11)와;
    상기 스프링(12)을 지지하는 홀더(13) 및 에어 클리너 커버(2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홀더(13)를 받침하는 제 2브라켓(1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 홀더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4)은
    끝단부에 걸림돌기(15)가 형성되어 있어 조작용 손잡이부(11)의 회전에 의해 제 1브라켓(1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 홀더구조
KR20-2003-0012353U 2003-04-22 2003-04-22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 KR200319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353U KR200319612Y1 (ko) 2003-04-22 2003-04-22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353U KR200319612Y1 (ko) 2003-04-22 2003-04-22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612Y1 true KR200319612Y1 (ko) 2003-07-16

Family

ID=4933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353U KR200319612Y1 (ko) 2003-04-22 2003-04-22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6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1630B1 (en) Air filter
JP4621406B2 (ja) フィルタ装置
CN1990079B (zh) 液体过滤器及其使用方法
CA2130533C (en) Air filter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CZ293244B6 (cs) Filtr, zejména pro filtraci mazacího oleje spalovacího motoru
JP6382627B2 (ja) 車両用エアクリーナ
US10907594B2 (en) Exchangeable filter of a treatment device for treatment of, in particular, liquid fluids and treatment device
US8298310B2 (en) Filter device for filtration of gaseous fluids
JP3929498B2 (ja) ケーシングフィルタ
JP2015010605A (ja) 車両用エアクリーナー
JPH08504362A (ja) フィルタ
JP2001329921A (ja) エアクリーナ
KR200319612Y1 (ko)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홀더구조
JP3718322B2 (ja) エアクリーナ
JP2010185452A (ja) 内燃機関における空気フィルタ
JP2011153613A (ja) エアクリーナ
KR200475362Y1 (ko) 벤트 커버
KR200375729Y1 (ko) 필터 고정판이 형성된 방진 마스크
KR100431964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홀더장치
KR200264709Y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홀더장치
EP1306120B1 (fr) Dispositif de filtration d&#39;air et installation de circulation d&#39;air dans un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ce dispositif
US9732711B2 (en) Filter device, in particular for gas filtration
JP2001173531A (ja) エアクリーナ装置
KR200264708Y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의 순간압력 상쇄장치
KR100570045B1 (ko) 판 스프링을 이용한 에어필터 프레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