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603Y1 - 모텔용 의자 - Google Patents

모텔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603Y1
KR200319603Y1 KR20-2003-0012220U KR20030012220U KR200319603Y1 KR 200319603 Y1 KR200319603 Y1 KR 200319603Y1 KR 20030012220 U KR20030012220 U KR 20030012220U KR 200319603 Y1 KR200319603 Y1 KR 200319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eating
motel
seating portion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래
Original Assignee
김현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래 filed Critical 김현래
Priority to KR20-2003-0012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47C15/008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for sexual intercour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텔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착석부(10)와 상기 착석부(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받침부(20)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10)는 중앙으로는 안착부(11)가 구비되고, 안착부(11)의 전,후방향으로는 소정 높이차를 갖고 내측으로 단턱지게 걸림부(12)가 형성되므로,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는 의자의 기본역활은 수행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안착부(11)의 몸체 전후면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걸림부(12)를 이용하여 침대(30)와의 연계구성 및 활용이 가능하며, 독립 또는 다수개를 연계시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모텔용 의자{Chair for Motel}
본 고안은 모텔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호텔, 모텔, 여관 등과 같은 각종 숙박장소에서 의자 자체로써의 기능 수행은 물론 침대와 연계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상태에서 착석자의 둔부를 떠받쳐 착석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도구이다.
그리고, 통상적인 의자의 구성은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저면에서 지면으로 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다리부를 포함하는 받침부로 크게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의자의 구성에서 착석부의 후측으로 착석자가 상체를 기대고 앉을 수 있도록 등받이부가 형성되는 제품도 제안된 바 있다.
한편, 호텔 및 모텔 등과 같은 숙박장소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침대 주변에 비교적 소형의 테이블 및 의자들이 구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모텔 등에 구비되는 의자의 경우는 단순히 의자자체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침대와의 연계 사용에는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장소의 특성상 침대를 제외한 집기들 중 의자의 경우 의자 자체로만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의자를 이용한 활용성이 제한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모텔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자의 경우 내부 공간에 비하여 비교적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의자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로인하여 내부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이나, 호텔, 모텔, 여관 등과 같은 각종 숙박장소에서 의자 자체로써의 기능 수행은 물론 침대와 연계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텔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모텔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모텔용 의자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의 전면부를 상호 밀착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의 후면부를 상호 밀착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 5는 본 고안이 모텔용 의자와 침대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착석부 11 - 안착부
12 - 걸림부 13 - 머리부
14 - 꼬리부 20 - 받침부
21 - 이동바퀴 22 - 고정받침
30 - 침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석부(10)와 상기 착석부(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받침부(20)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10)는 중앙으로는 안착부(11)가 구비되고, 안착부(11)의 전,후방향으로는 소정 높이차를 갖고 내측으로 단턱지게 걸림부(12)가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는 의자의 기본역활은 수행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안착부(11)의 몸체 전후면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걸림부(12)를 이용하여침대(30)와의 연계구성 및 활용이 가능하며, 독립 또는 다수개를 연계시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모텔용 의자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의 전면부를 상호 밀착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의 후면부를 상호 밀착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때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가 평면에서 볼때 직사각형을 구성하는 이유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종방향 또는 횡방향 등 방향에 제한없이 편한자세로 착석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기존 의자의 구성과는 달리 착석부(10)가 직사각형태을 갖으면서 기존 종래의 의자 구성보다 폭이 좁게 설정되는 관계로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공간제약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일반적인 의자 착석자세 및 착석부(10)의 중심에서 기마자세 등 다양한 착석자세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착석부(10)의 몸체 중심부로는 안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1)는 사용자가 착석상태에서 보다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 라운드를 갖고 파여지게 구성한다.
즉, 상기 안착부(11)를 소정 라운드를 갖으면서 파여지게 구성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착석상태에서 그 착석자의 체중, 특히 상체의 하중이 안착부(11)에 의해서 지지되는 관계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 역시 증가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안착부(11)를 내측으로 파여지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고안에서 착석부(10)를 구성하는 재질은 일반적인 재질과 같이 일정한 쿠션을 갖을 수 있도록 내측에 쿠션재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외피로 마감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를 중심으로 착석부(10)의 몸체 전,후면으로는 소정 단차를 갖고 머리부(13)와 꼬리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착석부(10)의 전면부로 구성되는 머리부(13)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1)에서 소정 라운드 형상을 유지하면서 일체로 연장되게 구성되며, 안착부(11) 설정 높이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는, 사용자가 머리부(13)를 이용하여 다양한 착석자세 및 일종의 손잡이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넓이는 유지하면서 안착부(11) 보다 머리부의 높이를 높게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부(11)에서 머리부(13)로 연장되는 라운드 형상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라운드 곡선으로 설정하는 것이좋다.
이는, 일반적인 착석상태는 물론 성행위시 보조 도구로도 사용가능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거부감이나 불편함을 유발시키지 않는 각도 및 곡선으로 안착부(11)와 머리부(13) 그리고 꼬리부(14)를 연장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독립 또는 각각의 의자를 상호 연계시켜 사용하는 과정에서 일반 의자와 같은 착석자세는 물론 기마자세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성행위시에도 다양한 체위를 시도할 수 있어 유희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착석부(10)의 머리부(13)와 꼬리부(14)의 내측으로는 단턱지게 걸림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2)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30)와 연계 사용시 침대(30)에 걸쳐지거나 끼워지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의도 등에 따라 본 고안인 의자를 침대(30)에 연계 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착석부(10)를 구성하는 머리부(13) 또는 꼬리부(14) 몸체에 구성되는 걸림부(12)를 침대(30) 몸체 외측면에 걸쳐지게 셋팅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착석부(10)를 구성하는 머리부(13)와 꼬리부(14) 몸체에 형성되는 걸림부(12)가 소정 높이차를 갖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30)의 설정 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걸쳐지게 셋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안착부(11)을 기준으로 걸림부(12)를 구성하는 높이는 머리부(13)의 설정높이(h1)와 꼬리부(14)의 설정높이(h2)를 상호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10)의 하부로 구성되는 받침부(20) 저면으로는 용이한 이동 및 셋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동바퀴(21)와 고정받침(22)이 형성된다.
즉, 침대(30) 등과 연계 사용시나 각각의 의자를 상호 연계시켜 사용할 때 이동시 이동바퀴(21)를 이용하여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셋팅된 상태에서는 고정받침(22)과 지면이 밀착되면서 셋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모텔용 의자는 기존 의자의 역활은 그대로 수행하면서, 선택적으로 침대(30)와 연계시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의자와는 달리 의자 자체의 역활과 함께 선택적으로 침대와의 연계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성행위시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와의 연계는 물론 각각의 의자들을 상호 연계시켜 사용할 수 이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의자와는 달리 착석부가 직사각형태로 구성되므로, 착석상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제품의 편의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착석부(10)와 상기 착석부(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받침부(20)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10)는 중앙으로는 안착부(11)가 구비되고, 안착부(11)의 전,후방향으로는 소정 높이차를 갖고 내측으로 단턱지게 걸림부(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텔용 의자.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10)는 안착부(11)에서 몸체 전,후면방향으로 소정의 높이차를 갖으면서 라운드 곡선 형태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텔용 의자.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의 저면으로는 이동바퀴(21)와 고정받침(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모텔용 의자.
KR20-2003-0012220U 2003-04-21 2003-04-21 모텔용 의자 KR200319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20U KR200319603Y1 (ko) 2003-04-21 2003-04-21 모텔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20U KR200319603Y1 (ko) 2003-04-21 2003-04-21 모텔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603Y1 true KR200319603Y1 (ko) 2003-07-16

Family

ID=4941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220U KR200319603Y1 (ko) 2003-04-21 2003-04-21 모텔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6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887B1 (ko)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US20080252120A1 (en) Chair having shape memory sponge mounted on backrest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JP3137036U (ja) 椅子
KR200319603Y1 (ko) 모텔용 의자
KR20200144928A (ko) 마사지기능이 있는 컴퓨터의자
KR200464496Y1 (ko) 다기능 낚시의자
CN213820632U (zh) 座椅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KR200407079Y1 (ko) 매트리스가 구비된 안마용 의자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KR200286447Y1 (ko) 메트겸용 쇼파
JP7078263B2 (ja) 椅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JP4563111B2 (ja) 椅子用バックレスト
JP3176695U (ja) クッション
KR102189736B1 (ko) 가슴받이가 구비된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KR200361519Y1 (ko) 다목적 등받이
CN210158354U (zh) 一种多功能多变坐具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AU2006100211A4 (en) Improvement o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JP3190962U (ja) 座椅子
JPH0477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