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235Y1 -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235Y1
KR200319235Y1 KR20-2003-0012840U KR20030012840U KR200319235Y1 KR 200319235 Y1 KR200319235 Y1 KR 200319235Y1 KR 20030012840 U KR20030012840 U KR 20030012840U KR 200319235 Y1 KR200319235 Y1 KR 200319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unit
dvd
butt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바일렉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바일렉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바일렉트로닉
Priority to KR20-2003-0012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이 설치되는 주방의 멀티 가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주방의 싱크대 위에 여러가지의 가전기기 즉, TV, DVD, 라디오, 도어 개폐기, 음향기기 등을 복합적으로 설치한 후 이를 통합 제어하는 멀티 가전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한 집안에서 분산된 가전기기들을 이용할때의 불편 사항 즉, 이동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주방에서 주로 시간을 보내는 주부들이 보다 편안하게 주방일을 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편, TV모니터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그 전개와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전개된 TV모니터가 상하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서, 주부들로 하여금 주방에서 TV를 시청시 그 편의성을 보다 증진시킬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Multi electric home appliances of a kitchen}
본 고안은 조명이 설치된 주방의 멀티 가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방용 싱크대의 위에 여러가지의 가전기기(예; TV, DVD, 라디오, 도어 개폐기 등)를 복합적으로 설치한 후 이를 주방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사회 생활이 바빠지고 사회 활동이 활달한 현대인의 가정생활은 요리, 식사, 대화 등의 주요한 가정사가 주로 주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가정 주부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주방에서 소요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 주부들의 주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며, 주방용품에 대한 질적인 향상이 눈부시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질적인 향상은 주로 싱크대의 재질, 디자인 등의 주방가구 변화에 중점을 두고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주방가구에 대한 개선은 거의 완료되었으며, 현재에는 주방에서 음악을 청취하거나 티브이를 시청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그 구조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라디오와 오디오가 결합된 음향기기를 싱크대에 부착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향기기는 주로 청취에만 국한되어 있는 바, 주부들이 가장 선호하는 드라마나 영화 감상을 제공하지는 못하였으며, 이에따라 종래에는 드라마나 영화 감상을 위해 주방에서 가사일을 하던 주부가 TV가 설치된 거실이나 안방으로 이동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는 주부들이 주방에서 TV를 시청하기 위해 별도의 소형 TV를 구입한 후 이를 싱크대의 빈 공간에 설치하거나 또는 싱크대에 별도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거취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이러한 설치는 주방의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이고, 소형 TV가 설치되면 TV가 하향 돌출되어 주부들이 가사 작업 활동중에 머리를 부딪히거나 다른 주방용품과 부딪혀 손상되는 일이 빈빈허게 발생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었다.
한편, 일반 가정집의 경우 대부분이 도어 개폐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에는 이러한 도어 개폐기의 개폐스위치가 현관 도어에 근접되어 설치되는 관계로, 주부들이 주방에서 가사일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가 필요할 경우에는 그 이동이 불가피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방용 싱크대의 위에 여러가지의 가전기기 즉, TV, DVD, 라디오, 도어 개폐기, 음향기기 등을 복합적으로 설치한 후 이를 통합 제어하는 멀티 가전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한 집안에서 분산된 가전기기들을 이용할때의 불편 사항 즉, 이동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주방에서 주로 시간을 보내는 주부들이 보다 편안하게 주방일을 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TV모니터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그 전개와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전개된 TV모니터가 상하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서, 주부들로 하여금 주방에서 TV를 시청시 그 편의성을 보다 증진시킬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의 블럭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동작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키이작동부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명시스템 11; 조명등 스위치
12; 인버터 13; 조명등
20; 라디오시스템 21; AM/FM의 튜너
22; 앰프 23; 스피커
24; 멀티제어부 25; RF전송부
26; 음성처리부 27; 타이머
30; DVD시스템 31; DVD제어부
32; DVD디코더 33; DVD구동부
34; TV엔코더 35; DAC
40; TV시스템 41; TV제어부
42; TV모니터 43; 모니터 구동부
44; TV튜너부 45,46; 제 1,2 모터구동부
47; 기어박스 50; 녹음시스템
51; 녹음제어부 52; 마이크
53; ADC 54; 메모리
60; 키이작동부 61; 전원버튼
62; 모드선택버튼 63; 볼륨조절버튼
64; 점멸시간설정버튼 65; 경사조절버튼
66; 선국버튼 67; 채널설정버튼
68; 도어개폐버튼 69; 녹음 및 재생 버튼
70; 동작표시부 80; 인터폰
90; 비디오폰 100; 오디오시스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의 블럭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동작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키이작동부의 확대도 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명등 스위치(11), 인버터(12), 조명등(13)을 가지는 조명시스템(10)과, AM/FM의 튜너(21), 앰프(22), 스피커(23)를 가지는 라디오시스템(20)이 설치된 통상의 주방용 싱크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위의 프레임에는 DVD제어부(31)는 물론 DVD디코더(32)와 DVD구동부(33) 및 TV엔코더(34)와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DAC)(35)를 포함하는 DVD시스템(30)과, TV제어부(41)는 물론 TV모니터(42)와 모니터 구동부(43) 및 TV튜너부(44)를 포함하는 TV시스템(40) 및, 녹음제어부(51)는 물론 마이크(52)와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ADC)(53) 및 메모리(54)를 포함하는 녹음시스템(50)을 추가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도어 개폐는 물론 조명시스템(10), 라디오시스템(20), DVD시스템(30), TV시스템(40) 및 녹음시스템(50)을 제어하기 위한 키이신호를 출력하는 키이작동부(60)와, 그 키이작동부(60)에 의한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70)를 구성하며,
상기 라디오시스템(20)에는 키이작동부(60)로 부터 출력된 키이신호를 판독하여 도어 개폐는 물론 조명시스템(10), 라디오시스템(20), DVD시스템(30), TV시스템(40) 및 녹음시스템(50)을 통합 제어하는 멀티제어부(24)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라디오시스템(20)에는,
멀티제어부(24)의 도어 개폐용 제어신호를 도어개폐기로 무선 송출하는 알에프(RF)전송부(25), DVD시스템(30)과 TV시스템(4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음성신호와 녹음시스템(50)으로 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를 앰프(22) 및 스피커(23)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26) 및, 조명시스템(10)에 포함된 조명등(13)의 점멸시간을 설정 및 제어하는 타이머(27)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라디오시스템(20)은,
인터폰(80)과 비디오폰(90)으로 부터 송출된 알람신호를 스피커(23)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폰(80) 및 비디오폰(90)과 유선라인을 통해 회로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라디오시스템(20)은,
오디오시스템(100)의 음악정보를 스피커(23)를 통해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시스템(100)과 유선라인을 통해 회로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TV시스템(40)에는,
멀티제어부(24)의 제어를 받는 TV제어부(41)의 제어동작으로 부터 TV모니터(42)를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개 및 수납시키도록 구동하는 제 1 모터구동부(45), 프레임으로 부터 전개가 이루어진 TV모니터(42)의 상하 전개(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하는 제 2 모터구동부(46) 및,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구동부(45)(46)의 구동으로 부터 TV모니터(42)의 수납 및 전개와 그 상하 전개각도의 조절을 진행하도록 다수의 기어군이 연결되는 기어박스(47)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키이작동부(60)는,
가전 시스템(10)(20)(30)(40)(50)(80)(90)(100)이 설치된 싱크대 위의 프레임으로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는 전원버튼(61),
싱크대 위의 프레임에 설치된 각 시스템(10)(20)(30)(40)(50)(80)(90)(100)의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버튼(62),
스피커(23)를 통해 음성이 출력되는 각 시스템(20)(30)(40)(50)(80)(90) (100)의 음성출력레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버튼(63),
조명시스템(10)에 포함된 조명등(13)의 점등 및 그 점멸시간을 설정하는 점멸시간설정버튼(64),
프레임으로 부터 전개된 TV모니터(42)의 상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버튼(65),
라디오시스템(20)의 선국 주파수를 설정하는 선국버튼(66), TV시스템(40)의 채널신호를 설정하는 채널설정버튼(67),
도어 개폐기의 개폐 키이신호를 라디오시스템(20)으로 출력하는 도어개폐버튼(68) 및,
녹음시스템(50)에 의해 진행되는 음성메세지의 녹음 및 재생을 선택하는 녹음 및 재생버튼(69)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TV모니터(42)는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그 좌우 각도 조절은 주방 이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TV모니터(42)는 TFT-LCD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방 이용자가 싱크대 위의 프레임 전면에 위치하는 키이작동부(60)의 전원버튼(61)을 온 시키면, 상기 전원버튼(61)의 온 동작으로 부터 라디오시스템(20)내의 멀티제어부(24)는 싱크대 위의 프레임에 설치된 복합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동작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주방 이용자가 도 1에서와 같이 키이작동부(60)의 모드선택버튼(62)을 통해 원하는 시스템 즉, 조명시스템(10), 라디오시스템(20), DVD시스템(30), TV시스템(40), 녹음시스템(50), 오디오시스템(100)의 작동모드를 선택한다.
즉, 주방 이용자가 조명시스템(10)의 작동모드를 선택할 경우, 먼저 상기 키이작동부(60)의 점멸시간설정버튼(64)을 통해 조명등(13)의 점등 및 그 점멸시간을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점멸시간설정버튼(64)에 의해 설정된 키이신호는 라디오시스템(20)에 구축된 멀티제어부(24)로 출력되고, 이에따라 상기 멀티제어부(24)는 조명등 스위치(11)를 온 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명등 스위치(11)의 온 동작으로 부터 조명시스템(10)에 구축된 인버터(12)로는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므로서, 상기 인버터(12)는 싱크대 위의 프레임에 설치 구성된 조명등(13)을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멀티제어부(24)는 점멸시간설정버튼(64)으로 부터 조명등(13)의 점멸시간 정보를 제공받았는 바, 상기 멀티제어부(24)는 그 점멸시간을 타이머(27)를 통해 제어할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점멸시간설정버튼(64)에 의해 조명등(13)의 점멸시간이 설정될 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멀티제어부(24)는 그 설정상태를 동작표시부(70)에 표시하므로서, 주방 이용자가 현재 조명등(13)의 점등상태는 물론, 그 조명등(13)의 점멸시간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멀티제어부(24)는 키이작동부(60)에 포함된 전원버튼(61)이 온 되었을 때, 상기 동작표시부(70)를 통해 시간 및 날짜 등을 표시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
한편, 주방 이용자가 키이작동부(60)의 모드선택버튼(62)을 통해 라디오시스템(20)의 작동모드를 선택할 경우, 먼저 상기 키이작동부(60)의 선국버튼(66)을 통해 청취할 라디오의 선국주파수를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선국버튼(66)에 의해 설정된 키이신호는 라디오시스템(20)에 구축된 멀티제어부(24)로 출력되고, 이에따라 상기 멀티제어부(24)는 AM/FM의 튜너(21)의 선국 주파수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AM/FM의 튜너(21)를 통해 주파수 선국이 이루어지면 그 선국 주파수에 해당하는 라디오신호가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바,
상기 수신된 라디오신호는 음성처리부(26) 및 앰프(22)를 거치면서 프레임의 저면에 위치하는 스피커(23)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이에따라 주방 이용자는 원하는 주파수대의 라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선국버튼(66)에 의해 라디오의 선국주파수가 선국될 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멀티제어부(24)는 그 선국상태를 동작표시부(70)에 표시하므로서, 주방 이용자가 현재 라디오의 선국주파수를 제대로 설정하였는가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스피커(23)를 통해 라디오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질 때, 그 볼륨은 키이작동부(60)에 포함된 볼륨조절버튼(63)을 통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주방 이용자가 키이작동부(60)의 모드선택버튼(62)을 통해 DVD시스템(30)의 작동모드를 선택할 경우, 라디오시스템(20)에 구축된 멀티제어부(24)는 먼저 TV시스템(40)의 TV제어부(41)를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TV제어부(41)는 씽크대내에 수납된 TV모니터(42)를 외부로 전개시키도록 제 1 모터구동부(45)를 제어하는 바,
상기 제 1 모터구동부(45)의 구동으로 부터 기어박스(47)가 싱크대 위의 프레임내에 수납된 TV모니터(42)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외부로 전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방 이용자가 키이작동부(60)의 경사조절버튼(65)을 통해 프레임으로 부터 전개된 TV모니터(42)의 상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키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그 키이신호는 멀티제어부(24)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멀티제어부(24)는 입력되는 경사조절의 키이신호를 통해 재차 TV제어부(41)를 제어하게 되므로서, 상기 TV제어부(41)는 제 2 모터구동부(46)를제어하게 되고, 상기 제 2 모터구동부(46)의 구동으로 부터 기어박스(27)는 외부 전개된 TV모니터(42)를 주방 이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볼수 있도록 그 경사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TV모니터(42)의 전개 및 그 경사 각도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라디오시스템(20)에 구축된 멀티제어부(24)는 입력되는 키이신호 즉, DVD재생의 키이신호에 따라 DVD제어부(31)를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DVD제어부(31)는 디스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데스크를 개방하게 되고, 그 개방된 데스크에 DVD를 삽입하여 닫을 경우, 상기 DVD제어부(31)는 DVD디코더(32)를 통해 DVD구동부(33)를 구동시켜 데스크상에 삽입된 DVD의 파일을 재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DVD디코더(32)는 DVD구동부(33)의 구동으로 부터 재생되는 DVD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TV의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TV의 영상신호는 TV엔코더(34)로 출력하고, TV의 음성신호는 DAC(35)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DAC(35)는 입력되는 음성신호 즉, 디지탈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한 후 이를 음성처리부(26) 및 앰프(22)와 스피커(23)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TV엔코더(34)는 TV영상신호를 모니터구동부(43)로 출력하므로서, 상기 모니터구동부(43)는 싱크대 위의 프레임 외부로 전개되어 그 경사 각도가 조절된 TV모니터(42)의 화면상에 DVD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바, 주방 이용자는 원하는 DVD의 재생정보를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DVD의 재생정보가 디스플레이될 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멀티제어부(24)는 그 재생상태를 동작표시부(70)에 표시하므로서, 주방 이용자가 현재 DVD의 재생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스피커(23)를 통해 DVD의 음성신호 출력이 이루어질 때, 그 볼륨은 키이작동부(60)에 포함된 볼륨조절버튼(63)을 통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DVD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주방 이용자가 키이작동부(60)의 모드선택버튼(62)을 통해 TV시스템(40)의 작동모드를 선택할 경우, 라디오시스템(20)에 구축된 멀티제어부(24)는 DVD시스템(30)의 DVD제어부(31)를 제어하여 DVD디코더(3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TV시스템(40)의 TV제어부(41)를 제어한다.
이후, 주방 이용자가 키이작동부(60)에 포함된 채널설정버튼(67)을 통해 원하는 채널을 설정하는 경우, 그 설정의 키이신호는 멀티제어부(24)를 통해 TV제어부(41)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TV제어부(41)는 TV튜너부(44)를 통해 주방 이용자가 설정한 채널을 선국하게 되고, 그 선국된 TV신호는 모니터구동부(43)를 통해 TV모니터(42)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바,
주방 이용자는 주방에서 편안하게 원하는 채널의 TV시청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TV튜너부(44)에 의해 선국된 TV의 음성신호는 라디오시스템(20)의 음성처리부(26) 및 앰프(22)와 스피커(23)를 통해 외부 출력이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그 볼륨은 키이작동부(60)에 포함된 볼륨조절버튼(63)을 통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TV모니터(4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TV신호의 채널정보는 멀티제어부(24)의 제어를 통해 도 3에서와 같이 동작표시부(70)에 표시하므로서, 주방 이용자는 현재 TV시청의 채널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방 이용자가 외출을 하거나 또는 가족 구성원에게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키이작동부(60)의 모드선택버튼(62)을 통해 녹음시스템(50)의 작동모드를 선택할 경우, 그 키이신호는 라디오시스템(20)에 구축된 멀티제어부(24)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멀티제어부(24)는 녹음시스템(50)의 녹음제어부(51)를 제어하게 되고, 상기 녹음제어부(51)는 마이크(52)를 통해 입력되는 주방 이용자의 아날로그 음성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메모리(54)에 저장시키게 된다.
즉, 주방 이용자가 녹음모드를 선택한 후 키이작동부(60)의 녹음 및 재생버튼(69)을 통해 음성 녹음을 선택한다.
이후, 주방 이용자가 녹음시스템(50)에 구축된 마이크(52)를 통해 음성메세지를 입력하면, 그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는 ADC(53)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 메모리(54)에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녹음모드가 진행될 때 그 상태는 멀티제어부(24)에 의해 동작표시부(70)에서 표시하게 되고, 녹음이 완료된 후 상기 멀티제어부(24)는 동작표시부(70)에 음성메세지의 녹음상태를 제 3 자가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을 표시하여 두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녹음된 음성메세지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그 재생자가 키이작동부(60)의 녹음 및 재생버튼(69)을 통해 음성메세지의 재생모드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재생모드의 신호는 멀티제어부(24)로 출력되고, 상기 멀티제어부(24)는 입력되는 재생모드의 키이신호에 따라 메모리(53)에 저장된 디지털의 음성신호를 DVD시스템(30)에 구축된 DAC(35)를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킨다.
이후, 상기 아날로그로 변환된 음성메세지를 음성처리부(26) 및 앰프(22)와 스피커(23)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므로서, 재생자는 주방 이용자가 녹음한 음성메세지의 정보를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주방 이용자가 주방에서 가사일을 도모하고 있는 상태에서 방문자가 현관 도어의 초인종을 누르는 경우, 라디오시스템(20)의 멀티제어부(24)는 그 초인종의 알람신호를 스피커(23)를 통해 출력하여 주방 이용자에게 방문자가 있음을 통보한다.
더불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멀티제어부(24)는 동작표시부(70)의 제어를 통해서도 방문자가 왔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주방 이용자가 주방에서 설거지 등을 하여 주변의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스피커(23)를 통해 출력되는 알람신호와 동작표시부(70)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세지를 통해 주방에서 바로 방문자의 존재여부를 금방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라디오시스템(20)에는 유선라인을 통해 인터폰(80)과 비디오폰(90)을 연결하고 있는 바,
주방 이용자가 방문자의 존재를 확인한 후 그 방문자가 들어 올수 있도록 키이작동부(60)에 포함된 도어개폐버튼(60)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도어개폐버튼(60)의 키이신호는 멀티제어부(24)로 출력되는 바, 상기 멀티제어부(24)는 RF전송부(25)를 통해 도어에 설치된 개폐기로 도어 개폐용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라디오시스템(20)으로는 유선라인을 통해 오디오시스템(100)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는 바,
주방 이용자는 오디오시스템(100)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그 오디오시스템(100)으로 부터 출력되는 음악정보를 라디오시스템(20)의 스피커(23)를 통해 청취할수 있음은 물론, 그 볼륨 조절도 주방에서 바로 실시할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싱크대 위의 프레임에 여러가지의 가전기기 즉, TV, DVD, 라디오, 도어 개폐기, 음향기기 등을 복합적으로 설치한 후 이를 통합 제어하는 멀티 가전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한 집안에서 분산된 가전기기들을 이용할때의 불편 사항 즉, 이동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주방에서 주로 시간을 보내는 주부들이 보다 편안하게 주방일을 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한편, TV모니터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그 전개와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전개된 TV모니터가 상하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서, 주부들로 하여금 주방에서 TV를 시청시 그 편의성을 보다 증진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Claims (6)

  1. 조명등스위치, 인버터, 조명등을 가지는 조명시스템과, AM/FM의 튜너, 앰프, 스피커를 가지는 라디오시스템이 설치된 통상의 주방용 싱크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위의 프레임에는 DVD제어부는 물론 DVD디코더와 DVD구동부 및 TV엔코더와 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를 포함하는 DVD시스템과, TV제어부는 물론 TV모니터와 모니터 구동부 및 TV튜너부를 포함하는 TV시스템 및, 녹음제어부는 물론 마이크와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녹음시스템을 추가 구성하고,
    상기 싱크대 프레임의 전면에는 도어 개폐는 물론 조명시스템, 라디오시스템, DVD시스템, TV시스템 및 녹음시스템을 제어하는 키이신호를 출력하는 키이작동부와, 그 키이작동부에 의한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를 구성하며,
    상기 라디오시스템에는 키이작동부로 부터 출력된 키이신호를 판독하여 도어 개폐는 물론 조명시스템, 라디오시스템, DVD시스템, TV시스템 및 녹음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멀티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시스템에는,
    멀티제어부의 도어 개폐용 제어신호를 도어개폐기로 무선 송출하는 알에프RF전송부, DVD시스템과 TV시스템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음성신호와 녹음시스템으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를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 및, 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조명등의 점멸시간을 설정 및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시스템은,
    인터폰과 비디오폰으로 부터 송출된 알람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폰 및 비디오폰과 유선라인을 통해 회로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시스템은,
    오디오시스템의 음악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도록 상기 오디오시스템과 유선라인을 통해 회로적으로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V모니터는,
    싱크대의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개 및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전개시에는 상하의 경사 및 좌우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작동부는,
    가전 시스템이 설치된 싱크대 프레임으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는 전원버튼, 싱크대 프레임에 설치된 각 시스템의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버튼, 스피커를 통해 음성이 출력되는 각 시스템의 음성출력레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버튼, 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조명등의 점등 및 그 점멸시간을 설정하는 점멸시간설정버튼, 싱크대 프레임으로 부터 전개된 TV모니터의 상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버튼, 라디오시스템의 선국 주파수를 설정하는 선국버튼, TV시스템의 채널신호를 설정하는 채널설정버튼, 도어 개폐기의 개폐 키이신호를 라디오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도어개폐버튼 및, 녹음시스템에 의해 진행되는 음성메세지의 녹음 및 재생을 선택하는 녹음 및 재생버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KR20-2003-0012840U 2003-04-25 2003-04-25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KR200319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40U KR200319235Y1 (ko) 2003-04-25 2003-04-25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40U KR200319235Y1 (ko) 2003-04-25 2003-04-25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233A Division KR20040092698A (ko) 2003-04-25 2003-04-25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235Y1 true KR200319235Y1 (ko) 2003-07-04

Family

ID=4941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840U KR200319235Y1 (ko) 2003-04-25 2003-04-25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2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29B1 (ko) 2004-06-03 2007-01-04 코스텔(주) 다기능 티브이 장치
KR101381998B1 (ko) 2013-05-24 2014-04-04 아크로텍 주식회사 Led 조명을 갖는 주방용 멀티 미디어 장치 및 그것의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29B1 (ko) 2004-06-03 2007-01-04 코스텔(주) 다기능 티브이 장치
KR101381998B1 (ko) 2013-05-24 2014-04-04 아크로텍 주식회사 Led 조명을 갖는 주방용 멀티 미디어 장치 및 그것의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1140B1 (en) Video/sound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device
US2013009990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lost remote control
US20100235745A1 (en) Accessibility system for consumer devices
US7532258B1 (en) Video remote controller incorporating audio speaker and speaker volume control
EP1791355B1 (en) Optical disk player
US20070041578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911818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200319235Y1 (ko)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KR20040092698A (ko) 주방용 멀티 가전 시스템
JP2001006480A (ja) 多機能スイッチ装置
JP2008193568A (ja) Av装置
JP2914731B2 (ja) 多重ゾーン・オーディオ・システム
US7657050B2 (en) Platform for attachment to a sound system
KR200601158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473138B1 (en) Custom installation television receiver with variable front panel configuration
KR101011031B1 (ko) 멀티미디어기기 통합제어장치
CN100394780C (zh) 四合一彩色液晶电视机
JP3060811U (ja) 多機能テレビ
CN2590452Y (zh) 多功能厨具
KR100368953B1 (ko) 착탈이동 가능한 가정용 무선 제어 시스템
KR100661363B1 (ko) 텔레비전
JP5418650B2 (ja) Av装置
JP2005198036A (ja) リモコン装置
KR20000023882A (ko) 주방용전자시스템
JPH05762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