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213Y1 - 조임소켓 연결구 - Google Patents

조임소켓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213Y1
KR200319213Y1 KR20-2003-0011689U KR20030011689U KR200319213Y1 KR 200319213 Y1 KR200319213 Y1 KR 200319213Y1 KR 20030011689 U KR20030011689 U KR 20030011689U KR 200319213 Y1 KR200319213 Y1 KR 200319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socket
tightening
socket
sealing pa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주
임채영
Original Assignee
임채영
이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영, 이강주 filed Critical 임채영
Priority to KR20-2003-0011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관인 조임소켓의 중앙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관이 놓이게 되는 부위에는 끝단이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진 실링패드가 설치되어 관속을 흐르게 되는 유체의 누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조임소켓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는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내주면 방향을 따라 양쪽의 연결관의 끝단들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조임소켓과, 상기 조임소켓의 내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조임소켓의 결합시 끝단이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그 겹쳐지는 끝단부분이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진 실링패드로 구성되어, 시공성을 높이는 동시에 누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임소켓 연결구 {Connecting device for pipe}
본 고안은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관인 조임소켓의 중앙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관이 놓이게 되는 부위에는 끝단이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진 실링패드가 설치되어 관속을 흐르게 되는 유체의 누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조임소켓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포함한 유체를 이동하는 수단으로는 관들이 사용되어 왔고, 이 관들은 무한정 긴 형태로 생산, 이동 그리고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정한 길이로 생산되어 현장에서 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두 개의 관을 연결하게 되면 그 연결부위로 관 내부의 유체가 새어 나오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누수방지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61425호가 있는 바, 이러한 기술은 통상의 관 연결방식의 전형적인 방법으로서, 연결되는 관의 말단부에 오링을 끼우고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벨트가 관의 말단부들을 둘러싸도록 감은 다음에, 벨트의 양단을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기술의 특징은 오링 대신에 수지겔링을 끼우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바, 통상적인 방법에 비하여 수지겔링이 더 실링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 외에는 별다른 구조적인 특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즉, 종래의 기술은 두 관의 말단부에 오링 등의 실링부재를 끼운 상태에서두 관의 말단부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그 접촉부분을 벨트 등으로 체결하여 실링하는 연결방식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관 연결구조는 단순히 오링을 감싸는 벨트에 의한 힘에 의해 오링의 기밀성이 유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오링 또는 수지겔링 등의 성능에 의해 관 연결구조의 성능이 좌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의 확실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트가 관의 말단부를 덮도록 체결되는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벨트가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연결구조가 완전히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임소켓의 중앙에 연결관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연결관이 놓이게 되는 부위에는 실링패드를 설치하되 실링패드의 끝단이 겹쳐지도록 설치되고 겹치는 부위는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져 최대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임소켓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의 중앙부를 자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의 일부구성요소인 실링패드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링패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관 20 : 조임소켓
22 : 걸림턱 30 : 실링패드
30a : 물결모양의 끝단부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는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내주면 방향을 따라 양쪽의 연결관의 끝단들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조임소켓과, 상기 조임소켓의 내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조임소켓의 결합시 끝단이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그 겹쳐지는 끝단부분이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진 실링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패드의 물결무늬 모양의 끝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조임소켓의 일단에는 플랜지의 결합시 겹쳐지게 되는 부분인 텅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의 중앙부를 자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의 일부구성요소인 실링패드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링패드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결관(10)이 조임소켓(20)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조임소켓(20)은 볼트(40)와 너트(41)에 의해 결합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양 끝단에는 볼트(40)와 너트(4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2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연결관(10)들의 끝단들이 걸리게 되는걸림턱(22)이 중앙에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턱(22)은 일단의 플랜지(21)에 연장된 텅(22a)에 간섭되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소켓(20)의 내주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있고, 텅은 조임소켓(20)의 내면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이러한 조임소켓(20)은 통상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바, 평면적인 모양으로 사출하는 것보다는 체결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굴곡된 모양으로 사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소켓(20)의 내면에는 걸림턱(22)이 삽입되는 절개부(20b)가 형성된 실링패드(30)가 접착되어 있는데, 이 실링패드(30)는 실링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고무나 가교화 발포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 실링패드(30)는 조임소켓(20)의 결합시 끝단이 겹치도록 조임소켓(20)의 내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겹치는 끝단부위(30a)는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물결모양으로 끝단(30a)을 형성하면 유체가 누설될 경우 그 물결모양을 따라 흐르게 되기 때문에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유체가 흐르는 길이가 연장되어 유체의 흐름 마찰이 증가되고 또 조임소켓(20)의 조임시 압착력이 물결모양의 돌출부에 집중되어 누설 틈이 최소화됨으로써 누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물결모양 이외에 나사 모양이 다른 여러 가지 모양, 즉 최대한 유체의 이동거리를 늘릴 수 있는 모양이면 어느 모양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실링패드(30)는 물결모양이 형성된 끝단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얇게 형성되어 겹치게 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유격을 최소화하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는 걸림턱이 형성된 조임소켓에 연결관들을 양쪽에서 간단하게 밀어 넣은 다음에 조립하게 되기 때문에 시공성이 탁월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임소켓 연결구는 실링패드의 겹치게 되는 끝단부위가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져 유체의 이동거리를 늘림으로써 누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3)

  1.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내주면 방향을 따라 양쪽의 연결관의 끝단들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조임소켓과, 상기 조임소켓의 내면을 덮도록 설치되고 조임소켓의 결합시 끝단이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그 겹쳐지는 끝단부분이 물결모양으로 이루어진 실링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소켓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패드의 물결무늬 모양의 끝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소켓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소켓의 일단에는 플랜지의 결합시 겹쳐지게 되는 부분인 텅이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소켓 연결구.
KR20-2003-0011689U 2003-04-16 2003-04-16 조임소켓 연결구 KR200319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689U KR200319213Y1 (ko) 2003-04-16 2003-04-16 조임소켓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689U KR200319213Y1 (ko) 2003-04-16 2003-04-16 조임소켓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213Y1 true KR200319213Y1 (ko) 2003-07-07

Family

ID=4941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689U KR200319213Y1 (ko) 2003-04-16 2003-04-16 조임소켓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2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4337C (fi) Roerkoppling.
US11525533B2 (en) Pipe device having a bonded joint
KR100261854B1 (ko) 피이 폴리에틸렌 새들 편수관
KR200319213Y1 (ko) 조임소켓 연결구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532555B1 (ko) 배관 연결장치
KR100543135B1 (ko) 호스클램핑구조
KR101903474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10108870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0568879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1438398B1 (ko) 플랜지형 파이프 연결구조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100954270B1 (ko)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KR20040052722A (ko) 경사진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접속장치
KR100623162B1 (ko) 전기배관 이음부의 누수방지 장치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200198066Y1 (ko) 파이프 연결관
KR20080006508U (ko) 배관 연결구
KR200269755Y1 (ko) 관 결합장치
KR20037909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100639929B1 (ko)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371982Y1 (ko) 기능성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