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270B1 -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 Google Patents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270B1
KR100954270B1 KR1020080010999A KR20080010999A KR100954270B1 KR 100954270 B1 KR100954270 B1 KR 100954270B1 KR 1020080010999 A KR1020080010999 A KR 1020080010999A KR 20080010999 A KR20080010999 A KR 20080010999A KR 100954270 B1 KR100954270 B1 KR 10095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pipe
nut
deformation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216A (ko
Inventor
권혜숙
Original Assignee
권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혜숙 filed Critical 권혜숙
Priority to KR102008001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2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고 파이프의 탈착이 용이한 배관용 이음관을 제공한다. 그 이음관은 몸체의 일측에 외부로 끼워지면서 경사진 내부면을 가진 너트와 일부는 몸체 일측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부착되고 나머지는 몸체 일측의 외부로 노출된 패킹을 포함한다. 특히 패킹은 너트의 조임에 의해 노출된 부분이 일정하게 변형되도록 동일한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돌출부 또는 복수개의 홈들이 배열된 변형부를 갖는다.
경사면, 패킹, 너트, 배관용 이음관

Description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Connecting pipe having the packing from soft material}
본 발명은 배관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이용한 배관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예컨대 물을 흐르게 하는 배관(pipe laying)을 하는 과정에서 배관용 이음관이 필요하다. 배관용 이음관은 유체가 통과하는 파이프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분기관을 설치하거나 또는 길이를 연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배관용 이음관에는 파이프와의 연결부에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패킹이 필요하다.
패킹의 종류로는 고무패킹, 합성수지패킹, 오일실패킹, 금속패킹 등이 있다. 그 중 고무패킹은 탄성은 우수하나 흡수성이 없고, 산과 알칼리에는 강하나 기름에는 침식이 되며 100℃ 이상 배관에는 사용할 수 없는 특징이 있어 주로 급/배수용 배관에 이용된다. 하지만, 고온/고압의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유연한 재질을 갖는 합성수지 패킹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오일실패킹과 금속패킹은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배관용 이음관과 이에 이용되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 의 경우에는 상기의 패킹을 파이프와 밀착하여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너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탈착이 편리하여 파이프 교체 등의 사후관리에 유리하다. 너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너트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파이프와 접촉하는 패킹의 일부를 균일한 힘으로 조여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너트에 대응하는 패킹으로 종래에는 원통형의 패킹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원통형 패킹을 사용하는 경우, 패킹에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너트를 체결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이 불균일하여 파이프와 패킹 사이에 작은 틈이 생기고 유체가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인위적으로 힘을 균일하게 가하는 것도 까다로워 파이프 탈착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와 유연성 있는 재질의 패킹 사이에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고, 파이프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이용한 배관용 이음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관용 이음관은 배관용 이음관의 몸체에 상기 몸체의 일측에 외부로 끼워지면서 경사진 내부면을 가진 너트와 일부는 상기 몸체 일측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부착되고 나머지는 상기 몸체 일측의 외부로 노출된 패킹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패킹은 너트의 조임에 의해 상기 노출된 부분이 일정하게 변형되도록 동일한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돌출부 또는 복수개의 홈들이 배열된 변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또는 홈 사이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 또는 홈과 상기 패킹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의 재질은 고무, 공중합체 합성수지 및 유연성을 확보하는 물질이 첨가된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의 변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형태는 갈퀴 형태, 톱니 형태 및 물결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단면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및 내각을 갖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 기능을 갖는 패킹과 너트를 구비한 배관용 이음관은 유연성 있는 재질을 갖는 패킹의 형태에 변화를 줌으로써 패킹에 받는 힘을 균일하게 하여 연결되는 파이프와 완전하게 밀착되어 유체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너트 상단에 경사면이 있는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파이프의 탈착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여 배관의 사후관리가 쉽도록 하였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 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완전한 설명을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이용한 배관용 이음관을 제시한다. 유연한 재질의 패킹은 상기 배관용 이음관에 삽입되어, 유체를 통과시키는 파이프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연한 재질을 갖는 물질은 고무, 공중합된 합성수지, 유연성을 확보하는 물질이 첨가된 합성수지 등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클로라이드는 가소제의 농도에 따라 단단한 경질로부터 부드럽고 유연하며 잘 달라붙는 연질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배관용 이음관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본 발명의 패킹이 적용된 배관용 이음관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서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패킹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배관용 이음관에 실제 적용된 경우를 사례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배관용 이음관에 대한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이음관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중심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패킹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구조 중에 하나를 선택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관용 이음관은 몸체(100), 너트(102) 및 패킹(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배관 용 이음관에 탈착되는 파이프(118)를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의 위쪽 부분은 배관용 이음관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분해된 상태 그리고 아래쪽 부분은 상기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배관용 이음관의 몸체(100)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나, 배관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몸체(100)의 안쪽 면(116)으로 패킹(110)이 삽입되며, 삽입되는 패킹(110)은 몸체(100) 내에 형성된 제1 턱(115)에 의해 고정된다. 패킹(110)이 삽입되는 부분의 몸체(100)의 바깥 면은 너트(102)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 예컨대 수나사(114)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수나사(114)가 없어도 너트(102)와 체결할 수 있다면, 아무런 체결수단을 두지 않을 수 있다.
너트(102)는 패킹(110)과 몸체(100)를 이용하여 파이프(118)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너트(102)는 몸체(100)와 결합하는 부분은 몸체(100)의 바깥 면에 대응하여 오픈되어 있고, 파이프(118)가 인입하는 부분은 파이프(118)의 크기에 대응하여 뚫려 있는 뚜껑 형태이다. 이에 따라, 파이프(118)가 인입하는 부분의 너트(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굽어진 형태를 갖는다.
너트(102)의 안쪽 면에는 크게, 지름이 균일하게 작아지는 경사면(104)과 몸체(100)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 예컨대 암나사(106)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04)은 너트(102)의 상기 굽어진 부분에 위치하고, 암나사(106)는 경사면(104)에 연속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요에 따라, 암나사(106)가 없어도 몸체(100)와 체결 할 수 있다면, 아무런 체결수단을 두지 않을 수 있다.
패킹(110)은 너트(102)의 경사면(104)에 의해 변형이 되는 변형부(108), 파이프(118)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턱(112) 및 앞에서 설명한 몸체(100)의 제1 턱(115)에 의해 이동이 멈추는 제3 턱(113)을 포함한다. 이때, 변형부(108)는 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패킹(110)은 몸체(100)의 안쪽 면에 밀착되어 부착된다. 변형부(108)는 너트(102)의 경사면(104)에 따른 조임에 의해 균일하게 변형되어야 하며, 그 형태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파이프(118)는 패킹(110)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통상적으로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배관용 이음관의 몸체(100)와 파이프(118)가 패킹(110)과 너트(102)에 의해 연결되는 방법에 관해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패킹(110)을 몸체(100)의 안쪽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패킹(110)을 몸체(100)의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몸체(100)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몸체(100)의 제1 턱(115)과 패킹(110)의 제3 턱(113)이 만나면서 고정된다. 이때, 변형부(108)는 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어서, 파이프(118)를 너트(102)에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102)의 암나사(106)를 이음관 수나사(114)와 일부만 체결한다. 그리고 파이프(118)를 너트(102)를 통하여 패킹(110)의 제2 턱(112)에 걸릴 때까지 삽입한다. 이때, 파이프(118)는 변형부(108)의 변형이 일어나기 전에 삽입되므로, 패킹(110)의 안쪽으로 용이하게 인입된다. 그 후 너트(102)를 돌려 너트(102)의 암나사(106)와 몸체(100)의 수나사(114)를 체결하면 파이프(118)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너트(102) 를 몸체(100)에 체결하는 과정이라고 한다.
너트(102)를 몸체(10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변형부(108)는 자연스럽게 너트 경사면(104)과 닿아 압력을 받게 된다. 이 압력은 너트(102)의 체결과정이 진행될수록 경사면(104)에 의해 파이프(118) 방향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너트(102)의 경사면(104)의 지름이 짧아지면서 변형부(108)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몸체(100)와 파이프(118)가 변형부(108)의 변형에 의해 밀착되어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게 된다.
너트(102)의 경사면(104)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108)는 유연한 재질, 예를 들어 고무, 공중합된 합성수지, 유연성을 확보하는 물질이 첨가된 합성수지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클로라이드는 가소제의 농도에 따라 단단한 경질로부터 부드럽고 유연하며 잘 달라붙는 연질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변형부(108)는 유연한 성질을 가지므로, 상기 압력에 의해 변형이 용이하다.
또한, 유연성을 가진 재질의 패킹(110)이 너트의 경사면(104)에 의해 압력을 받아 파이프(118)와 밀착하여 유체의 누출을 완전히 차단하려면, 변형부(108)의 모든 부분에서 균일하게 변형이 일어나야 한다. 다시 말해, 변형부(108)의 일부에 압력이 집중된다면, 그 부분의 변형이 먼저 일어나 변형부(108)의 형태가 찌그러질 수 있다. 변형부(108)가 찌그러지면, 파이프(118)와 패킹(110) 사이에 틈이 생겨 유체의 누출이 생길 수 있다. 종래에는 본 발명과 같은 변형부를 두지 않아서, 상기 압력이 불균일하게 전달되어 위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변형 부(108)의 변형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파이프(118)가 연결되어 있으면, 파이프(118)에 의해 패킹(110)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부(108)는 경사면(104)의 압력이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전달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 경사면(104)의 압력이 변형부(108)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변형부(108)의 모든 부분이 균일하게 변형을 일으킨다. 이에 대해서는, 사례를 들어 패킹의 형태와 더불어 이하에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패킹에 대한 실시예)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패킹의 변형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 이때, 패킹의 변형부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너트의 조임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을 말한다. 또한, 패킹(110)이 적용되는 배관용 이음관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 제시하는 제1 변형부(108a)는 외측에 갈퀴 형태의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변형부(108a)는 상기 갈퀴 형태가 동일한 패턴으로 제1 변형부(108a)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의 크기나 개수는 패킹(110)의 크기나 사용용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너트(102)를 몸체(100)에 체결하는 과정의 초기에 너트의 경사면(104)이 제1 변형부(108a)의 갈퀴 형태의 돌출부에 닿으면서 압력을 받기 시작한다. 이때, 경사면(104)에 닿은 각각의 돌출부는 경사면(104)에 의한 압력을 균일하게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체결과정이 진행되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변형 부(108a)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제1 변형부(108a)의 각각의 돌출부에 작용하는 균일한 압력에 의해 제1 변형부(108a)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파이프(118)를 패킹(1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균일한 압력을 주어야 할 필요가 없어 파이프(118)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파이프(118)와 패킹(110) 사이에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패킹의 변형부를 설명하는 변형예의 하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변형부(108b)는 외측에 톱니 형태의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변형부(108b)는 상기 톱니 형태가 동일한 패턴으로 제2 변형부(108b)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의 크기나 개수는 패킹(110)의 크기나 사용용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변형부(108b)에 의한 파이프(118)와 패킹(110)이 체결되는 과정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파이프(118)를 패킹(1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균일한 압력을 주어야 할 필요가 없어 파이프(118)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파이프(118)와 패킹(110) 사이에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패킹의 변형부를 설명하는 또 하나의 변형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 변형부(108c)는 외측에 물결 형태의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3 변형부(108c)는 상기 물결 형태가 동일한 패턴으로 제3 변형부(108c)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 다. 돌출부의 크기나 개수는 패킹(110)의 크기나 사용용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변형부(108c)에 의한 파이프(118)와 패킹(110)이 체결되는 과정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파이프(118)를 패킹(1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균일한 압력을 주어야 할 필요가 없어 파이프(118)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파이프(118)와 패킹(110) 사이에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패킹의 변형부를 설명하는 다른 변형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의하면, 제4 변형부(108d)는 제4 변형부(108d)의 내부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4 변형부(108d)는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홈이 동일한 패턴으로 제4 변형부(108d)의 내부에 동일한 반경(패킹의 중심과의 거리)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홈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의 깊이 및 개수는 패킹(110)의 크기나 사용용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너트(102)를 몸체(100)에 체결하는 과정의 초기에 너트의 경사면(104)이 제4 변형부(108d)에 닿으면서 압력을 받기 시작한다. 이때, 경사면(104)에 닿은 제4 변형부(108d)의 홈들은 경사면(104)에 의한 압력을 균일하게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체결과정이 진행되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변형부(108d)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제4 변형부(108d)의 각각의 홈에 작용하는 균일한 압력에 의해 제4 변형부(108d)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파이프(118)를 패킹(1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균일한 압력을 주어야 할 필요 가 없어 파이프(118)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파이프(118)와 패킹(110) 사이에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패킹의 변형부를 설명하는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5 변형부(108e)는 제5 변형부(108e)의 내부에 내각을 갖는 다각형, 예컨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5 변형부(108e)는 상기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홈이 동일한 패턴으로 제5 변형부(108e)의 내부에 동일한 반경(패킹의 중심과의 거리)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홈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의 깊이 및 개수는 패킹(110)의 크기나 사용용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5 변형부(108e)에 의한 파이프(118)와 패킹(110)이 체결되는 과정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파이프(118)를 패킹(1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외부에서 균일한 압력을 주어야 할 필요가 없어 파이프(118)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파이프(118)와 패킹(110) 사이에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패킹은 너트에 의한 압력을 균일하게 수용할 수 있는 변형부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상기 변형부에 대한 몇 가지 사례를 제공한 데 불과하다. 따라서 압력을 균일하게 수용할 수 있는 변형부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것 이외에도 충분히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이음관과 파이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 변형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3b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킹 변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이음관 몸체 102: 너트
104: 너트 경사면 106: 암나사
108: 패킹 변형부 108a: 제1 변형부
108b: 제2 변형부 108c: 제3 변형부
108d: 제4 변형부 110: 패킹
112: 제2 턱 113: 제3 턱
114: 수나사 115: 제1 턱
116: 몸체 안쪽면 118: 파이프

Claims (6)

  1. 안쪽면으로 삽입되는 패킹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턱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의 외부에 끼워지면서, 경사진 내부면을 갖는 너트; 및
    상기 너트의 경사진 내부면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와, 파이프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턱 및 상기 몸체의 제1 턱에 의해 이동이 멈추는 제3 턱을 구비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은 상기 몸체 일측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부착되고, 상기 패킹의 변형부는 상기 몸체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패킹의 변형부는 상기 너트의 조임에 의해 일정하게 변형되도록 동일한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돌출부 또는 복수개의 홈들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또는 홈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홈과 상기 패킹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재질은 고무, 공중합체 합성수지 및 유연성을 확보하는 물질이 첨가된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변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형태는 갈퀴 형태, 톱니 형태 및 물결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홈의 단면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및 내각을 갖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KR1020080010999A 2008-02-04 2008-02-04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KR10095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999A KR100954270B1 (ko) 2008-02-04 2008-02-04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999A KR100954270B1 (ko) 2008-02-04 2008-02-04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216A KR20090085216A (ko) 2009-08-07
KR100954270B1 true KR100954270B1 (ko) 2010-04-23

Family

ID=4120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999A KR100954270B1 (ko) 2008-02-04 2008-02-04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09B1 (ko) * 2009-08-06 2009-10-27 영동공업 주식회사 편수관용 박판형 압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9901A (ja) 1997-04-16 1998-11-13 Forsheda Ab シール装置
KR200246590Y1 (ko) 2001-05-14 2001-10-15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관 이음쇠
KR200269741Y1 (ko) 2001-11-20 2002-03-25 최원태 엘형 이중관 이음구
JP2004052839A (ja) * 2002-07-17 2004-02-19 C I Kasei Co Ltd 可撓性樹脂管用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9901A (ja) 1997-04-16 1998-11-13 Forsheda Ab シール装置
KR200246590Y1 (ko) 2001-05-14 2001-10-15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관 이음쇠
KR200269741Y1 (ko) 2001-11-20 2002-03-25 최원태 엘형 이중관 이음구
JP2004052839A (ja) * 2002-07-17 2004-02-19 C I Kasei Co Ltd 可撓性樹脂管用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216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9276B1 (en) Resin pipe joint structure
US6336640B1 (en) Gasket
CN211525753U (zh) 带有将螺母插入端口内侧的加强件的pb管道连接端口装置
US10125903B1 (en) Enhanced seal
KR100954270B1 (ko)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US9175772B2 (en) Expandable sealing washer
EA009318B1 (ru) Фитинг для труб
KR20090085225A (ko) 패킹을 포함하는 배관용 이음관
KR20190021677A (ko) 이탈 방지용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200463450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KR102263217B1 (ko) 스마트 니플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KR200373000Y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볼트식 연결장치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CN215806918U (zh) 一种水管转接装置和净水器
US20240084945A1 (en) Lateral connector for underground pipes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KR200341835Y1 (ko)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CN210687331U (zh) 一种密封圈以及应用该密封圈的管件接驳装置
KR200458177Y1 (ko) 하수관 파이프
KR200179789Y1 (ko) 관 밀봉구
KR20170124411A (ko) 원터치식 배관 커플러
KR200414884Y1 (ko) 결합 클램프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