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835Y1 -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835Y1
KR200341835Y1 KR20-2003-0035074U KR20030035074U KR200341835Y1 KR 200341835 Y1 KR200341835 Y1 KR 200341835Y1 KR 20030035074 U KR20030035074 U KR 20030035074U KR 200341835 Y1 KR200341835 Y1 KR 200341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ooth
supply pipe
water suppl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Priority to KR20-2003-0035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체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맥동 현상으로 인하여 캡의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급수배관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캡의 테두리로는 골과 산이 반복되는 삼각 톱니 구조의 제 1치형부를 형성하고, 제 1치형부와 대접하는 해당 유니언의 플랜지로는 치형 결합되는 제 2치형부를 형성하여 누수뿐 만 아니라 관체의 삽입부위가 파괴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급수배관용 연결장치{A Coupling Device For A Water-supply Pipe Laying}
본 고안은 관체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맥동 현상으로 인하여 캡의 체결상태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의 테두리로 골과 산이 반복되는 삼각 톱니 구조의 제 1치형부를 형성하고, 해당 대접하는 유니언의 플랜지로는 제 1치형부와 치형 결합되는 제 2치형부를 형성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의 급수배관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배관용 관체의 연결은 각 축 방향으로 연결구가 형성된 유니언을 통해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연결구를 통해 관체를 관입시킨 후 캡으로 연결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하여 관체를 고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장치는 시공이 편리한 장점이 있지만 누수가 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유니언의 연결구에 체결된 캡이 관체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맥동현상에 의해서 체결상태가 해체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누수뿐 만 아니라 관체의 삽입부위 또한 파괴되는 문제점도 가져오게 되었다.
즉 이러한 문제점은 정기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해당 업체들은 보수/보강으로 인한 인건비 및 재설치에 따른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유체의 맥동 현상에 따른 캡의 체결상태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구조의 급수배관용 연결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관체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맥동 현상으로 인하여 캡이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급수배관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캡의 테두리로 골과 산이 반복되는 삼각 톱니 구조의 제 1치형부를 형성하고, 해당 대접하는 유니언의 플랜지로는 제 1치형부와 치형 결합되는 제 2치형부를 형성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의 급수배관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각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관체에 동일축선을 이루는 대응 위치로 각 연결구(22)가 돌출/형성되는 중공의 몸체(21)와, 상기 연결구(22)의 외주연에 외곽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3)를 포함하는 유니언(20)과, 상기 각 연결구(22)에 체결되는 캡(10) 및 상기 관체가 동일 축선상의 해당 각 연결구(22)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관체가 끼움 결합되게 상기 각 캡(10)에 형성되는 관통구(1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22)에 대한 상기 캡(10)의 체결구조가 치형결합으로 고정/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23)와 대접하는 상기 캡(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톱니형상의 제 1치형부(13)와, 상기 캡(10)의 체결에 따라 상기 제 1치형부(13)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 1치형부(13)와 상반된 형성방향으로 상기 플랜지(23)에 형성되는 톱니형상의 제 2치형부(2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용 연결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10)의 테두리 외곽은 상기 제 1치형부(13)의 단부와 동일높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각 치형부(13,23a)는 삼각톱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유니언(20)의 재질은 폴리부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캡(10)의 재질은 합성고분자 폴리아미드인 나일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치형부(23a)는 상기 플랜지(23)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2개소에 대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 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배관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유니언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유니언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배관용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캡 11: 요철
12: 관통구 13: 제 1치형부
20: 유니언 21: 몸체
22: 연결구 23: 플랜지
23a: 제 2치형부 100: 연결장치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배관용 연결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배관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관체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맥동 현상으로 인하여 캡의 체결상태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급수배관용 연결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유니언(20)은 몸체(21)의 형태에 따라 크게 3타입으로 분류되는데, 이는 동일평면상에서 4방향으로 관체를 연결하는 '+' 형과, 2축방향으로 관체를 연결하는 'T' 형 및 'L' 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실시예로 'T' 형의 유니언(2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연결장치(100)의 구조는 2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난방 및 급수배관에 쓰이는 관체의 교차에 따른 각도 변경을 위한 유니언(20)과, 유니언(20)에 연결된 관체를 고정하기 위해 유니언(20)에 체결되는 캡(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니언(20)은 2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관체에 동일 축선을 이루는 대응 위치로 각 연결구(22)가 연장 형성되는 'T' 형태의 몸체(21)와, 연결구(22)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연결구(22)는 삽입되는 관체를 고정하기 위해 캡(1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이며, 플랜지(23)는 연결구(22)를 통해 체결되는 캡(10)을 지지하기 위해 캡(10)의 직경 만큼 압전 형태로 돌출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유니언(20)의 각 구성요소는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되며, 그 재질은 폴리부텐(PolyButene)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캡(10)은 관체가 동일 축선상의 해당 각 연결구(22)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연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이며, 관체가 타면을 통해 연결구(22)로 관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12)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 때 캡(10)은 재질은 유니언(20) 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강한 합성고분자 폴리아미드인 나일론(Nylon)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캡(10)은 외주연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23)와 대접하는 테두리에는 삼각 톱니형상의 제 1치형부(1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때 캡(10)의 테두리 외곽은 제 1치형부(13)의 단부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어 있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 1치형부(1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여기서 제 1치형부(13)는 캡(10)의 체결방향으로 완만하게 편심된 경사구조의 산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할 때 소요되는 힘보다 캡(10)을 해체시킬 때 소요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되는 구조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유니언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따른 유니언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3)의 상부면에는 캡(10)의 제 1치형부(13)와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치형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치형부(13)와 동일 구조의 상반된 형성방향으로 제 2치형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캡(10)이 체결되면 제 1치형부(13)는 플랜지(23)의 제 2치형부(23a)와 치형 결합의 구조를 갖음으로써,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제 2치형부(23a)은 손으로 캡(10)을 분리할 수 있는 최대 힘에 입각하여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2개소에 대칭 형성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 2치형부(23a)는 산과 골이 5개씩 군집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제 2치형부(23a)는 이상에서와 같이 개수 및 개소에 한정하지 않이 하고, 산과 골의 개수에 따라 개소 또한 1개소, 3개소, 4개소, 또는 전면에 등분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 2치형부(23a)는 제 1치형부(13)와는 달리 플랜지(23)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만약 부득이하게 체결된 캡(10)을 분리시켜야 할 경우, 플랜지(23)의 경도가 캡(10)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캡(10)의 체결구조를 강제로 해제할 경우 제1치형부(13)가 제 2치형부(23a)의 형상구조를 파괴하고 분리가 가능하다.
이 때 본 고안은 1회성에 국한되지 않고 수회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 의해서 가능하게 여겨질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배관용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3)에 제 2치형부(23a)를 형성하지 않이 하여도 관체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맥동에 의해서 캡(1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어 유체가 누수되거나 관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캡(10)의 체결력에 따라 제 1치형부(13)의 각 산이 플랜지(23)를 압박/고정하여 가능한데, 이는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플랜지(23)를 포함하는 유니언(20)이 폴리부텐으로 이루어지고 캡(10)은 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도를 갖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캡(10)과 플랜지(23)를 이루는 재질의 경도차이에 의해 가능하다. 즉 캡(10)의 경도가 유니언(20)의 경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캡(10)의 제 1치형부(13)가 상기 플랜지(23)의 표면을 압박하여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급수배관용 연결장치(100)는 플라스틱 관체 또는 동관이나 스테인레스관의 연결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급수배관 및 난방용 배관 뿐만 아니라, 규모가 작은 하수관 또는 기타 공사장의 배관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수배관용 연결장치에 따르면, 관체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맥동현상으로 연결구에 체결된 캡의 체결상태가 해체되지 않기 때문에 누수뿐 만 아니라 관체의 삽입부위 또한 파괴되는 현상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연결장치에 본 고안의 캡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비슷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호환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각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관체에 동일축선을 이루는 대응 위치로 각 연결구(22)가 돌출/형성되는 중공의 몸체(21)와, 상기 연결구(22)의 외주연에 외곽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3)를 포함하는 유니언(20);
    상기 각 연결구(22)에 체결되는 캡(10); 및
    상기 관체가 동일 축선상의 해당 각 연결구(22)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관체가 끼움 결합되게 상기 각 캡(10)에 형성되는 관통구(1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22)에 대한 상기 캡(10)의 체결구조가 치형결합으로 고정/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23)와 대접하는 상기 캡(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톱니형상의 제 1치형부(13)와,
    상기 캡(10)의 체결에 따라 상기 제 1치형부(13)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 1치형부(13)와 상반된 형성방향으로 상기 플랜지(23)에 형성되는 톱니형상의 제 2치형부(2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테두리 외곽은 상기 제 1치형부(13)의 단부와 동일높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치형부(13,23a)는 삼각톱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20)의 재질은 폴리부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재질은 합성고분자 폴리아미드인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치형부(23a)는 상기 플랜지(23)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2개소에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KR20-2003-0035074U 2003-11-10 2003-11-10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KR200341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074U KR200341835Y1 (ko) 2003-11-10 2003-11-10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074U KR200341835Y1 (ko) 2003-11-10 2003-11-10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835Y1 true KR200341835Y1 (ko) 2004-02-14

Family

ID=4942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074U KR200341835Y1 (ko) 2003-11-10 2003-11-10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8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02Y1 (ko) * 2009-03-20 2009-10-16 김학렬 내구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욕실용 배관
KR200451166Y1 (ko) 2008-12-30 2010-11-30 주식회사 노비타 파이프 연결구의 풀림 방지 구조
KR101022848B1 (ko) * 2008-09-04 2011-03-22 이석우 주방용 급수밸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48B1 (ko) * 2008-09-04 2011-03-22 이석우 주방용 급수밸브장치
KR200451166Y1 (ko) 2008-12-30 2010-11-30 주식회사 노비타 파이프 연결구의 풀림 방지 구조
KR200446302Y1 (ko) * 2009-03-20 2009-10-16 김학렬 내구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욕실용 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0105A (en) Locking arrangement for a plumbing connection
KR200341835Y1 (ko) 급수배관용 연결장치
IT1293211B1 (it) Dispositivo di accoppiamento filettato per tubazioni.
KR102262424B1 (ko) Pvc 배관 연결장치
KR200178047Y1 (ko) 결착력이 증대되는 파이프 연결구조
JP2008232330A (ja) 流体管継手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20100073424A (ko) 파이프 연결구용 이탈방지링
KR200463450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KR200373716Y1 (ko) 합성수지이중벽관의 클립형 연결장치
KR200352623Y1 (ko) 엔드 스탑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 구조
KR100954270B1 (ko)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JP2001208251A (ja) 螺旋波形管用パッキンとその取付け構造
KR200251683Y1 (ko) 파이프 연결장치
CN217714075U (zh) 一种快速连接管件和管道
KR200400411Y1 (ko) 관체 연결용 카트리지
KR10065070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88731Y1 (ko) 밸브용 캡구조
KR20030060562A (ko) 일체형 플랜지 관
KR20037909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325869Y1 (ko) 원 터치 파이프 연결구조
RU2007103047A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фасонная часть сборного полимерного водопроводного и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0144959Y1 (ko) 가요성 호스용 클램프 부재
KR200369151Y1 (ko) 외향캡 체결형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구
KR200257538Y1 (ko)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