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151Y1 -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 Google Patents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151Y1
KR200319151Y1 KR20-2003-0008240U KR20030008240U KR200319151Y1 KR 200319151 Y1 KR200319151 Y1 KR 200319151Y1 KR 20030008240 U KR20030008240 U KR 20030008240U KR 200319151 Y1 KR200319151 Y1 KR 200319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boom
plate
load
clamping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모
Original Assignee
김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모 filed Critical 김채모
Priority to KR20-2003-0008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1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판재 적재물을 클램핑하여 컨테이너 등에 적재와 하역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안전성이 보장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지게차 포크(2)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1)에 있어서, 지게차의 포크(2)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3)이 형성되는 붐대(4)의 선단에는 작동공(5)을 형성하고, 작동공(5)의 내측으로는 고정판(6)을 회동가능하게 핀(7)으로 고정하여 일측면이 작동공(5)에 지지된 상태로 붐대(4)와 직각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하고, 결합공(3) 측의 붐대(4) 외주에는 붐대(4)에 고정된 유압실린더(9)에 의해 붐대(4)를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구(8)를 결합하되, 이동구(8)에는 고정판(6)과 마주보는 가압판(10)을 마련하여 유리판재 적재물(11)을 컨테이너(12)에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하거나 타 지역으로 이동할 시 유리판재 적재물(11)의 파손이나 작업자의 산업재해 위험 없이 신속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작업인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Clamping lift for freight of glass plate}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판재 적재물을 클램핑하여 컨테이너 등에 적재와 하역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안전성이 보장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유리판을 대량으로 운반할 경우 통상 컨테이너를 이용하게 된다. 즉 수 개의 유리판을 포개고 그 외측을 골판지 등으로 감싼 다음 목재 틀을 씌워 밴드로 밴딩한 유리판재 적재물을 만들어 컨테이너에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유리판재 적재물과 컨테이너의 내벽 또는 적재되는 유리판재 적재물의 중앙으로 적재 또는 하역할 시 컨테이너 내부에 작업자가 다닐 수 있도록 약 30cm 정도의 이동공간이 제공되도록 적재된다.(도 3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에 적재 및 하역을 하거나, 또는 제조 공장 등에서 창고 등에 이들을 보관하기 위해 주로 지게차를 이용하게 된다.
종래에 유리판재 적재물을 적재 및 하역하는 리프트로는 지게차 포크에 결합되는 붐대의 선단에 체인 결합공을 형성하여 유리판재 적재물을 감싼 체인(유리판재의 평면이 지면과 직각방향이 되게 세워지도록 함. 유리판재의 평면이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될 경우 유리판재의 자체 하중에 의해 파손됨.)을 걸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이와 같은 리프트를 이용하여 유리판재 적재물을 적재 및 하역하거나 이동하기 위해서는 체인으로 유리판재를 감싼 상태에서 유리판재 적재물의 양측에서 작업자가 지지봉 등을 이용하여 유리판재 적재물을 잡은 상태에서 당기거나 밀어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작업 인원에 비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유리판재 적재물 파손, 작업자의 안전성 결여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이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리프트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유리판재 적재물용 리프트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유리판재 적재물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잡을 수 있는 고정판과 가압판이 마련된 붐대를 지게차의 포크에 결합하여 유리판재 적재물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들어 올려 컨테이너에 적재 또는 하역하거나 타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리판재 적재물을 보다 안전하게 적재 및 하역, 이동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여 산업재해의 위험을 없앨 수 있으며, 작업능률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저가의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클램핑 리프트 2:포크
3:결합공 4:붐대
4a:경사형 안내면 5:작동공
6:고정판 6a,10a:논슬립돌기
7:핀 8:이동구
8a:결합구멍 9:유압실린더
10:가압판 10b:끼움편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클램핑 리프트(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의 포크(2)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3)이 형성되는 붐대(4)의 선단에는 작동공(5)을 형성하고, 작동공(5)의 내측으로는 붐대(4)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일측면이 작동공(5)에 지지되는 고정판(6)을 결합하여 핀(7)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결합공(3) 측의 붐대(4) 외주에는 이동구(8)를 결합하여 붐대(4)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유압실린더(9)와 결합구성하여 이동구(8)가 붐대(4)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이동구(8)에는 상기 고정판(6)과 마주보는 가압판(10)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마련하여 고정판(6)과 가압판(10) 사이에 유리판재 적재물(11)이 클램핑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붐대(4)의 선단에는 경사형 안내면(4a)을 양측으로 형성하여 유리판재 적재물(11)이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12)에 붐대(4)를 밀어 넣을 때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판(6)과 가압판(10)에는 유리판재 적재물(11)을 보다 확실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논슬립돌기(6a)(10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구(8)에 마련되는 가압판(10)은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이동구(8)의 양측으로 결합구멍(8a)을 돌출 형성하고, 가압판(10)에는 결합구멍(8a)에 결합되는 끼움편(10b)을 형성하여 고정판(6) 측에서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클램핑 리프트(1)는 유리판재 적재물(11)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컨테이너에 적재 또는 하역하거나 타 지역으로 이동할 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클램핑 리프트(1)를 이용하여 컨테이너(12)에 적재되어 있는 유리판재 적재물(11)을 하역하는 예를 통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통상 컨테이너(12)로 이동되는 유리판재 적재물(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또는 하역할 시 컨테이너(12) 내부에 작업자가 다닐 수 있도록 약 30cm 정도의 이동공간(P)이 제공되도록 적재되는 바, 본 고안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 1명이 이동공간(P)을 통해 컨테이너(12) 내부로 들어간 다음 지게차의 포커(2)에 결합한 붐대(4)의 선단에 마련된 고정판(6)을 회동시켜 작동공(5)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붐대(4)를 이동공간(P)에 삽입한다. 이때 붐대(4)의 선단 양측으로는 경사형 안내면(4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좁은 이동공간(P)에서도 용이하게 붐대(4)를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붐대(4)가 이동공간(P)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컨테이너(12)에 들어가 있는 작업자가 붐대(4) 선단의 고정판(6)을 붐대(4)와 직각방향으로 펼쳐주는 작업을 행한 후 유압실린더(9)를 작동시켜 가압판(10)이 마련된 이동구(8)를 당기게 되면 고정판(6)과 가압판(10) 사이에 유리판재 적재물(11)이 가압 상태로 클램핑되는 바, 이때 지게차 운전자가 포크(2)를 상측으로 조금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게차를 후진하게 되면 컨테이너(12)에 적재되어 있는 유지판재 적재물(11)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정판(6)과 가압판(10)에는 논슬립돌기(6a)(10a)가 형성되므로 유리판재 적재물(11)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유리판재 적재물(11)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6)의 경우 붐대(4)의 좌우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가압판(10)의 경우 이동구(8)의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12)에 유리판재 적재물(11)이 적재된 상태에 따라 이들의 방향을 바꾸어 작업하면 되는 것이다.
컨테이너(12)에 유리판재 적재물(11)을 적재하는 과정은 상기 하역하는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1)는 지게차 포크(2)에 결합되는 붐대(4)의 선단에 회동 가능한 고정판(6)을 마련하고, 이의 반대측 붐대(4)에는 유압실린더(9)에 의해 이동하며 양측으로 가압판(10)이 마련된 이동구(8)를 결합한 것으로, 본 고안을 이용할 경우 유리판재 적재물(11)을 컨테이너(12)에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하거나 타 지역으로 이동할 시 유리판재 적재물(11)의 파손이나 작업자의 산업재해 위험 없이 신속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작업인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그에 따른 경제성이 보장되는 등 그 효과가 다대한 실용성 있는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5)

  1. 지게차 포크(2)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1)에 있어서,
    지게차의 포크(2)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3)이 형성되는 붐대(4)의 선단에는 작동공(5)을 형성하고, 작동공(5)의 내측으로는 고정판(6)을 회동가능하게 핀(7)으로 고정하여 일측면이 작동공(5)에 지지된 상태로 붐대(4)와 직각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하고,
    상기 결합공(3) 측의 붐대(4) 외주에는 붐대(4)에 고정된 유압실린더(9)에 의해 붐대(4)를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구(8)를 결합하되,
    상기 이동구(8)에는 고정판(6)과 마주보는 가압판(10)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6)은 붐대(4)의 좌우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구(8)의 좌우측에 가압판(10)을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8)에 마련되는 가압판(10)은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이동구(8)의 양측으로 결합구멍(8a)을 돌출 형성하고, 가압판(10)에는 끼움편(10b)을 형성하여 고정판(6) 측에서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4. 제1항에서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6)과 가압판(10)에는 논슬립돌기(6a)(10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4)의 선단에는 경사형 안내면(4a)을 양측으로 형성하여 유리판재 적재물(11)이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12)에 붐대(4)를 밀어 넣을 때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KR20-2003-0008240U 2003-03-19 2003-03-19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KR200319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40U KR200319151Y1 (ko) 2003-03-19 2003-03-19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40U KR200319151Y1 (ko) 2003-03-19 2003-03-19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151Y1 true KR200319151Y1 (ko) 2003-07-04

Family

ID=4933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240U KR200319151Y1 (ko) 2003-03-19 2003-03-19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15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169B1 (ko) 2015-05-18 2016-09-26 김채모 유리판재 적재물용 지지대
KR20190136505A (ko) 2018-05-31 2019-12-10 김채모 받침수단이 구비된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KR20190141867A (ko) 2018-06-15 2019-12-26 김동규 크레인용 유리판재 적재물 클램핑 리프트
KR20230133453A (ko) 2022-03-11 2023-09-19 김동영 유리판재 적재물용 하역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169B1 (ko) 2015-05-18 2016-09-26 김채모 유리판재 적재물용 지지대
KR20190136505A (ko) 2018-05-31 2019-12-10 김채모 받침수단이 구비된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KR20190141867A (ko) 2018-06-15 2019-12-26 김동규 크레인용 유리판재 적재물 클램핑 리프트
KR20230133453A (ko) 2022-03-11 2023-09-19 김동영 유리판재 적재물용 하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1904B2 (ja) 産業用運搬車のための積載および積み下ろし装置
US20090261112A1 (en) Self-lifting/lowering transport container
CN101121492B (zh) 用于搬运板材的升降装卸车
US4331320A (en) Clamp lift truck
KR101367976B1 (ko)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KR102094913B1 (ko) 위험물 운반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200319151Y1 (ko)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US3966069A (en) Spreader for lifting containers
JP4664747B2 (ja) 搬送物搬送方法
KR101532774B1 (ko) 유리판재 적재물 하역장치
KR102074218B1 (ko) 크레인용 유리판재 적재물 클램핑 리프트
KR101923961B1 (ko) 벽돌 운반용 손수레
CN106365075A (zh) 一种装载机推夹器
KR20190136505A (ko) 받침수단이 구비된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KR20230133453A (ko) 유리판재 적재물용 하역장치
KR100881125B1 (ko) 리프트 장치
KR102526988B1 (ko) 지게차용 클램핑 장치, 및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지게차
CN215160241U (zh) 一种油桶装运工装
DE60127135D1 (de) Transporteinheit für steinwolleprodukte, insbesondere gestapelte steinwolleplatten
WO1997039968A1 (en) Pallet stacker
DK180335B1 (en) Lifting Apparatus
CN208683350U (zh) 聚丙烯酸丁酯原料存储装置
KR200396801Y1 (ko)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AU690123B2 (en) A handtruck parking device
JP4859704B2 (ja) 吊りフック用治具を用いた荷役車両及びその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