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105Y1 - 여닫이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105Y1
KR200319105Y1 KR20-2003-0012052U KR20030012052U KR200319105Y1 KR 200319105 Y1 KR200319105 Y1 KR 200319105Y1 KR 20030012052 U KR20030012052 U KR 20030012052U KR 200319105 Y1 KR200319105 Y1 KR 200319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rotating plate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20-2003-0012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5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ingle pivoted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여닫이문의 일측면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여닫이문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하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걸림장치구동축과 연결대고정축과 탄성체고정축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 구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장치와,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를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결대와, 상기 회전판의 탄성체고정축과 연결대의 고정돌기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판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로 되어 있는 조작부와,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될 경우 지면에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되, 완충스프링이 삽입되어 있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대와, 중간지지대와 나사결합되어 있어 지지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로 되어 있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이문 고정장치{Opening and closing gate stops}
본 고안은 각종 여닫이문의 일측면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여닫이문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판의 중심축에 고정 부착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하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걸림장치구동축과 연결대고정축과 탄성체고정축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 구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장치와, 일측 끝단이 연결대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체결되어 있으며 타측 끝단이 지지부의 상부캡과 힌지 결합되어 있어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를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결대와, 상기 회전판의 탄성체고정축과 연결대의 고정돌기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판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로 되어 있는 조작부와,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될 경우 지면에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되, 완충스프링이 삽입되어 있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대와, 중간지지대와 나사결합되어 있어 지지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로 되어 있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닫이문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문의 하부에 고정쇠(100)가 고정 결합되고, 지지대(110)가 상기 고정쇠(100)와 힌지결합되어 있되 지지대(110)의 상단부에는 걸림단(1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지지고무(112)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지지대(110)가 상기 고정쇠(100)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여닫이문이 닫히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문을 닫을 때에는 상기 고정쇠(100)를 힌지축으로 하여 지지대(110)를 인위적으로 위쪽방향으로 일정 각도이상 회전시키게 되면 지지대(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단(111)에 의해 지지대(110)가 더 이상 아래로 내려오지 않게 되어 문이 닫히게 되고, 문을 열어 놓은 상태로 유지할 때에는 지지대(110)를 인위적으로 아래방향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지지대(110)의 하단에 설치된 지지고무(112)가 지면과 마찰 접촉하여 여닫이문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장치는 문을 닫기 위해 지지대(110)를 위쪽방향으로 젖혀 올릴 경우 보통 발을 지지대(110)에 걸어 들어 올리게 되는데, 지지대(110)와 문 사이의 공간이 좁을 뿐만 아니라 문이 닫히려는 힘에 의해 지지부(110)와 문 사이의 공간이 더욱 좁아져 발을 이용하여 지지대(110)를 들어 올리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손을 사용하여 들어 올릴 경우에도 몸을 구부려야 하는 불편이 있고 지지대(110) 하부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비위생적인 문제가 따르게 된다. 또한, 지지대(110)가 바닥에 지지되어 문이 열여진 상태에서는 보행자의 발에 지지대(110)가 쉽게 걸려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도 간편하게 여닫이문의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여닫이문을 열린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여닫이문을 닫을 수 있고, 여닫이문 하단면과 지면사이에 거리가 먼 경우에도 지지부의 하부지지대를 조절하여 길이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지지대에 삽입된 완충스프링에 의해 지지부를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판의 중심축에 고정 부착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하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걸림장치구동축과 연결대고정축과 탄성체고정축이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 구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장치와, 일측 끝단이 연결대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고정 체결되어 있으며 타측 끝단이 지지부의 상부캡과 힌지 결합되어 있어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를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결대와, 상기 회전판의 탄성체고정축과 연결대의 고정돌기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판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로 되어 있는 조작부와, 상기 연결대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될 경우 지면에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되, 완충스프링이 삽입되어 있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대와, 중간지지대와 나사결합되어 있어 지지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로 되어 있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가 여닫이문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조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를 조작하여 여닫이문을 고정하는 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를 조작하여 여닫이문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 고정장치 중 걸림장치가 없는 여닫이문 고정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종래의 여닫이문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여닫이문 고정장치 2. 여닫이문
3. 조작부 4. 고정부
5. 손잡이 6. 회전판
7. 걸림장치 8. 연결대
9. 탄성체 10. 중심축
11. 탄성체고정축 12. 걸림장치구동축
13. 연결대고정축 14. 구동편
15. 걸림쇠 16. 걸림쇠고정부재
17a, 17b. 스프링 18. 장공
19a, 19b. 스프링체결공 20. 안내공
21a, 21b. 스프링고정구 22. 고정돌기
23. 지지부 24a, 24b. 고정부재
25. 상부지지대 26. 중간지지대
27. 하부지지대 28. 완충스프링
29. 고정너트 30. 상부캡
31. 걸림턱 32. 걸림돌기
33. 숫나사부 34. 암나사부
35. 고무패킹 36a, 36b. 관통공
100. 고정쇠 110. 지지대
111. 걸림단 112. 지지고무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여닫이문 고정장치(1)는 철재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되어 있으며 각종 여닫이문(2)의 일측면 또는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여닫이문(2)을 지면에 고정하는 장치로서,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면서 고정부(4)의 지지부(23)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조작부(3)와, 상기 조작부(3)에 의해 지지부(23)가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되면서 지면에 고정 지지되어 여닫이문(2)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부(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3)는 도 1, 2,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와 회전판(6)과 걸림장치(7)와 연결대(8)와 탄성체(9)로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는 여닫이문(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서 회전판(6)의 중심축(10)과 일체로 고정 부착되어 있어 손잡이(5)의 상하회전에 의해 회전판(6)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5)는 여닫이문(2)의 양쪽면 모두에 구비되도록 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여닫이문(2)의 한쪽면에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6)은 얇은 원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중심축(10)이 손잡이(5)와 일체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탄성체고정축(11)과 걸림장치구동축(12)과 연결대고정축(13)이 회전판(6)에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되, 상기 걸림장치구동축(12)은 손잡이(5)가 좌측을 향한 상태에서 회전판(6)의 중심축(10)에 12시방향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걸림장치(7)의 구동편(14)에 형성된 장공(18)에 삽입되어 있어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걸림장치(7)의 걸림쇠(15)를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고정축(13)은 손잡이(5)가 좌측을 향한 상태의 회전판(6)에서 중심축(10)에 3시방향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대(8)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있어 연결대(8)가 이 연결대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고정축(11)은 손잡이(5)가 좌측을 향한 상태의 회전판(6)에서 중심축(10)에 9시방향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대(8)의 고정돌기(22)에 일측 끝단이 연결된 탄성체(9)의 타측 끝단을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연결대고정축(13)과 탄성체고정축(11)은 그 위치를 서로 바꾸어 회전판(6)에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장치(7)는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구동편(14)과 걸림쇠(15)와 걸림쇠고정부재(16)와스프링(17a)(17b)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편(14)은 횡방향으로 긴 장공(18)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 장공(18)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장치구동축(12)이 삽입되어 있고, 구동편(14)의 일측 끝단은 걸림쇠(15)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스프링체결공(19a)(19b)이 구동편(14)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천공되어 있어 스프링(17a)(17b)의 일측 끝단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공(18)에 삽입된 걸림장치구동축(12)은 회전판(6)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 장공(18)을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걸림쇠(15)는 움직이지 않고 걸림쇠(15)와 힌지결합된 구동편(14)만 아래방향으로 내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쇠(15)는 얇은 원기둥형 또는 막대형으로 되어 있으며 여닫이문(2)의 개폐시 여닫이문(2)이 문틀에 고정되도록 하여 여닫이문(2)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으로 구동편(14)과 연설되어 있고 걸림쇠고정부재(16)에 형성된 안내공(20)에 내삽되어 있어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걸림장치구동축(12)이 구동편(14)에 형성된 장공(18)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쇠(15)가 안내공(20)에 내삽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쇠고정부재(16)는 여닫이문(2)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안내공(20)이 천공되어 있어 이 안내공(20)에 걸림쇠(15)가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각각 스프링고정구(21a)(21b)가 형성되어 있어 구동편(14)에 형성된 스프링체결공(19a)(19b)과 상기 스프링고정구(21a)(21b) 사이에 스프링(17a)(17b)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걸림장치(7)에는 통상의 자물쇠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걸림장치(7)만으로도 여닫이문(2)이 잠겨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7a)(17b)은 상기 구동편(14)에 형성된 스프링체결공(19a)(19b)과 상기 걸림쇠고정부재(16)에 형성된 스프링고정구(21a)(21b) 사이에 장착되며, 이 스프링(17a)(17b)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쇠고정부재(16)의 안내공(20)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걸림쇠(15)가 항상 일정한 위치로 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8)는 긴 막대형의 부재로서 일측 끝단이 회전판(6)의 연결대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타측 끝단이 지지부(23)의 상부캡(30)과 힌지 결합되어 있어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23)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 연결대(8)의 가운데 부분에는 고정돌기(22)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판(6)의 탄성체고정축(11)과 상기 고정돌기(22) 사이에 탄성체(9)가 연설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9)는 통상의 스프링 등의 부재로서 회전판(6)의 탄성체고정축(11)과 연결대(8)의 고정돌기(22)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판(6)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일정한 탄성력이 회전판(6)과 연결대(8) 사이에 지속적으로 작용되도록 하여 회전판(6)과 연결대(8)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3)에서 걸림장치(7)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로 하여 여닫이문 고정장치(1')를 제작할 수 도 있다.
상기 고정부(4)는 도 1,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3)와 다수개의 고정부재(24a)(24b)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3)는 회전판(6)의 중심축(10)과 일직선상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연결대(8)의 하단부와 지지부(23)의 상부캡(30)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8)가 수직방향으로 고정될 경우 지면에 밀착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상부지지대(25)와 중간지지대(26)와 하부지지대(27)와 완충스프링(28)과 고정너트(29)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25)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상부에는 연결대(8)의 하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부캡(30)이 나사결합되어 있고, 하단부 내측에는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지지대(25)의 위쪽 구멍에서 부터 내부에 삽입되는 중간지지대(26)의 걸림돌기(32)가 상기 걸림턱(31)에 걸리도록 되어 있으며, 내삽된 중간지지대(26)의 상부에는 완충스프링(28)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간지지대(26)는 긴 볼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지지대(25)에 삽입되어 상부지지대(25)의 하단부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31)에 걸리도록 상부에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숫나사부(33)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하부지지대(27)의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부(34)와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27)는 상부에 암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어 중간지지대(26)와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 하부지지대(27)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지지부(23)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 지면과 지지부(23)가 알맞은 거리로 위치되도록 하여 여닫이문(2)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고무패킹(35)이 고정 부착되어 있어 지면과 마찰 접촉되면서 미끄러지지 않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완충스프링(28)은 상부지지대(25)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지지대(25)의 상부에 나사결합된 상부캡(30)과 상부지지대(25)의 하부에 내삽된 중간지지대(26)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하는 지지부(23)가 이 완충스프링(28)에 의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여닫이문(2)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면이 평평하게 고르지 않은 장소에서도 완충스프링(28)의 완충작용에 의해 여닫이문(2)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29)는 중간지지대(26)의 숫나사부(33)에 삽입 체결되어 있어 이 고정너트(29)를 조여줌으로써 하부지지대(27)의 상단면과 밀착되면서 하부지지대(27)가 흔들리지 않고 단단히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4a)(24b)는 여닫이문(2)에 고정 부착되어 상부지지대(25)와하부지지대(27)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으로서, 관통공(36a)(36b)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36a)(36b)에 상부지지대(25)와 하부지지대(27)가 각각 삽입되어 회전판(6)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4a)(24b)는 한개 또는 두개 이상을 여닫이문(2)에 설치함으로써 지지부(23)가 상하방향으로 안정되게 왕복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려져 있는 여닫이문(2)을 지면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좌측에 놓여져 있는 조작부(3)의 손잡이(5)를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면 회전판(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6)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탄성체고정축(11)과 걸림장치구동축(12)과 연결대고정축(13)이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걸림장치구동축(12)은 구동편(14)에 형성된 장공(18)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걸림쇠(15)는 움직이지 않고 구동편(14)만 아래쪽으로 내리게 되고, 상기 연결대고정축(13)은 회전판(6)의 하부쪽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연결대(8)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리게 되어 지지부(23)도 아래쪽 방향으로 수직이동하게 되며, 상기 탄성체고정축(11)은 상부쪽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탄성체(9)가 점점 늘어나게 되어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고정축(13)이 회전판(6)의 중심축(10)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연결대(8)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이 때 지지부(23)가 최대한 지면과 밀착되어 여닫이문(2)을 지면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23)는 상부지지대(25)에 내삽된 완충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완충스프링(28)이 하부의 중간지지대(26)를 하방으로 강하게 밀게 되고 중간지지대(26)와 나사결합된 하부지지대(27)가 지면에 단단히 밀착 접촉하게 되어 여닫이문(2)을 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면에 고정된 여닫이문(2)을 닫을 때에는 손잡이(5)를 아래쪽으로 약간만 힘을 주어 내리게 되면 회전판(6)의 탄성체고정축(11)과 연결대(8)의 고정돌기(22) 사이에 구비되어 늘어난 탄성체(9)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판(6)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손잡이(5)가 다시 수평방향의 좌측으로 위치하게 되고 걸림장치구동축(12)은 회전판(6)에서 중심축(10)의 12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며, 연결대고정축(13)은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어 회전판(6)에서 중심축(10)의 3시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지면과 단단히 밀착 접촉하고 있는 지지부(23)도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지면과 이탈되어 여닫이문(2)이 고정된 상태에서 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으로 놓여진 손잡이(5)를 다시 아래쪽으로 내리게 되면 회전판(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탄성체고정축(11)과 걸림장치구동축(12)과 연결대고정축(13)도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를 아래쪽으로 지속적으로 내리게 되면걸림장치구동축(12)이 구동편(14)을 반시계방향(좌측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구동편(14)과 힌지결합된 걸림쇠(15)가 걸림장치고정부(4)의 안내공(20)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며 구동편(14)과 걸림쇠고정부재(16)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17a)(17b)이 늘어나게 되고, 연결대고정축(13)은 상부로 위치하게 되어 연결대(8) 하단부에 연설된 지지부(23)도 수직방향으로 더욱 상승하게 되어 문틀에 걸리지 않게 되어 여닫이문(2)을 닫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탄성체고정축(11)과 연결대고정돌기(22)사이에 구비된 탄성체(9)는 늘어나지 않아 탄성력이 작용되지 않고 상기 스프링(17a)(17b)만이 늘어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여닫이문(2)을 닫은 후 손잡이(5)를 놓게 되면 구동편(14)의 스프링체결공(19a)(19b)과 걸림쇠고정부재(16)의 스프링고정구(21a)(21b) 사이의 늘어난 스프링(17a)(17b)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판(6)이 원상태로 다시 복원되면서 손잡이(5)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되고 걸림장치구동축(12)은 수직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도 간편하게 여닫이문의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여닫이문을 열린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여닫이문을 닫을 수 있고, 여닫이문 하단면과 지면사이에 거리가 먼 경우에도 지지부의 하부지지대를 조절하여 길이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지지대에 삽입된 완충스프링에 의해 지면이 평평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지지부를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여닫이문을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판(6)의 중심축(10)에 일체로 고정 부착된 손잡이(5)와, 이 손잡이(5)의 상하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걸림장치구동축(12)과 연결대고정축(13)과 탄성체고정축(11)이 돌출 형성된 회전판(6)과, 상기 회전판(6)의 회전 구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장치(7)와, 일측 끝단이 연결대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고정 체결되어 있으며 타측 끝단이 지지부(23)의 상부캡(30)과 힌지 결합되어 있어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23)를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결대(8)와, 상기 회전판(6)의 탄성체고정축(11)과 연결대(8)의 고정돌기(22)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 회동되는 회전판(6)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9)로 되어 있는 조작부(3)와, 상기 연결대(8)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8)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될 경우 지면에 밀착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되, 완충스프링(28)이 삽입되어 있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대(25)와, 중간지지대(26)와 나사결합되어 있어 지지부(23)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지지대(27)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23)와, 상기 지지부(23)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24a)(24b)로 되어 있는 고정부(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6)은 얇은 원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중심축(10)이 손잡이(5)와 일체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장치구동축(12)은 회전판(6)의 중심축(10)에 12시방향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걸림장치(7)의 구동편(14)에 형성된 장공(18)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고정축(13)은 회전판(6)의 중심축(10)에 3시방향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대(8)의 일측 끝단이 연설되어 있어 연결대(8)가 이 연결대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고정축(11)은 회전판(6)의 중심축(10)에 9시방향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7)는 구동편(14)과 걸림쇠(15)와 걸림쇠고정부재(16)와 스프링(17a)(17b)으로 되어 있고, 상기 구동편(14)은 횡방향으로 긴 장공(18)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 장공(18)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장치구동축(12)이 삽입되어 있고 구동편(14)의 일측 끝단은 걸림쇠(15)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스프링체결공(19a)(19b)이 구동편(14)의 상하부에 각각 천공되어 있어 이 스프링체결공(19a)(19b)과 걸림쇠고정부재(16)의 스프링고정구(21a)(21b) 사이에 스프링(17a)(17b)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림쇠(15)는 원기둥형 또는 막대형으로 되어 있으며 여닫이문(2)에 고정 부착된 걸림쇠고정부재(16)의 가운데 부분에 천공된 안내공(20)에 내삽되어 있어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걸림장치구동축(12)이 구동편(14)에 형성된 장공(18)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쇠(15)가 안내공(20)에 내삽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의 상부지지대(25)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상부에는 연결대(8)의 하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부캡(30)이 나사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완충스프링(28)이 삽입되어 있으며 하단부 내측에는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있어 내삽되는 중간지지대(26)의 걸림돌기(32)가 상기 걸림턱(31)에 걸리도록 되어 있고, 중간지지대(26)는 긴 볼트형상으로 상부에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숫나사부(33)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지지대(27)는 상부에 암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간지지대(26)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고무패킹(35)이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5. 여닫이문을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판(6)의 중심축(10)에 일체로 고정 부착된 손잡이(5)와, 상기 손잡이(5)의 상하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연결대고정축(13)과 탄성체고정축(11)이 돌출 형성된 회전판(6)과, 일측 끝단이 연결대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고정 체결되어 있으며 타측끝단이 지지부(23)의 상부캡(30)과 힌지 결합되어 있어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23)를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연결대(8)와, 상기 회전판(6)의 탄성체고정축(11)과 연결대(8)의 고정돌기(22) 사이에 장착되어 있어 회동되는 회전판(6)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9)로 되어 있는 조작부(3)와, 상기 연결대(8)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수직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8)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될 경우 지면에 밀착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되, 완충스프링(28)이 삽입되어 있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상부지지대(25)와, 중간지지대(26)와 나사결합되어 있어 지지부(23)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하부지지대(27)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23)와, 상기 지지부(23)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24a)(24b)로 되어 있는 고정부(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KR20-2003-0012052U 2003-04-18 2003-04-18 여닫이문 고정장치 KR200319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052U KR200319105Y1 (ko) 2003-04-18 2003-04-18 여닫이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052U KR200319105Y1 (ko) 2003-04-18 2003-04-18 여닫이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105Y1 true KR200319105Y1 (ko) 2003-07-07

Family

ID=4941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052U KR200319105Y1 (ko) 2003-04-18 2003-04-18 여닫이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1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97Y1 (ko) 2011-06-07 2011-08-08 이언정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101474307B1 (ko) * 2013-08-26 2014-12-19 주식회사 종근당 도어 스토퍼
IT202100028583A1 (it) * 2021-11-10 2023-05-10 Annio Viggiani Serratura con funzione fermapor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97Y1 (ko) 2011-06-07 2011-08-08 이언정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101474307B1 (ko) * 2013-08-26 2014-12-19 주식회사 종근당 도어 스토퍼
IT202100028583A1 (it) * 2021-11-10 2023-05-10 Annio Viggiani Serratura con funzione fermapor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3483B2 (ja) 旋回可能に保持された仕切り要素の変位装置及び家具製品
EP1640537B1 (en) Device for stopping with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sliding doors and shutters
KR200319105Y1 (ko) 여닫이문 고정장치
JP2000008699A (ja) 横軸回転窓のクッション装置
US5284371A (en) Sliding door lock
US3428999A (en) Sliding door hardware
WO1994009236A1 (en) Sliding door lock
KR200325011Y1 (ko)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KR20060133392A (ko) 풀오픈 도어시스템
JP3371287B2 (ja) ドア用フリ−ストッパ−装置
US5542216A (en) Sliding door closing device
KR200237593Y1 (ko)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구동장치
JPH07217346A (ja) 門扉の開閉駆動機構
WO2021049959A1 (en) A device to move a door leaf with one&#39;s foot.
KR200142603Y1 (ko) 이동식 절첩문의 상부 슬라이드 롤러
KR101831988B1 (ko) 도어 스토퍼
KR200384211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JP2003314138A (ja) 引戸の制動装置
KR200373197Y1 (ko) 여닫이문 고정용 금구
JP3079083U (ja) 窓装置
JP2500076Y2 (ja) 戸当り装置
CN201003334Y (zh) 自动推窗锁
JPH0414623Y2 (ko)
JPH0421417Y2 (ko)
JPH071486Y2 (ja) スイングドア用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