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999Y1 - 곡물 착유기 - Google Patents

곡물 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999Y1
KR200318999Y1 KR20-2003-0012008U KR20030012008U KR200318999Y1 KR 200318999 Y1 KR200318999 Y1 KR 200318999Y1 KR 20030012008 U KR20030012008 U KR 20030012008U KR 200318999 Y1 KR200318999 Y1 KR 200318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ing
grain
ring body
fix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종원
Original Assignee
남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원 filed Critical 남종원
Priority to KR20-2003-0012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30B9/062Extrusio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C11B1/08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by hot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투입이 용이하고, 착유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장기간 사용후에도 압력 및 열에 의해 기름유출슬롯의 변형을 방지하여 착유물찌꺼기가 착유부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착유된 기름의 추가적인 여과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이로 인해 기름유출슬롯 주위에 착유물찌꺼기가 쌓이지도 않음으로써 착유부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보수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는 통상의 곡물 착유기에 있어서, 외면에 다수의 요홈(101)이 중간높이부터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요홈(101) 마다 기름유출슬롯(102)이 형성된 착유통(103), 상기 착유통(103)의 기름유출슬롯(102)이 있는 부분을 감싸서 고정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링체(104), 상기 하부링체(104)의 상부에 고정되고 전열히터(105)가 내장되어 있으며 손잡이(106)가 구성된 중간링체(107), 상기 중간링체(107)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링체(108)로 이루어진 착유부(100); 상기 착유통(103)의 내부에 투입되는 곡물의 사이마다 얹혀지는 것으로서 하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착유안내홈(201)이 형성된 상판(202)과 상기 상판(202)의 착유안내홈(201)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착유유입공(203)이 형성된 하판(204)이 접착고정되어 투입되는 곡물의 상면에 얹혀지는 제 1착유배출판(200),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착유유입장공(211)이 형성된 상판(212)과 상기 상판(212)의 착유유입장공(211)에대응되는 다수개의 착유안내홈(213)이 형성된 하판(214)이 접착고정되어 투입되는 곡물의 사이마다 얹혀지는 한 개 이상의 제 2착유배출판(210)으로 이루어진 착유배출수단; 하단부에 전열히터(111a)가 내삽되어지고, 상기 착유부(100)의 착유통(103)에 삽입되어 착유통(103)의 상하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착유통(103)내의 곡물이 가압될 때 곡물을 받치는 고정부(111)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네 개의 지지대(11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덮개(110); 상기 착유부(100)가 놓여지는 것으로서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착유안내홈(121), 상기 착유안내홈(121)을 따라 안내되는 기름이 유출되는 기름유출통로(122) 및 내부에 전열히터(124)가 설치되어 있고 착유후 착유물찌꺼기를 제거하고 새로운 곡물을 투입을 위하여 상기 착유부(100)를 상기 덮개(110)의 고정부(111)로부터 횡방향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이탈부(123)로 이루어진 받침대(120); 그리고 상기 착유부(100) 및 받침대(12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곡물 착유기{The oil expression machine}
본 고안은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투입이 용이하고, 착유효율을 극대화시키며, 장기간 사용후에도 압력 및 열에 의해 기름유출슬롯의 변형을 방지하여 착유물찌꺼기가 착유부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착유된 기름에서 착유물찌꺼기를 여과하는 추가적인 여과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이로 인해 기름유출슬롯 주위에 착유물찌꺼기가 쌓이지도 않음으로써 착유부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보수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곡물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유기는 참깨나 들깨와 같은 곡물을 일정한 크기의 용기에 넣고 용기 외면을 가열하면서 압착시켜 곡물에 포함된 기름을 짜는 장치로서, 도 1은 종래의 곡물 착유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에 세워진 두 개의 지지대(2), 일측 지지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3), 상기 덮개(3)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이 관통되며 양단부가 두 개의 지지대(2)에 고정설치된 착유부상판(4), 곡물의 투입을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서, 양 지지대(2)의 상단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깔때기(5), 상기 착유부 상판(4)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름유출슬롯이 형성된 요홈(6)이 외면의 상단부터 중간높이까지 형성되고, 주위에 두 개의 전열히터(7)가 설치된 착유부(8), 상기 착유부(8)의 외면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모이는 환형의 기름수집부(9), 상기 착유부(8)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11)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10은 기름수납통이고, 12는 작동레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곡물 착유기를 이용하여 곡물을 착유하고자 할 경우, 먼저 덮개(3)를 일측 지지대(2)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여 착유부상판(4)을 개방한 후, 양 지지대(2)의 상단 측면에 깔때기(5)를 안착시킨 후에 일정량의 곡물을 깔때기(5)를 통하여 투입하면 투입되는 곡물은 착유부상판(4)을 통하여 착유부(8)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일정량의 곡물을 투입한 후에 깔때기(5)를 제거한 후, 덮개(3)를 회동시켜 착유부상판(4)을 밀폐시킨 후에 작동레버(12)를 조작하여 곡물착유기를 구동하면 유압실린더(11)내에 설치된 피스톤이 유압에 의해 상승되면서 착유부(8) 내에 수납된 곡물을 가압함으로써 곡물이 압착되어 기름이 추출된다.
이때 착유부(8)의 주위에는 두 개의 전열히터(7)가 설치되어 있어 고온으로 착유부(8)의 표면을 가열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기름이 추출되도록 한다. 추출되는 기름은 착유부(8)의 측면에 형성된 기름유출슬롯을 통하여 착유부(8)의 외부의 요홈(6)을 따라 유동한 후, 착유부(8)의 하면으로 흘러 기름수집부(9)로 모이며, 모여진 기름은 기름수납통(10)에 수납되는 과정을 통하여 곡물이 착유된다.
여기서 기름유출슬롯의 폭은 착유되는 기름이 외부로 유출 시, 착유물찌꺼기가 함께 유출되지 않도록 0.5㎜ ∼ 1㎜ 정도로 가늘게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곡물 착유기는 통상적으로 2.5m 정도의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된 덮개의 개방, 깔때기의 부착 및 곡물 투입 등의 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열히터는 착유부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대류에 의해 열이 전달되기 때문에 전달되는 열의 효율이 반감되어 착유시간이 길어지고, 더욱이 압착에 의해 짜여지는 기름이 외부로 모두 유출되지 못하여 압착에 의해 덩어리화 된 착유물찌꺼기에 잔존하여 착유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유부의 주위에 설치된 전열히터에서는 착유부의 내부에 수납된 곡물의 압착 시, 고온의 열이 방출되기 때문에 일정기간 사용 시 방출되는 열 및 압력에 의해 금속재질인 착유부의 요홈이 뒤틀려짐에 의해 발생하는 기름유출슬롯의 변형을 야기시켜 기름유출슬롯을 통하여 착유물찌꺼기도 함께 유출됨으로써 짜여진 기름에 포함된 착유물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한번 더 필터에 여과해야 하며, 또한유출되는 찌꺼기가 기름유출슬롯을 막음으로써 짜여진 기름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는 폐단을 야기하기 때문에 일정기간 마다 착유부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유부를 횡방향으로 이탈하도록 제작하여 착유부 내로 직접 곡물을 투입할 수 있어 곡물의 투입이 용이하고, 각각의 전열히터를 착유되는 곡물과 맞닿는 부분에 내설하여 발생하는 열이 전도에 의해 전달되게 함으로써 착유시간의 단축 및 착유되는 기름도 착유통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얹혀진 착유배출수단에 의해 온전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착유효율을 향상시키며, 장기간 사용후에도 압력 및 열에 의해 착유부의 요홈이 뒤틀어지지 않도록 착유부의 외면을 다수의 링체와 용접고정시킴으로써 기름유출슬롯의 변형을 방지하여 착유물찌꺼기가 착유부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착유된 기름의 추가적인 여과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기름유출슬롯 주위에 착유물찌꺼기가 쌓이지도 않음으로써 착유부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보수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곡물 착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는 통상의 곡물 착유기에 있어서, 외면에 다수의 요홈이 중간높이부터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요홈 마다 기름유출슬롯이 형성된 착유통, 상기 착유통의 기름유출슬롯이 있는 부분을 감싸서 고정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링체, 상기 하부링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전열히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손잡이가 구성된 중간링체, 상기 중간링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링체로 이루어진 착유부; 상기 착유통의 내부에 투입되는 곡물의 사이마다 얹혀지는 것으로서 하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착유안내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착유안내홈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착유유입공이 형성된 하판이 접착고정되어 투입되는 곡물의 상면에 얹혀지는 제 1착유배출판,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착유유입장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착유유입장공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착유안내홈이 형성된 하판이 접착고정되어 투입되는 곡물의 사이마다 얹혀지는 한 개 이상의 제 2착유배출판으로 이루어진 착유배출수단; 하단부에 전열히터가 내삽되어지고, 상기 착유부의 착유통에 삽입되어 착유통의 상하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착유통 내의 곡물이 가압될 때 곡물을 받치는 고정부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네 개의 지지대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덮개; 상기 착유부가 놓여지는 것으로서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착유안내홈, 상기 착유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기름이 유출되는 기름유출통로 및 내부에 전열히터가 설치되어 있고 착유후 착유물찌꺼기를 제거하고 새로운 곡물을 투입을 위하여 상기 착유부를 상기 덮개의 고정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이탈부로 이루어진 받침대; 그리고 상기 착유부 및 받침대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착유부의 횡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유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안내돌기부, 상기 안내돌기부와 맞물려서 착유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보조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착유통과 하부링체, 중간링체 및 상부링체와의 고정은 각 링체간에 적층되어 맞닿는 부분 및 각 링체의 상면내측과 맞닿는 착유통의 외면 부분을 각각 용접하여 고정한다. 즉, 하부링체 내에 착유통을 인입한 후에 하부링체의 상면내측과 맞닿는 착유통의 외면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 후, 중간링체를 착유통에 씌워 하부링체의 상면에 적층한 후에 적층되어 맞닿은 하부링체와 중간링체의 외면 부분을 용합하여 고정한 후, 다시 상부링체를 씌워 이전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도 1은 종래의 곡물 착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의 구성요소인 착유부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를 이용하여 곡물에서 기름이 추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에서 착유부를 횡방향으로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의 착유통에 얹혀지는 착유배출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착유부 101 : 요홈
102 : 기름유출슬롯 103 : 착유통
104 : 하부링체 105,111a,124 : 전열히터
105a : 전열히터용 배선 106 : 손잡이
107 : 중간링체 108 : 상부링체
110 : 덮개 111 : 고정부
112 : 지지대 120 : 받침대
121,201,213 : 착유안내홈 122 : 기름유출통로
123 : 이탈부 130 : 유압실린더
140 : 안내돌기부 150 : 지지부
151 : 안내레일 160 : 보조유압실린더
170 : 고정돌기 180 : 기름수집부
190 : 착유물찌꺼기 200 : 제 1착유배출판
202,212 : 상판 203 : 착유유입공
204,214 : 하판 210 : 제 2착유배출판
211 : 착유유입장공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의 구성요소인 착유부의 분해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를 이용하여 곡물에서 기름이 추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에서 착유부를 횡방향으로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의 착유통에 얹혀지는 착유배출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는 통상의 곡물 착유기에 있어서, 외면에 다수의 요홈(101)이 중간높이부터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요홈(101) 마다 기름유출슬롯(102)이 형성된 착유통(103), 상기 착유통(103)의 기름유출슬롯(102)이 있는 부분을 감싸서 고정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고정되는하부링체(104), 상기 하부링체(104)의 상부에 고정되고 전열히터(105)가 내장되어 있으며 손잡이(106)가 구성된 중간링체(107), 상기 중간링체(107)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링체(108)로 이루어진 착유부(100); 상기 착유통(103)의 내부에 투입되는 곡물의 사이마다 얹혀지는 것으로서 하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착유안내홈(201)이 형성된 상판(202)과 상기 상판(202)의 착유안내홈(201)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착유유입공(203)이 형성된 하판(204)이 접착고정되어 투입되는 곡물의 상면에 얹혀지는 제 1착유배출판(200),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착유유입장공(211)이 형성된 상판(212)과 상기 상판(212)의 착유유입장공(211)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착유안내홈(213)이 형성된 하판(214)이 접착고정되어 투입되는 곡물의 사이마다 얹혀지는 한 개 이상의 제 2착유배출판(210)으로 이루어진 착유배출수단; 하단부에 전열히터(111a)가 내삽되어지고, 상기 착유부(100)의 착유통(103)에 삽입되어 착유통(103)의 상하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착유통(103)내의 곡물이 가압될 때 곡물을 받치는 고정부(111)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네 개의 지지대(11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덮개(110); 상기 착유부(100)가 놓여지는 것으로서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착유안내홈(121), 상기 착유안내홈(121)을 따라 안내되는 기름이 유출되는 기름유출통로(122) 및 내부에 전열히터(124)가 설치되어 있고 착유후 착유물찌꺼기를 제거하고 새로운 곡물을 투입을 위하여 상기 착유부(100)를 상기 덮개(110)의 고정부(111)로부터 횡방향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이탈부(123)로 이루어진 받침대(120); 그리고 상기 착유부(100) 및 받침대(12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착유부(100)의 횡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유부(1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안내돌기부(140), 상기 안내돌기부(140)와 맞물려서 착유부(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151), 상기 안내레일(151)을 지지하는 지지부(150), 상기 지지부(150)를 승강시키는 보조유압실린더(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착유통(103)과 하부링체(104), 중간링체(107) 및 상부링체(108)와의 고정은 각 링체간에 적층되어 맞닿는 부분 및 각 링체의 상면내측과 맞닿는 착유통(103)의 외면 부분을 각각 용접하여 고정한다. 즉, 하부링체(104) 내에 착유통(103)을 인입한 후에 하부링체(104)의 상면내측과 맞닿는 착유통(103)의 외면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한 후, 중간링체(107)를 착유통(103)에 씌워 하부링체(104)의 상면에 적층한 후에 적층되어 맞닿은 하부링체(104)와 중간링체(107)의 외면 부분을 용합하여 고정한 후, 다시 상부링체(108)를 씌워 이전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받침대(120) 상면의 후방에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착유부(100)가 받침대(12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고정돌기(170)를 설치하되, 고정돌기(170) 및 상기 받침대(120) 상면의 후방에 형성되는 체결홈 간에는 각각 나사홈을 형성한다.
미설명부호 105a는 전열히터용 배선이고, 180은 기름수집부이이며, 190은 착유물찌꺼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곡물 착유기를 이용하여 곡물을 착유하고자 할 경우, 먼저받침대(120)의 상부에 위치한 착유부(100)를 이탈부(123) 상에 위치되도록 착유통(103)에 설치된 손잡이(106)를 잡고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착유부의 재질은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자중이 크기 때문에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착유통(103)의 양측면에는 안내돌기부(14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안내돌기부(140)와 맞물리는 안내레일(151)이 측면에 고정설치된 지지부(150)가 보조유압실린더(160) 상에 설치되어 있어 착유부(100)가 이탈부(123)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 착유부(100)에 설치된 안내돌기부(140)가 안내레일(151)에 의해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착유부(100)의 이탈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착유부(100)를 이탈부(123)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정량의 곡물을 착유부(100) 내부로 투입한다. 이때 곡물이 투입되는 착유부(100) 상단까지의 높이는 대략 1.4m 정도여서 곡물의 투입이 용이하다.
또한 착유통(103)의 내부에 투입되는 곡물의 사이사이에는 착유효율이 향상되도록 착유배출수단을 얹는다. 즉, 최초 소정량의 곡물을 착유통(103) 내부에 부은 후 그 위에 첫 번째 제 2착유배출판(210)을 얹고, 다시 소정량의 곡물을 얹혀진 제 2착유배출판(210) 상에 부은 후 두 번째 제 2착유배출판(210) 상에 얹고, 다시 소정량의 곡물을 얹혀진 제 2착유배출판(210) 상에 부은 후 마지막으로 제 1착유배출판(200)을 얹혀 놓는다.
이와 같이 투입되는 곡물 사이사이에 착유배출수단을 얹은 후, 다시 손잡이(106)를 잡고 착유부(100)를 받침대(120) 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받침대(120) 상면의 후방에는 고정돌기(170)가 설치되어 있어 착유부(100)의 저면이 정확하게 기름유출통로 상에 위치가 되도록 한 후, 작동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곡물 착유기를 구동하면 유압실린더(130)내에 설치된 피스톤이 유압에 의해 착유부(100)는 덮개(110)의 고정부(111)를 감싸안으면서 상향이동되어 고정부(111)와 착유부(100)의 바닥면 사이에 있는 곡물을 압착하여 기름을 짠다.
이때 제 1착유배출판(200)과 맞닿아 있는 고정부(111)의 하단부, 착유부(100)의 일구성요소인 중간링체(107)의 내부 및 곡물이 투입된 착유부(100)와 맞닿아 있는 받침대(120)의 내부에 전열히터(111a,105,124)가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이 열전도에 의해 직접 착유되는 곡물에 전달되어 착유시간을 단축시키고, 또한 착유되는 기름도 착유통(103)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얹혀진 착유배출수단인 여러개의 제 1착유배출판(200) 및 제 2착유배출판(210)에 형성된 각각의 착유유입공(203) 및 착유유입장공(211)으로 유입되어 각각의 착유안내홈(201,213)을 따라 착유통(103)의 요홈(101)을 통하여 바로 유출됨으로써, 착유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고정부(111), 중간링체(107) 및 받침대(120)에 내설된 각각의 전열히터(111a,105,124)에서 전달되는 고온의 열로 인하여 착유통(103)의 요홈(101)이 뒤틀려져 기름유출슬롯(102)의 변형을 야기시켜 일정기간마다 착유부(100)를 교체해야 했던 것을 본 고안의 착유부(100)는 착유통(103)에 형성된 요홈(101)의 사이의 외면과 접촉되는 하부링체(104), 중간링체(107) 및 상부링체(108)의 각 상면내측 간을 용접함으로써, 일정기간 동안 고온의 열이 착유부(100) 쪽으로 전달되어도 각각의 용접된 부분이 요홈(101)이 뒤틀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기름유출슬롯(102)의 변형을 방지시킴으로서 착유부(100)의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곡물의 압착에 의해 짜여지는 기름 중 일부는 착유통(103)의 요홈(101)을 따라 아래로 흘러 기름수집부(180)로 모이고, 나머지 짜여진 기름은 받침대(120)의 바닥면에 형성된 착유안내홈(121)을 따라 기름유출통로(122)를 통하여 기름수집부(180)로 모이며, 모여진 기름은 기름수집부(180)를 통하여 기름수납통(미도시)에 수납된다.
곡물이 완전하게 착유되면 작동레버를 조작하여 유압을 제거하여 유압실린더(130)를 하향 이동시켜 덮개(110)의 고정부(111)를 착유부(100)로부터 빼낸 후에 착유부(100)에 설치된 손잡이(106)를 잡아 이탈부(123) 상에 착유부(1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에 압착되어 덩어리화 된 착유물찌거기를 제거하고 다시 곡물을 투입한 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수행하여 지속적으로 곡물을 착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착유부를 횡방향으로 이탈하도록 제작하여 착유부 내로 직접 곡물을 투입할 수 있어 곡물의 투입이 용이하고, 일정기간 사용 시에도 전달되는 열에 의해 착유부의 요홈이 뒤틀어지지 않도록 요홈이 형성된 착유부의 외면을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링체와 용접고정시킴으로써 기름유출슬롯의 변형을 방지하여 착유물찌꺼기가 착유부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추가공정인 여과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요홈 주위에 착유물찌꺼기가 쌓이지도 않음으로써 장기간 착유부의 사용이 가능하여 보수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곡물 착유기에 있어서,
    외면에 다수의 요홈(101)이 중간높이부터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요홈(101) 마다 기름유출슬롯(102)이 형성된 착유통(103), 상기 착유통(103)의 기름유출슬롯(102)이 있는 부분을 감싸서 고정되는 것으로서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링체(104), 상기 하부링체(104)의 상부에 고정되고 전열히터(105)가 내장되어 있으며 손잡이(106)가 구성된 중간링체(107), 상기 중간링체(107)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링체(108)로 이루어진 착유부(100);
    상기 착유통(103)의 내부에 투입되는 곡물의 사이마다 얹혀지는 것으로서 하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착유안내홈(201)이 형성된 상판(202)과 상기 상판(202)의 착유안내홈(201)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착유유입공(203)이 형성된 하판(204)이 접착고정되어 투입되는 곡물의 상면에 얹혀지는 제 1착유배출판(200),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착유유입장공(211)이 형성된 상판(212)과 상기 상판(212)의 착유유입장공(211)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착유안내홈(213)이 형성된 하판(214)이 접착고정되어 투입되는 곡물의 사이마다 얹혀지는 한 개 이상의 제 2착유배출판(210)으로 이루어진 착유배출수단;
    하단부에 전열히터(111a)가 내삽되어지고, 상기 착유부(100)의 착유통(103)에 삽입되어 착유통(103)의 상하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착유통(103)내의 곡물이 가압될 때 곡물을 받치는 고정부(111)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네 개의지지대(11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덮개(110);
    상기 착유부(100)가 놓여지는 것으로서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착유안내홈(121), 상기 착유안내홈(121)을 따라 안내되는 기름이 유출되는 기름유출통로(122) 및 내부에 전열히터(124)가 설치되어 있고 착유후 착유물찌꺼기를 제거하고 새로운 곡물을 투입을 위하여 상기 착유부(100)를 상기 덮개(110)의 고정부(111)로부터 횡방향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이탈부(123)로 이루어진 받침대(120); 그리고
    상기 착유부(100) 및 받침대(12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부(100)의 횡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유부(1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안내돌기부(140), 상기 안내돌기부(140)와 맞물려서 착유부(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151), 상기 안내레일(151)을 지지하는 지지부(150), 상기 지지부(150)를 승강시키는 보조유압실린더(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통(103)과 하부링체(104), 중간링체(107) 및 상부링체(108)와의 고정은 각 링체간에 적층되어 맞닿는 부분 및 각 링체의 상면내측과 맞닿는 착유통(103)의 외면 부분을 각각 용접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착유기.
KR20-2003-0012008U 2003-04-18 2003-04-18 곡물 착유기 KR200318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008U KR200318999Y1 (ko) 2003-04-18 2003-04-18 곡물 착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008U KR200318999Y1 (ko) 2003-04-18 2003-04-18 곡물 착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999Y1 true KR200318999Y1 (ko) 2003-07-07

Family

ID=4933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008U KR200318999Y1 (ko) 2003-04-18 2003-04-18 곡물 착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9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20B1 (ko) * 2004-09-09 2006-09-29 주식회사 유정식품 곡물 착유기
KR101783422B1 (ko) 2016-10-14 2017-10-23 윤상욱 착유기용 착유챔버 인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20B1 (ko) * 2004-09-09 2006-09-29 주식회사 유정식품 곡물 착유기
KR101783422B1 (ko) 2016-10-14 2017-10-23 윤상욱 착유기용 착유챔버 인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3808B (zh) 具有一个用于供给一个咖啡块的抽屉的咖啡机
KR200318999Y1 (ko) 곡물 착유기
CN110744850B (zh) 非连续镶嵌组合式动物油脂压榨装置
KR101276974B1 (ko) 유압식 착유기
KR100712932B1 (ko) 착유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압 착유기
KR101052569B1 (ko) 유압식 자동 착유기
CN110681429A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高效型液压机
CN113084004B (zh) 一种高端装备用垫片冲压成型设备
CN213012729U (zh) 全脂牛油生产用油渣分离装置
CN220661808U (zh) 一种半自动榨油机
CN109111946A (zh) 一种裂解油废渣收集装置
KR100629720B1 (ko) 곡물 착유기
CN209531572U (zh) 一种数控清洗机的工件夹持升降与上下料装置
CN212119153U (zh) 一种化工生产设备的过滤机构
CN210792190U (zh) 一种废油脂制酸化油的残渣压榨机
KR200206951Y1 (ko) 착유기용 유로판
KR100325255B1 (ko) 착유기의 압력용기부
CN1913810B (zh) 具有用于输送咖啡块的抽屉的咖啡机
CN218535718U (zh) 一种密封性好的茶油生产用茶油籽压榨装置
KR102039342B1 (ko) 착유기
CN210851430U (zh) 一种红花油压榨装置
CN215127078U (zh) 一种原汁机
CN216069336U (zh) 一种卫生院会计用会计凭证装订装置
CN219028623U (zh) 一种菜籽油压榨机
CN213350350U (zh) 一种汽配加工用冲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