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569B1 - 유압식 자동 착유기 - Google Patents

유압식 자동 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569B1
KR101052569B1 KR1020090097698A KR20090097698A KR101052569B1 KR 101052569 B1 KR101052569 B1 KR 101052569B1 KR 1020090097698 A KR1020090097698 A KR 1020090097698A KR 20090097698 A KR20090097698 A KR 20090097698A KR 101052569 B1 KR101052569 B1 KR 10105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ing
plate
space
contai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433A (ko
Inventor
이도재
Original Assignee
내쇼날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쇼날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5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유효율을 증대 및 착유의 연속공정을 실행시킬 수 있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유통 상부를 커버하는 후렌찌판을 자동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착유통 하부를 승강시키는 메인피스톤의 하부에 상향 단차지게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압력증가에 따른 착유효율을 높이며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원리로 작동하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착유기, 착유통, 후렌찌판, 자동, 피스톤, 솔레노이드, 실린더

Description

유압식 자동 착유기{Automatic oil press}
본 발명은 착유효율을 증대 및 착유의 연속공정을 실행시킬 수 있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유통 상부를 커버하는 후렌찌판을 자동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착유통 하부를 승강시키는 메인피스톤의 하부에 상향 단차지게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압력증가에 따른 착유효율을 높이며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 원리로 작동하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유기는 착유통(깨통)에 삽입되어 있는 참깨, 들깨, 콩 등과 같은 곡물의 착유물(깻묵 또는 유박)에서 기름을 추출하는 장치로, 상기 착유기의 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좌/우측 기둥의 전/후 개폐방식의 손잡이가 형성된 상판과 하판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판 사이에 상기 하판의 상부에 유압공급관인 형성된 메인실린더와, 상기 메인실린더 내부에 장착된 메인피스톤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피스톤 상부에 유판이 형성되고, 상기 유판 상부에 위치하며 착유물(참깨 등)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달팽이판과 방석이 내속된 착유통이 형성되며, 상기 착유통 상부 외측에 중판이 좌/우측 기둥에 결속되고, 상기 착유통 상부를 커버하는 후렌찌판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 고 있다.
상기 후렌찌판은 22T의 원판형 철판으로 그 무게가 7kg에 달하여 여성 또는 노약자가 연속공정을 수행시 착유과정마다 일일이 착유통에 넣었다가 꺼냈다를 반복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함과 동시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착유 효율이 저하되고, 착유기를 작동하는 운전자에 많은 육체적임 힘을 소모하여 결국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메인피스톤의 하단면이 평면화로 인해 압력의 증가는 유압에 의존하게 되며, 이를 향상하기 위해 피스톤의 하부 단면적을 확대함에 따른 착유기 자체의 무게와 몸통만 커져 불편함을 가져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반적인 착유기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며, 착유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대량의 착유물을 손쉽게 연속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착유할 수 있는 자동화시스템이 구축된 자동 착유기를 개발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착유통 상부를 커버하며 동시에 착유물을 밀착시켜 착유 수율을 돕는 후렌찌판의 자동 개/폐원리를 적용함과, 메인피스톤의 유압을 증가하기 위한 메인피스톤 하부에 상향으로 단차진 공간부를 형성하여 압력을 증가하는 메인피스톤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착유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는 동시에 착유량을 증대시켜 전체 착유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하는데 있으며, 반복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음으로서 연속공정이 가능한 유압식 자동 착유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좌/우측 기둥의 전/후 개폐방식의 손잡이가 형성된 상판과 하판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판 사이에 상기 하판의 상부에 유압공급관인 형성된 메인실린더와, 상기 메인실린더 내부에 장착된 메인피스톤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피스톤 상부에 유판이 형성되고, 상기 유판 상부에 위치하며 착유물(참깨 등)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달팽이판과 방석이 내속된 착유통이 형성되며, 상기 착유통 상부 외측에 중판이 좌/우측 기둥에 결속되고, 상기 착유통 상부를 커버하는 후렌찌판으로 구성되는 메인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력에 의해 메인피스톤을 상승시켜 착유통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착유통 내에 투입된 착유물을 가압하여 기름을 짜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 상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하 연동되도록 로드바가 수용되며 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공간부가 형성된 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바의 일부가 상판 내부로 내속되도록 제1유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구와 연계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제2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 내부 로드바 일측 끝단 하부에 제1볼과 제1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 하부 내주면에 제1스프링을 차단하도록 제1차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와 연계되어 공간을 형성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서 연동되는 제1피스톤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 일측 상부로 관통된 제2유로구를 통해 확장되며 제1공간부와 연통된 제3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공간부의 제2유로구 입구에 제2볼과, 상기 제2볼 상부로 제2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링이 제3공간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차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 하부는 후렌찌판 상부와 결속되어 형성되는 자동승강장치와;,
상기 후렌찌판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이동바의 일측부가 결속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3스프링이 함께 내속되어 상/하 이동하며, 내속된 이동바의 타측부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4공간부가 형성되어 구성하는 지지장치;로 구성하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피스톤 하부면에 피라미드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5공간부를 형성하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식 자동 착유기는 착유통 상부에 설치되는 후렌찌판이 상판에 결속되어 자동으로 착유통에 탈/부착이 됨으로을 착유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는 동시에 착유량을 증대시켜 전체 착유 효율을 증대시키고, 메인피스톤 하부가 피라미드식으로 단차지게 공간부를 형성하여 메인피스톤 하부에 면접하는 유압의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짧은 시간에 지속적인 높은 압력이 형성하여 착유시의 유속을 증대하여 추출되는 기름의 양을 증대시키고, 착유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많은 양의 착유물을 수회에 걸친 착유과정을 통해 반복적인 자동 수행할 수 있음으로서 일부 연속공정이 가능한 자동 착유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기둥(10a, 10b) 상단부에 전/후 개폐방식의 손잡이(21)가 형성된 상판(20)과, 상기 좌/우측 기둥(10a, 10b) 하단면에 형성된 하판(30)과, 상기 상/하판(20, 30) 사이에 상기 하판(30)의 상부에 유압공급관(41)인 형성된 메인실린더(40)와, 상기 메인실린더(40) 내부에 장착된 메인피스톤(45)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피스톤(45) 상부에 유판(55)이 형성되고, 상기 유판(55) 상부에 위치하며 착유물(참깨 등)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달팽이판(51)과 방석(52)이 내속된 착유통(50)이 형성되며, 상기 착유통(50) 상부 외측에 중판(60)이 좌/우측 기둥(10a, 10b)에 결속되고, 상기 착유통(50) 상부를 커버하는 후렌찌판(70)으로 구성되는 메인실린더(40)에 공급되는 유압력에 의해 메인피스톤(45)을 상승시켜 착유통(5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착유통(50) 내에 투입된 착유 물을 가압하여 기름을 짜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20) 상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210)와, 상기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상/하 연동되도록 로드바(211)가 수용되며 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공간부(221)가 형성된 덮개(220)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바(211)의 일부가 상판(20) 내부로 내속되도록 제1유로구(23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구(230)와 연계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제2공간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240) 내부 로드바(211) 일측 끝단 하부에 제1볼(241)과 제1스프링(24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240) 하부 내주면에 제1스프링(242)을 차단하도록 제1차단판(243)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240)와 연계되어 공간을 형성한 제1실린더(244)와, 상기 제1실린더(244) 내부에서 연동되는 제1피스톤(24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244) 일측 상부로 관통된 제2유로구(250)를 통해 확장되며 제1공간부(221)와 연통된 제3공간부(260)가 형성되며, 상기 제3공간부(260)의 제2유로구(250) 입구에 제2볼(261)과, 상기 제2볼(261) 상부로 제2스프링(262)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링(262)이 제3공간부(260)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차단판(263)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245) 하부는 후렌찌판(70) 상부와 결속되어 형성되는 자동승강장치(200)와;,
상기 후렌찌판(70)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이동바(310)의 일측부가 결속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310)와 상기 이동바(310)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3스프링(311)이 함께 내속되어 상/하 이동하며, 내속된 이동바(310) 타측부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4공간부(312)가 형성되어 구성하는 지지장치(300);로 구성하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100)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의 메인실린더(40)의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공급장치(미도시) 및 착유통(5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그 기술 및 원리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임은 자명하다는 것으로 기술적 구조 및 사상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착유과정을 설명하자면, 먼저 도 1 내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판(55) 상부에 방석(미도시), 달팽이판(미도시) 순으로 설치된 착유통(50)에 착유물을 넣고, 상기 착유통(50)에 수용된 착유물 상부에 방석과 달팽이판(미도시)을 설치한 다음, 상기 상판(20)의 손잡이(21)를 우측 기둥(10b)에 결속시킨 후 자동승강장치를 작동하게 된다.
상기 자동승강장치의 구성요소간 작동원리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판(20) 상부에 구비된 솔레노이드(210)를 작동시켜 상기 로드바(211)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유로구(230)와 제2공간부(240)가 연계된 부위에 제1유로구(230)를 막고 있던 제1볼(241)이 하향되면서 제1유로구(230)가 열려져 상기 덮개(220)의 제1공간부(221)에 수용된 오 일이 제2공간부(240)를 통해 제1실린더(244) 내부로 유입되어 유압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a)와 같이 상기 제1볼(241)이 하향되면서 상기 제1볼(241) 하부측에 면접된 제1스프링(242)이 압축하게 되며, 상기 오일이 제1실린더(244)로 유입되어 유압이 발생하여 제1피스톤(245)을 수직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렇게 수직으로 하향되는 제1피스톤(245)에 결속된 후렌찌판(70)이 착유통(50) 상부에 안착되게 되며, 상기 후렌찌판(70)의 설치가 완료하게 되면서 동시에 후렌찌판(70)과 착유통(50) 상부와의 견고한 밀착으로 인해 상기 후렌찌판(70) 자체에 가압이 발생하여 제1실린더(244) 내부에 높은 압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스프링(242)에 저항이 생기게 되면서 그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스프링(242)의 저항력이 떨어지면서 제1스프링(242)이 팽창하여 제1볼(241)이 제1유로구(230)를 밀폐시킨다.
상기 후렌찌판(70)이 하향될 때 지지장치(300)가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장치(300)에 있어서 상기 후렌찌판(70)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설치된 이동바(310)가 상판(20)의 제4공간부(312) 내에 압축된 제3스프링(311)이 팽창하면서 이동바(310)를 하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실린더(40)에 유압이 발생하게 되면서 메인피스톤(45)이 상승하면서 상기 착유통(50) 하부의 유판(55)을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착유통(50) 내의 착유물이 밀착되면서 착유물의 부산물인 깻묵이 형성되어 깻묵과 착유통(50)이 일체화를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깻묵과 착유통(50)이 일체화를 이룬다는 것은 착유물이 메인피스톤(45)의 상승으로 인해 착유물이 짓눌리면서 많은 양의 기름이 짜지고 찌꺼기만 남은 상태의 깻묵이 형성되어 착유통(50) 내부에 압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때 깻묵의 압축상태는 메인피스톤(45)의 유압과 정지된 착유통(50)의 무게와 동일한 조건을 가지게 되며, 상기 메인피스톤(45)의 유압이 계속적인 유지상태가 되면 더 이상의 깻묵 압축이 발생되지 않고 착유통(50)과 깻묵이 일몸체를 이루어 착유통(50)이 상승하게 된다.
물론 이때 메인피스톤(45)이 승강하게 되며, 동시에 깻묵이 착유통(50)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착유통(50)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상기 메인피스톤(45)에 의해 유판(55)이 상승하면서 동시에 착유물이 밀착하게 되며 이때 부동의 착유통(50) 압력은 중판(60)의 무게와 비례하게 되면서 점진적인 착유통(50) 내의 압력 증가로 인해 착유통(50)이 상승하면서 동시에 중판(60)도 상승하며, 이때 상기 착유통(50) 상부에 형성된 후렌찌판(7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8의 (b)와 같이 압력을 조절하는 제3공간부(260)에 형성된 구성요소가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후렌찌판(70)이 상승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면 동시에 상판(20)의 제1피스톤(245)에 압력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제3공간부(260)와 연계된 제2유로구(250)를 막고 있던 제2볼(261)이 상승하면서 동시에 제2스프링(262)이 압축하여 제1실린더(244) 내에 있던 오일이 제3공간부(260)를 통해 상기 덮개(220) 내의 제1공간부(221)로 유입되게 된다.
이에 상기 후렌찌판(70)의 상승으로 인해 제1실린더(244)의 증가된 압력이 제2스프링(262)의 압축을 하기 때문에 상기 후렌찌판(70)이 착유통(50) 상부에 안착되어 부동의 위치에 있는 후렌찌판(70)의 압력은 제2유로구(250)를 막고 있는 제2볼(261)이 정지된 상태의 제2스프링(262)과 비례하게 된다.
이렇게 도 8의 (c)와 같이 상기 후렌찌판(70)이 상판(20)의 저면과 밀착하게 되면 착유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상기 메인실린더(40)의 유압을 줄여 착유통(50)이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후렌찌판(70)은 상판(2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에 상기 상판(20)을 열어 착유통(50) 내의 깻묵을 제거하고 다시 착유물을 넣어 상기 서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피스톤(45) 하부에 피라미드식으로 단차지게 제5공간부(400)가 형성됨에 따라 메인피스톤(45)에 유입된 오일이 순간적으로 제5공간부(400)로 유입되어 오일이 유입되는 유속과 제5공간부(400)에 유입된 유량의 압력이 동시적으로 발생하여 순간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상기 높은 유압의 증가는 기존의 메인피스톤(45)의 하부가 평면상태에서 밀착되는 유압에 비해 상기 피라미드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5공간부(400)의 형상이 제5공간부(400) 내부 중앙에서 내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내경이 단차지게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가장 유압이 높은 곳은 제5공간부(400)의 중앙이 되며, 상기 중앙의 유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단차진 가장자리로 이동되어 결국 제5공간 부(400)의 유압이 향상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압식 자동 착유기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착유기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착유기의 상판을 개방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착유기의 측면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착유기의 상판과 후렌찌판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착유기의 상판과 후렌찌판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착유기의 상판과 후렌찌판의 일부 확대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착유기의 자동승강장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자동 착유기의 자동승강장치와 지지장치의 작동 원리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좌/우측 기둥 : 10a, 10b, 상판 : 20, 손잡이 : 21, 하판 : 30, 메인실린더 : 40, 유압공급관 : 41, 메인피스톤 : 45, 착유통 : 50, 달팽이판 : 41, 방석 : 42, 유판 : 55, 중판 : 60, 후렌찌판 : 70, 유압식 자동 착유기 : 100, 자동승강장치 : 200, 솔레노이드 : 210, 로드바 : 211, 덮개 : 220, 제1공간부 : 221, 제1유로구 : 230, 제3공간부 : 240, 제1볼 : 241, 제1스프링 : 242, 제1차단판 : 243, 제1실린더 : 244, 제1피스톤 : 245, 제1유로구 : 250, 제3공간부 : 260, 제2볼 : 261, 제2스프링 : 262, 제2차단판 : 263, 지지장치 : 300, 이동바 : 310, 제3스프링 : 311, 제4공간부 : 312, 제5공간부 : 400

Claims (2)

  1. 좌/우측 기둥의 전/후 개폐방식의 손잡이가 형성된 상판과, 바닥면에 형성된 하판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판 사이에 상기 하판의 상부에 유압공급관인 형성된 메인실린더와, 상기 메인실린더 내부에 장착된 메인피스톤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피스톤 상부에 유판이 형성되고, 상기 유판 상부에 위치하며 착유물(참깨 등)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달팽이판과 방석이 내속된 착유통이 형성되며, 상기 착유통 상부 외측에 중판이 좌/우측 기둥에 결속되고, 상기 착유통 상부를 커버하는 후렌찌판으로 구성되는 메인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력에 의해 메인피스톤을 상승시켜 착유통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착유통 내에 투입된 착유물을 가압하여 기름을 짜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 상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하 연동되도록 로드바가 수용되며 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공간부가 형성된 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바의 일부가 상판 내부로 내속되도록 제1유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구와 연계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제2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 내부 로드바 일측 끝단 하부에 제1볼과 제1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 하부 내주면에 제1스프링을 차단하도록 제1차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와 연계되어 공간을 형성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 내부에서 연동되는 제1피스톤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 일측 상부로 관통된 제2유로구를 통해 확장되며, 제1공간부와 연통된 제3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공간부의 제2유로구 입구에 제2볼과, 상기 제2볼 상부로 제2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링이 제3공간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차단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 하부는 후렌찌판 상부와 결속되어 형성되는 자동승강장치와;,
    상기 후렌찌판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이동바의 일측부가 결속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3스프링이 함께 내속되어 상/하 이동하며, 내속된 이동바 타측부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하단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제4공간부가 형성되어 구성하는 지지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피스톤 하부면에 피라미드식으로 단차지게 제5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자동 착유기.
KR1020090097698A 2009-10-14 2009-10-14 유압식 자동 착유기 KR10105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698A KR101052569B1 (ko) 2009-10-14 2009-10-14 유압식 자동 착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698A KR101052569B1 (ko) 2009-10-14 2009-10-14 유압식 자동 착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33A KR20110040433A (ko) 2011-04-20
KR101052569B1 true KR101052569B1 (ko) 2011-07-28

Family

ID=4404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698A KR101052569B1 (ko) 2009-10-14 2009-10-14 유압식 자동 착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5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974B1 (ko) 2012-12-27 2013-06-19 이도재 유압식 착유기
KR101853945B1 (ko) * 2018-03-16 2018-05-02 백승훈 식물성 기름 추출용 압착기
KR102039342B1 (ko) 2019-09-11 2019-11-27 (주)풍진식품기계 착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348B1 (ko) 2018-09-13 2019-11-29 진민식 유압식 착유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53U (ko) * 1993-07-22 1995-02-16 석영호 착유기
KR20020084561A (ko) * 2001-05-03 2002-11-09 박인숙 착유기 및 착유판
KR200403585Y1 (ko) 2005-09-30 2005-12-09 최연우 평출된 착유판을 구성한 착유기
KR100712932B1 (ko) 2005-05-17 2007-05-02 김옥수 착유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압 착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53U (ko) * 1993-07-22 1995-02-16 석영호 착유기
KR20020084561A (ko) * 2001-05-03 2002-11-09 박인숙 착유기 및 착유판
KR100712932B1 (ko) 2005-05-17 2007-05-02 김옥수 착유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압 착유기
KR200403585Y1 (ko) 2005-09-30 2005-12-09 최연우 평출된 착유판을 구성한 착유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974B1 (ko) 2012-12-27 2013-06-19 이도재 유압식 착유기
KR101853945B1 (ko) * 2018-03-16 2018-05-02 백승훈 식물성 기름 추출용 압착기
KR102039342B1 (ko) 2019-09-11 2019-11-27 (주)풍진식품기계 착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33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569B1 (ko) 유압식 자동 착유기
CN102431196B (zh) 一种立/卧式自动压榨机
CN207073174U (zh) 一种水箱内气控排水阀结构
JPH11320453A (ja) 油圧作動式衝撃装置
CN202432035U (zh) 皮碗活塞式管道自力控制阀
JPWO2014119414A1 (ja) コーヒーマシン
CN103861722B (zh) 粮食除石除砂跳汰机
KR100954993B1 (ko) 판재 곡면 성형용 프레스기의 하부펀치장치
KR100712932B1 (ko) 착유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압 착유기
KR101276974B1 (ko) 유압식 착유기
CN102537492B (zh) 油罐排水的储液自力驱动阻油装置
US5152213A (en) Hydroextractor
JP4907444B2 (ja) 脱水装置
CN216651196U (zh) 一种加工生产银耳茶用的浸泡装置
CN203541031U (zh) 填砂管水力喷射除砂装置
KR101101798B1 (ko) 한약 추출기
CN206525941U (zh) 一种具有多级压力的咖啡萃取装置
KR102039342B1 (ko) 착유기
CN211774283U (zh) 一种低摩擦省力的排水阀提拉机构及其排水阀
US504730A (en) Machine for making paper buckets
CN216787335U (zh) 一种改进的低摩擦省力的双排水阀提拉机构及其排水阀
CN205310884U (zh) 一种立式压榨机
CN109433993A (zh) 一种浮动闭塞成型装置
CN109454914A (zh) 一种可自动化控制的油渣压榨机
CN203022988U (zh) 一种新型电磁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