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924Y1 - 허리강화기구 - Google Patents

허리강화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924Y1
KR200317924Y1 KR20-2003-0008093U KR20030008093U KR200317924Y1 KR 200317924 Y1 KR200317924 Y1 KR 200317924Y1 KR 20030008093 U KR20030008093 U KR 20030008093U KR 200317924 Y1 KR200317924 Y1 KR 200317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gear
support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국
Original Assignee
이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국 filed Critical 이영국
Priority to KR20-2003-0008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위에 누운 사람의 허리를 좌우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하로 동작시킴으로써 매우 부드러우면서도 율동적이고 다양한 안마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허리의 근육 및 척추를 부드럽게 이완시켜 환자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정상인이나 신체가 자유스럽지 못한 사람들의 인체의 특정 부위를 정적으로 이완키거나 동적으로 이완과 수축시킴으로써 척추 및 근육과 관련된 각종 질환을 물리요법으로 치료 또는 교정하여 항상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허리강화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침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일측에 제1구동모터(21)가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21) 일측에 이와 연동되는 회전원판(22)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22)의 일측으로 안내관부(23)가 편심되게 설치되는 제1구동수단(20)과;
상기 제1구동수단(20)의 일측에 소정 높이의 지지대(3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1)에 이를 기준으로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좌우 회동판(32)이 설치되며,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일측으로 상기 회전원판(22)의 안내관부(23)와 대응되는 안내봉(32c)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상부에 모터(33) 및 이와 연동되는 기어(33b)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 상기 기어(33b)의 자기어(33c)와 대응되는 랙기어(33d)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일단 양측에 안내관(34)을 각각 형성한 다음, 상기 안내관(34)에 소정길이의 지지봉(35)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회동수단(30)과;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좌우 회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좌우 회동판(32)의 지지봉(35) 단부에 작동 본체(4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 본체(41)의 저부에 제2구동모터(44)가 설치되며, 상부를 향하고 있는 제2구동모터(44)의 구동축(44a)에 편심돌기(44c)가 구비된 회전판(44b)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본체(41)의 상부에 슬라이드봉(45)이 대향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봉(45)에 이를 따라 안내되는 슬라이드판(46)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드판(46)의 저부에 회전판(44b)의 편심돌기(44c)와 대응하여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돌기 안내부(47)가 형성되는 제2구동수단(40);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허리강화기구{a Physiotherapy equipment for the waist}
본 고안은 허리강화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부드러우면서도 율동적이고 다양한 안마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물리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킴은 물론이고, 정상인이나 신체가 자유스럽지 못한 사람들의 인체의 특정 부위를 정적으로 이완키거나 동적으로 이완과 수축시킴으로써 척추 및 근육과 관련된 각종 질환을 물리요법으로 치료 또는 교정하여 항상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허리강화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리치료는 수술 및 화학요법(약물요법)이 아닌 전기, 광선, 물, 공기, 소리 및 각종 기구 등의 소재를 이용한 물리적 방법을 통하여 동통(疼痛)을 완화하거나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상태를 바로 잡아주는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서, 특히 허리를 중심으로 한 척추나 사지의 근골격계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척추관절 및 근육의 기능부전과 관련된 대부분의 척추 질환의 치료에는 인체를 구부려 특정 부위를 이완시키거나 또는 인체의 어느 한 쪽을 다른 한쪽에 대하여 견인하여 추골과 추골사이, 관절과 관절 사이, 또는 근육 등을 신장시킴으로써 요추 간격 사이를 넓혀주고 주위의 근육을 보강하여 척추를 교정 치료하는 물리요법이 기본적으로 우선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물리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병원에 마련된 물리치료실을 매일 방문하여 치료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함은 물론 장기간에 걸쳐 수행되는 물리치료비가 매우 부담되며, 또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종래의 물리치료용 기구들은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을 시키는 단순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그 치료효과가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금방 싫증을 느끼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침대위에 누운 사람의 허리를 좌우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하로 동작시킴으로써 매우 부드러우면서도 율동적이고 다양한 안마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허리의 근육 및 척추를 부드럽게 이완시켜 환자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정상인이나 신체가 자유스럽지 못한 사람들의 인체의 특정 부위를 정적으로 이완키거나 동적으로 이완과 수축시킴으로써 척추 및 근육과 관련된 각종 질환을 물리요법으로치료 또는 교정하여 항상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허리강화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가 침대에 설치된 상태 및 그 동작상태를 보인 일부 측단면도,
도 5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가 침대에 설치된 상태 및 그 동작상태를 보인 일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받침대 20:제1구동수단
21:제1구동모터 22:회전원판
23:안내관부 30:좌우 회동수단
31:지지대 32:좌우 회동판
32a:힌지부 32b:축핀
33:모터 33a:축기어
33b:기어 33c:자기어
33d:랙기어 34:안내관
35:지지봉 40:제2구동수단
41:작동 본체 42:힌지부
43:힌지축 44:제2구동모터
44a:구동축 44b:회전판
44c:편심돌기 45:슬라이드봉
46:슬라이드판 47:돌기 안내부
100:침대 110:지지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침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제1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 일측에 이와 연동되는 회전원판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의 일측으로 안내관부가 편심되게 설치되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제1구동수단의 일측에 소정 높이의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이를 기준으로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좌우 회동판이 설치되며, 상기 좌우 회동판의 일측으로 상기 회전원판의 안내관부와 대응되는 안내봉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좌우 회동판의 상부에 모터 및 이와 연동되는 기어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 상기 기어의 자기어와 대응되는 랙기어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좌우 회동판의 일단 양측에 안내관을 각각 형성한 다음, 상기 안내관에 소정길이의 지지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회동수단과; 상기 좌우 회동판의 좌우 회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좌우 회동판의 지지봉 단부에 작동 본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 본체의 저부에 제2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부를 향하고 있는 제2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편심돌기가 구비된 회전판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드봉이 대향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봉에 이를 따라 안내되는 슬라이드판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드판의 저부에 회전판의 편심돌기와 대응하여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돌기 안내부가 형성되는 제2구동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침대의 양측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지지봉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림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가 침대에 설치된 상태 및 그 동작상태를 보인 일부 측단면도이며, 도 5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강화기구가 침대에 설치된 상태 및 그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침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허리강화기구는 크게 받침대(10) 위에 설치되는 제1구동수단(20)과, 상기 제1구동수단(20)에 의해 좌우로 기울어지는 좌우 회동수단(30)과, 상기 좌우 회동수단(30)과 연결되어 상하 승강과 동시에 측방으로 동작된 제2구동수단(40)로 구분된다.
먼저, 제1구동수단(20)은 상기 받침대(10)의 일측에 제1구동모터(21)가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21)의 구동축에는 이와 연동되는 회전원판(22)이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원판(22)의 일측으로 베어링이 축설된 안내관부(23)가 편심되게 설치된다.
상기 좌우 회동수단(30)은 제1구동수단(20) 일측의 받침대(10)상에 소정 높이의 지지대(3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1)의 상단부에는 힌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1)의 상단부에는 좌우로 일정각 기울어지는 좌우 회동판(32)이 설치되는데,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저부에는 지지대(31)의 힌지부와 대응되는 힌지부(32a)가 형성되어 축핀(32b)으로 결합되며,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일측으로 상기 회전원판(22)의 안내관부(23)와 대응되는 안내봉(32c)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회전원판(22)의 회전에 따라 안내봉(32c)과 결합된 좌우 회동판(32)의 기울기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상부 일측에는 도 3과 같이 축기어(33a)를 구비한 모터(33)가 설치되고, 상기 축기어(33a)에는 이와 연동되는 기어(33b)가 설치되는데, 상기 기어(33b)의 자기어(33c)는 좌우 회동판(32)의 일측으로 다소 돌출되어진 랙기어(33d)와 결합된다. 즉, 축기어(33a)는 기어(33b)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기어(33b)와 일체로 형성된 자기어(33c)가 회전하여 랙기어(33d)를 직선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일단 양측에는 두개씩의 안내관(3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안내관(34)에 소정길이의 지지봉(3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상기 지지봉(35)의 단부에는 힌지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제2구동수단(40)은 장방형의 작동 본체(41)가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 본체(41)의 저부에 지지봉(35)의 힌지부와 대응되는 힌지부(42)가 형성되며 상기두 힌지부(42)는 힌지축(43)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한편,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자기어(33c)와 맞물린 랙기어(33d) 단부가 작동본체(4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본체(41)의 저부에는 제2구동모터(44)가 설치되며, 상부를 향하고 있는 제2구동모터(44)의 구동축(44a)에 편심돌기(44c)가 구비된 회전판(44b)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본체(41)의 상부에 두개의 슬라이드봉(45)이 대향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봉(45)에 이를 따라 안내되면서 사람의 엉덩이부분이 얹혀지는 슬라이드판(46)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드판(46)의 저부에 회전판(44b)의 편심돌기(44c)와 대응하여 슬라이드판(46)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돌기 안내부(4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 본체(41)가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작동 본체(41)의 상하운동시 심하게 요동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구동모터(44)에 일정각 회동가능하게 가이드관(50)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0)의 일측에 힌지부(11)를 형성한 다음, 상기 힌지부(11)에 소정길이의 요동방지봉(60)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관(50)에 요동방지봉(60)의 일단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시킴으로써 도 1 및 도 2와 같이 작동 본체(41)가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구동수단(20)의 제1구동모터(21), 좌우 회동수단(30)의 모터(33), 그리고 제2구동수단(40)의 제2구동모터(44)는 침대(100) 일측으로 노출된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이때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제1구동모터(21) 및 제2구동모터(44)의 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침대(100)의 양측에는 신체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지지봉(11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허리강화기구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허리강화기구가 구비된 침대(100)를 이용하여 물리치료를 받고자 하면, 도 5와 같이 침대(100) 위에 편한 자세로 눕운 다음 침대(100) 양측의 지지봉(110)을 양손으로 잡게되는데, 이때 엉덩이가 제2구동수단(40)의 슬라이드판(46)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침대(100) 일측의 컨트롤러에 구비된 작동버턴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 제1구동수단(20)의 제1구동모터(21)와 연결된 작동버턴을 누르게 되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구동모터(21)가 동작하여 이와 연동되는 회전원판(22)이 일정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원판(2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원판(22) 일측의 안내관부(23)와 연결된 좌우 회동수단(30)의 안내봉(32c)이 함께 동작하면서 좌우 회동판(32)이 힌지부(32a)의 축핀(32b)을 중심으로 좌우로 반복적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좌우 회동수단(30)의 안내봉(32c)이 제2구동수단(40)의 작동 본체(41)와 힌지축(43)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 본체(41)가 반복적으로 수직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 본체(41)가 수직운동을 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작동본체(41) 상단의 슬라이드판(46)이 수직운동을 하면서 그 상부에 얹혀진 엉덩이를 일정 높이 올렸다 내림으로써 허리의 근육 및 척추를 유연하게 하는데, 상기 수직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허리의 근육 및 척추를 더욱 튼튼하게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구동수단(40)의 슬라이드판(46)을 더 높이고자 하면,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좌우 회동수단(30)의 모터(33)를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모터(33)는 도 3의 (b)와 같이 축기어(33a)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고, 상기 축기어(33a)는 이와 연동된 기어(33b)를 회전시켜 그 저부의 자기어(33c)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와 연결된 랙기어(33d)를 직선 운동시키게 되며, 상기 랙기어(33d)가 좌우 회동판(32)을 좌우 회동수단(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구동수단(40)의 슬라이드판(46)을 더 높이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본체(41)가 수직으로 상하운동을 할 때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2구동모터(44) 일측의 가이드관(50)이 요동방지봉(60)을 따라 함께 회동하기 때문에 작동 본체(41)가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관(5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요동방지봉(60)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구동모터(44)가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구동수단(40)의 제2구동모터(44)와 연결된 작동버턴을 누르게 되면, 도 1 및 도 3과 같이 제2구동모터(44)가 동작하여 그 상부의 회전판(44b)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회전판(44b) 일측의 편심돌기(44c)에 슬라이드판(46) 저부의 돌기 안내부(47)가 걸려 상기 슬라이드판(46)이 슬라이드봉(45)을 따라 직선운동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도 5와 같이 사람의 허리를 측방으로 운동시켜 허리의 근육 및 척추를 더욱 튼튼하게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수단(20)의 제1구동모터(21) 및 제2구동수단(40)의 제2구동모터(44)를 동시에 동작시키게 되면 허리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측방으로 움직임으로써 허리의 강화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침대위에 누운 사람의 허리를 좌우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하로 동작시킴으로써 매우 부드러우면서도 율동적이고 다양한 안마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허리의 근육 및 척추를 부드럽게 이완시켜 환자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정상인이나 신체가 자유스럽지 못한 사람들의 인체의 특정 부위를 정적으로 이완키거나 동적으로 이완과 수축시킴으로써 척추 및 근육과 관련된 각종 질환을 물리요법으로 치료 또는 교정하여 항상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침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일측에 제1구동모터(21)가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21) 일측에 이와 연동되는 회전원판(22)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원판(22)의 일측으로 안내관부(23)가 편심되게 설치되는 제1구동수단(20)과;
    상기 제1구동수단(20)의 일측에 소정 높이의 지지대(3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1)에 이를 기준으로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좌우 회동판(32)이 설치되며,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일측으로 상기 회전원판(22)의 안내관부(23)와 대응되는 안내봉(32c)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상부에 모터(33) 및 이와 연동되는 기어(33b)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일측에 상기 기어(33b)의 자기어(33c)와 대응되는 랙기어(33d)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일단 양측에 안내관(34)을 각각 형성한 다음, 상기 안내관(34)에 소정길이의 지지봉(3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회동수단(30)과;
    상기 좌우 회동판(32)의 좌우 회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좌우 회동판(32)의 지지봉(35) 단부에 작동 본체(4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 본체(41)의 저부에 제2구동모터(44)가 설치되며, 상부를 향하고 있는 제2구동모터(44)의 구동축(44a)에 편심돌기(44c)가 구비된 회전판(44b)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본체(41)의 상부에 슬라이드봉(45)이 대향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봉(45)에 이를 따라 안내되는 슬라이드판(46)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드판(46)의 저부에회전판(44b)의 편심돌기(44c)와 대응하여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돌기 안내부(47)가 형성되는 제2구동수단(40);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허리강화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침대(100)의 양측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지지봉(110)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허리강화기구.
KR20-2003-0008093U 2003-03-18 2003-03-18 허리강화기구 KR200317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093U KR200317924Y1 (ko) 2003-03-18 2003-03-18 허리강화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093U KR200317924Y1 (ko) 2003-03-18 2003-03-18 허리강화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927A Division KR20040082234A (ko) 2003-03-18 2003-03-18 허리강화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924Y1 true KR200317924Y1 (ko) 2003-06-27

Family

ID=4940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093U KR200317924Y1 (ko) 2003-03-18 2003-03-18 허리강화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9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42B1 (ko) 2013-03-14 2014-08-01 정원호 옆구리 살 제거와 복부 및 하체 비만 개선을 위한 골반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42B1 (ko) 2013-03-14 2014-08-01 정원호 옆구리 살 제거와 복부 및 하체 비만 개선을 위한 골반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4887B2 (en)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RU2391084C1 (ru) Механургический стол для массажа и мануальной терапии
JP5345855B2 (ja) 背骨矯正用運動器具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KR20040082234A (ko) 허리강화기구
KR200317924Y1 (ko) 허리강화기구
CN108852736A (zh) 静力性颈椎病康复训练仓
CN109414367A (zh) 活动模块和活动家具
KR200345834Y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
EA004387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уменьшения боли в пояснице
US4860734A (en) Exercising apparatus for adjusting intervertebral disc and articulations clearances
RU23894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KR200432610Y1 (ko) 시소형 자동 척추 골반 교정 의료기겸 운동기계
KR100379211B1 (ko) 척추 교정 테이블
KR101607427B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
JPH09117464A (ja) 腰痛治療装置
CN211132070U (zh) 一种患者康复治疗用多功能理疗床
RU22830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KR940001291Y1 (ko) 자동 척추 골반 교정의료기겸 운동기계
KR100677023B1 (ko) 발목 운동을 이용한 척추 교정기
CN213047930U (zh) 中医针灸治疗床
RU5681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KR200432639Y1 (ko) 척추골반 교정기
KR100380816B1 (ko) 신체교정용 자중 견인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