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860Y1 - 도어오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오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860Y1
KR200317860Y1 KR2019980008636U KR19980008636U KR200317860Y1 KR 200317860 Y1 KR200317860 Y1 KR 200317860Y1 KR 2019980008636 U KR2019980008636 U KR 2019980008636U KR 19980008636 U KR19980008636 U KR 19980008636U KR 200317860 Y1 KR200317860 Y1 KR 200317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opening
open
lever hoo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677U (ko
Inventor
조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08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860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6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오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25)에 구비되어 있는 록홀더(50)와 체결되는 걸림턱(43)을 구비한 레버후크(40)의 회전방향을 항상 일정하게 구성한 것이다. 즉, 도어(25)를 오픈시키기 위한 오픈노브(30)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레버후크(40)가 항상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턱(43)과 록홀더(5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도어오픈장치에 의하면 도어(25)를 오픈시키기 위한 동작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도어오픈장치
본 고안은 도어오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픈노브의 동작에 의해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오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오픈장치는 본체에 부착되어 개폐되는 도어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용 카세트의 도어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오픈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1) 일측에 오픈노브(3)가 구비된다. 상기 오픈노브(3)는 본체(1)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내에 위치되어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오픈노브(3)의 하면에는 연동돌기(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동돌기(4)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후크(5)의 연동돌기(6)와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오픈노브(3)가 설치된 슬라이딩홈(2) 하측의 본체(1) 내부에는 상기 오픈노브(3)와 연동되는 레버후크(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후크(5)에는 그 일측에 걸림턱(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림턱(7)은 도어(10)에 구비되어 있는 록홀더(8)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후크(5)는 스프링(9)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9)은 상기 걸림턱(7)이 상기 록홀더(8)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레버후크(5)를 당겨준다. 한편, 상기 걸림턱(7)의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어(10)를 닫을 때, 상기 록홀더(8)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오픈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상태는 도어(10)가 닫힌 상태로서, 상기 레버후크(5)가 스프링(9)에 의해 당겨져서 상기 걸림턱(7)과 록홀더(8)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걸림턱(7)과 록홀더(8)가 체결됨에 의해 도어(10)는 본체(1)에 록킹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오픈노브(3)는 상기 슬라이딩홈(2) 내에서 상기 스프링(9)의 힘에 의해 상대적으로 스프링(9) 쪽으로 이동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0)를 오픈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픈노브(3)를 동작시켜 주면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오픈노브(3)를 이동시켜 주면, 상기 오픈노브(3)의 연동돌기(4)가 상기 레버후크(5)의 연동돌기(6)와 연동되어 상기 스프링(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레버후크(5)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후크(5)가 동작되면, 상기 걸림턱(7)과 록홀더(8)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도어(10)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10)는 걸림턱(7)과 록홀더(8)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 별도의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 정도 오픈되도록 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10)를 잡아 오픈시킬 수 있을 만큼 본체(1)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도어(10)를 닫을 때는 상기 도어(10)를 본체(1)쪽으로 밀어 닫아주면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턱(7)의 경사진 면을 따라 상기 록홀더(8)가 안내되면서 상기 후크레버(5)가 상기 스프링(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화살표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10)가 완전히 본체(1)에 밀착되면, 상기 걸림턱(7)에 록홀더(8)가 체결되어 도어(10)가 본체(1)에 록킹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오픈장치에서는 도어(10)의 오픈을 위한 상기 오픈노브(3)의 동작 방향이 한방향으로만 되어 있어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있다. 즉, 도어(10)를 오픈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오픈노브(3)의 동작방향을 일일이 확인하거나, 한번의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한다. 특히, 전자제품의 사용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들의 경우에 일방향으로만 동작되는 상기 오픈노브(3)를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조작하여 도어(10)를 오픈시키지 못해 당황해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픈노브를 어느 방향으로 동작시키더라도 도어의 오픈이 가능한 도어오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오픈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오픈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오픈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오픈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본체 23: 규제돌기
25: 도어 30: 오픈노브
32,32': 연동리브 35,35': 스프링
40: 레버후크 41: 회전중심축
42,42': 연동리브 45: 스프링
46,46': 스토퍼 50: 록홀더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오픈시키는 도어오픈부재와, 일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도어오픈부재의 양방향 이동에 의해 항상 상기 지지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도어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도어오픈부재와 체결부재가 서로 연동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연동돌기 및 상기 체결부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도어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오픈부재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록킹부재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규제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오픈장치에 의하면 도어를 오픈시키기 위한도어오픈부재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도어가 개방되어 보다 사용이 편리해진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도어오픈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어오픈장치는 본체(20)에 도어(25)를 밀착시켜 닫아 록킹하고, 해제하여 도어(25)를 오픈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20)에 구비된 슬라이딩홈(21)에는 오픈노브(30)가 설치된다. 상기 오픈노브(30)의 하면에는 연동리브(32,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리브(32,32')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슬라이딩홈(21)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본체(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픈노브(30)는 스프링(35,35')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오픈노브(30)는 항상 양측으로 스프링(35,35')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이들 스프링(35,35')의 탄성력은 동일하므로 상기 슬라이딩홈(21)의 대략 중앙에 상기 오픈노브(30)가 위치하여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오픈노브(30)를 슬라이딩홈(21)을 따라 어떤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스프링(35,35')의 탄성력에 의해 오픈노브(30)는 상기 슬라이딩홈(21)의 중앙으로 복귀된다.
상기 슬라이딩홈(21)의 하부에 해당되는 본체(20)에는 레버후크(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후크(4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홀더(5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걸림턱(43)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리브(32,32')와 연동되는 연동리브(42,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동리브(42,42')는 상기 회전중심축(41)에 대해 대칭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25)가 록킹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동리브(32,32')와 각각 마주보는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후크(40)는 회전중심축(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스프링(45)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5)은 상기 걸림턱(43)이 상기 록홀더(50)에 체결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레버후크(40)를 탄성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후크(40)의 일측에는 레버후크(40)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46,4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46,46')는 본체(20)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규제돌기(23)와 연동되어 상기 레버후크(40)의 회전각도를 규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5)에는 상기 레버후크(40)의 걸림턱(43)과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도어(25)를 록킹하는 록홀더(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록홀더(50)는 상기 걸림턱(43)과 체결되어 상기 도어(25)가 본체(20)로부터 임의로 이격되어 오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는 도어(25)가 닫혀져 본체(20)에 록킹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오픈노브(30)가 상기 스프링(35,3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홈(21)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후크(40)의 걸림턱(43)이 상기 록홀더(50)에 걸려져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25)를 오픈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오픈노브(30)를 도 3의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도어(25)를 오픈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픈노브(30)를 스프링(35,3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연동리브(32)가 레버후크(40)의 연동리브(42)를 밀어주어 레버후크(40)를 회전중심축(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후크(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걸림턱(43)이 상기 록홀더(5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25)가 본체(20)로부터 오픈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오픈노브(30)를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면, 상기 오픈노브(30)는 스프링(35,3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되어 상기 연동리브(32')가 레버후크(40)의 연동리브(42')를 밀어 준다. 따라서, 상기 레버후크(40)가 회전중심축(41)을 중심으로,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림턱(43)이 록홀더(5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도어(25)가 본체(20)로부터 오픈될 수 있다.
그리고, 오픈노브(30)를 어느 방향으로든 이동시킨 후에, 사용자가 상기 오픈노브(30)를 놓게 되면, 상기 오픈노브(30)는 상기 스프링(35,3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오픈노브(30)의 이동 및 상기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레버후크(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게 된다. 이때의 레버후크(40)의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나, 단 상기 도어(25)가 본체(20)에서 이격되어 열려져 있으므로 상기 록홀더(50)는 상기 걸림턱(43)에서 빠져 나온상태이다.
한편, 도어(25)를 본체(20)에 밀착시켜 닫아주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5)를 본체(20)에 밀어붙여 주면 되는데, 이와 같이 도어(25)를 본체(20)에 밀어붙임에 의해 상기 록홀더(50)가 상기 걸림턱(43)의 경사진 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레버후크(40)를 회전중심축(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후크(40)가 회전되다가, 상기 도어(25)가 본체(20)에 완전히 밀착되면, 상기 록홀더(50)가 상기 걸림턱(43)의 경사진 면을 완전히 타고 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레버후크(40)가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턱(43)과 록홀더(50)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어(25)의 록킹이 완료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오픈장치는 도어를 오픈시키는 오픈노브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도어를 본체에 록킹시키고 있는 레버후크와 록홀더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사용자가 오픈노브의 이동방향을 확인할 필요 없이 도어의 오픈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사용의 편리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오픈시키는 도어오프부재,
    일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도어오픈부재의 양방향 이동에 의해 항상 상기 지지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도어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중심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도어오픈부재와 체결부재가 서로 연동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연동돌기, 및
    상기 체결부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도어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오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오픈부재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오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는 규제돌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오픈장치.
KR2019980008636U 1998-05-23 1998-05-23 도어오픈장치 KR200317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36U KR200317860Y1 (ko) 1998-05-23 1998-05-23 도어오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36U KR200317860Y1 (ko) 1998-05-23 1998-05-23 도어오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77U KR19990041677U (ko) 1999-12-27
KR200317860Y1 true KR200317860Y1 (ko) 2003-09-19

Family

ID=4933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636U KR200317860Y1 (ko) 1998-05-23 1998-05-23 도어오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8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77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3689B2 (en) Flush mounted latch
US5216905A (en) Lock, in particular, for suitcases or the like
JP2574073B2 (ja) 電気機械的装置の施錠可能化装置
JP2565751B2 (ja) 折り畳み式収納ドア
US4635454A (en) Latch gear lock assembly
WO2007063278A1 (en) Child safety gate assemblies
KR200317860Y1 (ko) 도어오픈장치
KR930020427A (ko) 뚜껑체 개폐장치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US4858969A (en) Door latch assembly
KR102457673B1 (ko) 선로 전환기의 커버 잠금 장치
KR101810482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0201059B1 (ko) 래치로크장치
JPS5926060Y2 (ja) 扉開閉装置
JP4627875B2 (ja) 蓋開閉装置
JPS6212049Y2 (ko)
KR0138859Y1 (ko)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장치
JP2559400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KR0118598Y1 (ko) 차량용 글루브박스 개폐장치
KR970003633Y1 (ko) 카셋트 데크 도어의 열림 및 닫힘장치
JP4858871B2 (ja) 開閉操作装置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870003962Y1 (ko) 전자레인지용 가열스위치
KR101810485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20220144985A (ko) 문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