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702Y1 -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 Google Patents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702Y1
KR200317702Y1 KR20-2003-0002396U KR20030002396U KR200317702Y1 KR 200317702 Y1 KR200317702 Y1 KR 200317702Y1 KR 20030002396 U KR20030002396 U KR 20030002396U KR 200317702 Y1 KR200317702 Y1 KR 200317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ase paper
art
line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구
Original Assignee
이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구 filed Critical 이원구
Priority to KR20-2003-0002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7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용 미술교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바탕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탕지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채색부,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제공하므로써, 유아들이 단순한 미술활동으로 미술작품을 완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로써 유아는 자연스럽게 미술활동에 접근하고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게 되고, 창의성, 인지, 정서, 연상, 유추, 미적감각 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교육교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놀이용 미술교재{Magic Art material for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놀이용 미술교재에 관한 것으로 유아들의 수준에 맞는 미술활동으로 미술작품을 완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기존의 미술교재의 경우에는 만 2, 3세 유아들의 발달수준에 맞지 않게 하나의 완성된 구체적인 사물이나 상황을 그리도록 하거나, 어른의 눈높이에 맞추어 아이들에게는 어려운 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유아들이 금방 흥미를 잃고 나아가 유아들로 하여금 미술활동에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유아용 놀이교재의 경우에도 하나의 완벽한 제품으로서 유아들이 제작에 참여할 수 없고 단지 수동적인 사용자의 입장에 그치므로써, 유아들의 창작 활동 및 자율성과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없었다.
특히, 유아용 그림교재는 미술교재로서의 활용이 대부분이고, 다른 활동을 유도하여 유아 교육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극히 드물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아들의 수준에 맞는 창작활동을 유도할 수 있고, 그를 통하여 완성도 높은 미술작품을 제작하게 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들이 놀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미술활동을 하고, 직접 놀이 교재제작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은 미술교재로서 뿐만 아니라, 완성된 작품으로 유아로 하여금 다양한 활동을 유도할 수 있어, 종합적인 유아교육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 호랑이 가면 제작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1b :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c : 완성된 가면을 도시한 도면.
도 2a : 꼬깔모자 제작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2b :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c : 완성된 꼬깔모자를 도시한 도면.
도 3a : 왕관 제작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3b :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c : 완성된 왕관을 도시한 도면.
도 4a : 도형이미지를 포함하는 종이블럭 제작 교재 및 종이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4b : 도형무늬를 포함하는 종이블럭 제작 교재 및 종이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4c : 종이블럭으로 만든 입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a : 균형잡는화살표 제작 교재 및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b : 균형잡이부착물을 붙인 화살표를 도시한 도면.
도 5c : 완성된 균형잡는화살표를 도시한 도면.
도 6a : 팽이 제작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6b :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c : 팽이에 팽이심지를 끼워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a : 카드 제작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7b : 유아의 미술활동이 들어간 카드를 도시한 도면.
도 7c : 카드를 펼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a : 동물맞추기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9b : 유아의 미술활동(선그리기) 및 여러무늬로 맞춘 동물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10a : 씨실날실달력 제작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10b : 달력판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c : 달력판에 유아가 날짜 및 요일을 기입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a : 그림판달력 제작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11b : 날짜를 기입한 달력을 도시한 도면.
도 11c : 바탕지 하지 일부에 유아가 그린 그림을 도시한 도면.
도 11d : 일주일 동안 날마다 유아가 그린 그림을 도시한 도면.
도 12a : 난 누구일까요?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12b : 바탕지 상지 일부를 뜯어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c : 바탕지 하지 일부에 유아가 그린 그림을 도시한 도면.
도 12d : 바탕지 하지의 이미지를 순서대로 맞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a : 동물스티커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13b : 바탕지 상지에 유아가 그린 줄무늬를 도시한 도면.
도 13c : 바탕지 상지의 이미지를 뜯어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d : 동물스티커를 교재로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a : 스크래치 놀이를 위한 교재를 도시한 도면.
도 14b : 유아의 미술활동을 도시한 도면.
도 14c :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 20, 30, 40, 50, 60, 70, 90, 100, 110, 120, 130, 140 : 바탕지.
110-1, 120-1, 130-1 : 바탕지 상지.
110-2, 120-2, 130-2 : 바탕지 하지.
66, 106, 111, 142 : 바탕지가 포함하는 채색부.
102 : 바탕지가 포함하는 완전절취선.
74, 78, 92, 103, 112, 122 : 바탕지가 포함하는 부분절취선.
11, 21, 41, 44, 51, 52, 53, 72, 76, 77, 91, 93, 108, 113, 114, 123, 124 : 윤곽선으로 형성되는 이미지.
13-1, 23-1, 32-1, 46-1, 47-1, 79 : 이미지의 채색부.
43, 73, 131 : 완전절취선으로 구성되는 이미지.
12, 22, 31, 42, 45, 54, 65, 68, 143 : 부분절취선으로 구성되는 이미지.
13-2, 23-2, 32-2, 46-2, 47-2, 55, 67, 93-1 내지 93-3, 107, 117, 118, 144, 145 : 유아의 미술활동.
48 : 종이블럭.
56 : 균형잡이부착물.
61 내지 64 : 구분된 바탕지 영역.
71 : 카드외부, 75 : 카드내부, 79 : 돋을부분.
101: 씨실지, 104 : 날실, 105 : 씨실.
115 : 날짜 표기용 빈칸.
141 : 코팅층.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의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에 있어서, 바탕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탕지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채색부,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미지는 윤곽선, 채색부, 또는 절취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절취선은 완전절취선 또는 부분절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미지는 도형이고, 상기 도형은 가장자리에 완전절취선으로 구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미지는 내부 임의의 장소에 적어도 하나의 균형잡이표식을 포함하고, 상기 균형잡이표식 부분에 일정한 부착물을 부착한 상태의 이미지의 무게중심부분에서 무게중심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미지는 도형이고, 상기 도형은 무게중심부분에 절취선으로 구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탕지는 상기 바탕지를 반으로 접어서 나뉘어지는 한 영역에 완전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상실된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실된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상실된 이미지를 포함하므로써 완성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바탕지는 중앙부에 적어도 2개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탕지는 상지 및 하지의 이중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지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균등한 영역과 상기 복수의 영역을 절취하기 위한 부분절취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각 이미지는 날씨 및 요일에 관한 그림 및 문자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지는 상기 상지의 복수의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으로 균등하게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탕지가 상지 및 하지의 이중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지는 복수의 균등한 영역과 상기 복수의 영역을 절취하기 위한 부분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하지는 상기 상지의 상기 복수의 영역 및 상기 부분절취선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 및 부분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하지의 각 영역에는 상기 하지의 영역을 분리하여 조합하면 하나의 사물이 될 수 있도록 하나의 사물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일부가 불연속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탕지가 상지 및 하지의 이중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지의 상기 하지측의 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하지의 상기 상지측의 면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지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의 윤곽선을 따라 완전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탕지는 요일을 나타내는 문자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균등한 영역 및 상기 복수의 균등한 영역을 분할하기 위한 완전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영역의 완전절취선 사이로 상하 교대로 삽입되는 일정한 폭을 갖는 보조용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탕지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바탕지는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바탕지는 동일한 수의 균등한 영역 및 상기 영역을 절취하기 위한 부분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바탕지의 이미지는 동일한 종류의 사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탕지는 상기 바탕지 상의 원색인쇄층, 및 상기 원색인쇄층 상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바탕지가 일정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의 윤곽선을 따라 부분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단,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호랑이가면
도 1a의 바탕지(10)를 준비한다. 바탕지로는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진 종이로서 크레파스, 색연필 등이 채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탕지 위에 호랑이 얼굴 이미지(11)를 인쇄한다. 그런다음 유아로 하여금 미술활동을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이미지 내부 일부분에 원색인쇄(13-1)를 한다. 여기서 인쇄란 단일색으로 일정한 선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윤곽선으로 형성되는 이미지를 형성하고, 원색인쇄란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여 일정한 면을 채우는 것으로 이미지의 채색부를 형성한다. 상기 호랑이 얼굴 이미지의 윤곽선, 눈, 및 양쪽 귀 부분의 줄걸이를 따라 부분절취선(12)을 넣어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부분절취선이란 가위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유아가 형상을 뜯어낼 수 있도록 점선 형태로 부분적 칼집을 내놓은 것이다.
완성된 미술교재에 유아로 하여금 크레파스, 색연필등 여러가지 채색 도구를 사용하여 자유로운 미술활동(13-2)을 하게 한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게 한다. 도 1c의 줄걸이에 줄을 끼우는 것으로 유아는 호랑이 가면을 완성한다.
실시예 2
꼬깔모자
도 2a의 바탕지(20) 위에 부채꼴의 꼬깔모자 이미지(21)를 인쇄한 후 이미지 내부 일부에 원색인쇄(23-1)를 하고, 그 윤곽선을 따라 부분절취선(22)을 넣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완성된 미술교재에 유아는 자유로운 미술활동(23-2)을 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낸다. 뜯어낸 부채꼴 형태의 양 끝을 연결하여 끼우므로써 도 2c의 꼬깔모자를 완성한다.
실시예 3
왕관
도 3a의 바탕지(30) 위에 톱니 이미지(31)를 부분절취선으로 처리한 뒤, 상기 부분절취선 일부를 포함하도록 바탕지에 원색인쇄(32-1)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완성된 미술교재에 유아는 자유로운 미술활동(32-2)을 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낸다. 절취된 두개의 톱니 이미지를 연결하여 끼우므로써 도 3c의 왕관을 완성한다.
실시예 4
종이블럭
도 4a의 바탕지(40) 위에 원, 오각형, 사각형, 삼각형 등의 도형 이미지(41)를 인쇄하고 그 중 몇개에 원색인쇄(46-1)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도형 이미지의 윤곽선을 따라 부분절취선(42)을 넣고, 슬릿(43)을 위한 완전절취선을 넣는 것으로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완전절취선이란 부분절취선과 구분되는 것으로 완전히 절취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다른 예로 도 4b의 바탕지(40) 위에 사선 및 가로선(44)을 인쇄하여 도형무늬가 연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몇개의 도형무늬 내부에 원색인쇄(47-1)를 하여둔다. 다음으로 수개의 도형무늬에 걸쳐 도형이미지(45)를 부분절취선으로 넣고, 슬릿(43)을 위한 완전절취선을 넣는 것으로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이때 바탕지(40)는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두꺼운 재질로서, 종이판과같이 쉽게 휘어지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된 미술교재에 유아로 하여금 도 4a의 자유로운 미술활동(46-2)을 하게 하거나, 도 4b의 도형 내부를 구분하여 채색(47-2)하도록 지도한다. 그런다음 각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면 도 4a 및 도 4b의 여러형태의 종이블럭(48)을 만들 수 있다. 유아는 상기 종이블럭을 끼워 맞추는 과정으로 도 4c와 같은 입체 형상을 완성한다.
실시예 5
균형잡는화살표
도 5a의 바탕지(50)에 화살표 이미지(51), 화살표 양옆 꼬리 부분에 균형잡이표식(52), 및 무게중심표식(53)을 인쇄한다. 이때 균형잡이표식은 균형잡이부착물, 예를들면 동전과 같은 일정한 무게를 갖는 부착물을 붙일 곳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미지 내부 임의의 1 내지 3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화살표 이미지에서는 양옆 꼬리부분 2곳을 임의로 선택하였다. 무게중심표식은 상기 균형잡이표식부분에 균형잡이부착물을 부착한 상태에서 그때 이미지의 무게중심이 되는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화살표의 윤곽선을 따라 부분절취선(54)을 넣어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이때 바탕지는 일반도화지의 두께로부터 마분지의 두께까지 사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이미지(51)에 따라 원색인쇄가 들어갈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이미지가 슈퍼맨의 이미지일 때 슈퍼맨의 팔, 다리 부분의 의상을 파란색으로 인쇄하여 두는 형태이다.
유아는 완성된 미술교재에 자유로운 미술활동(55)을 하고,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낸다. 도 5b와 같이 뜯어낸 화살표의 균형잡이표식에 균형잡이부착물(56)을 붙인다. 다음으로 도 5c와 같이 무게중심표식(54)을 꼬깔 등 뾰족한 부분에 놓아 균형을 잡도록 조정하면 완성된 균형잡는화살표를 감상할 수 있다.
실시예 6
팽이
도 6a의 바탕지(60)를 동일하게 네 영역(61 내지 64)으로 구분하는 선을 인쇄하고, 나누어진 각 부분마다 일정한 도형 이미지(65) 및 상기 도형의 중앙부에 구멍(68)을 부분절취선으로 넣는다. 이때 상기 구멍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연필 굵기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하지만, 상기 도형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한다. 그런다음 바탕지의 구분된 세 영역(61, 63, 64)에 빗금친 부분과 같이 원색인쇄(66)를 하고, 나머지 한 영역(62)에는 원색인쇄를 하지 않고 비워둔다. 이와같은 바탕지의 구분 및 채색부의 유무는 하나의 교재로부터 여러개의 팽이를 만들 수 있게 하고, 유아의 미술활동이 들어간 팽이와 그렇지 않은 것을 동시에 얻으므로써, 유아로 하여금 자신이 완성한 팽이와 이미 완성된 팽이를 비교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바탕지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완성된 미술교재에 유아로 하여금 원색인쇄가 들어가지 않은 바탕지 영역(62) 및 부분적으로 원색인쇄가 들어간 영역(61, 64)에 각각 미술활동를 하게 하고, 도 6b와 같이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게 한다. 도 6c와 같이 팽이심지가 될 수 있는 끝이 뾰족한 막대를 뜯어낸 도형의 중앙 구멍에 끼우면 종이팽이를 완성할 수 있다. 유아는 여러가지 도형으로 바꿔 끼우면서 다양한 팽이놀이를 하게된다.
실시예 7
카드
도 7a의 바탕지(70)를 접어 카드형태로 만든다. 이때 바탕지는 일반 도화지 두께로부터 마분지 두께까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카드외부 앞면(71)에 어린이 얼굴 이미지(72)를 인쇄하고, 상기 이미지 일부를 단순ㆍ도형화하여 절취하므로써 상실부분(73)을 만든다. 그런다음 카드 앞면에 상단을 제외한 가장자리 세면을 따르는 부분절취선(74) 및 카드 앞ㆍ뒤면에 바탕지를 반으로 접은 선을 중심으로 부분절취선(78)을 넣고, 도 7c의 카드 내부의 뒤면에 상실부분(73)을 포함하는 단어 (76)를 인쇄한다. 부분절취선(78)은 도 7c에서와 같이 카드를 폈을때 입체적으로 솟아오르는 돋을부분(79)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카드내부의 상기 돋을부분 및 상기 돋을부분 주위에는 단어(76)의 의미와 연관있는 형상(77)을 인쇄하고, 부분적으로 원색인쇄를 한다. 마지막으로 부분절취선(74)이 들어가 있는 카드의 세면 가장자리를 따라 카드 앞ㆍ뒤면을 접착하여 카드를 밀봉하는 것으로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단, 상기 가장자리를 따른 밀봉은 선택적인 것이며 카드를 밀봉하지 않은 때에는 카드는 접지 않은 채로 제공된다.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는 카드 외부에서 이미지의 상실부분을 채색등의 미술활동으로 채워 넣음으로써 완성된 이미지로 만들고, 부분절취선(74, 78)을 뜯어내게 한다. 그런다음 카드내부에 돋을부분이 생기도록 부분절취선(78)에 의해 부분절취된 부분을 안팎으로 접게한다. 유아가 카드를 펼치면 도 7c와 같이 자신이 완성시켰던 이미지의 일부를 포함한 단어(76) 및 그 단어의 의미와 연관이 있는 형상(77)을 보게되고, 이를 통해 글자를 익히는 기회를 가진다. 또한 유아는 상기 형상(77)에 채색하는 등의 또다른 미술활동을 할 수 있다.
실시예 9
동물맞추기
도 9a의 바탕지(90)는 여러장이 묶여 한세트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바탕지는 일반도화지 두께로부터 마분지 두께까지 가능하다. 각 장마다 다른 동물의 이미지 91을 인쇄한다. 상기 인쇄는 동물에 따라 특징있는 무늬(93) 몇개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거북이에는 나선형 무늬, 물고기에는 물결무늬, 고슴도치에는 짧은선, 카멜레온에는 빗살무늬 등이다. 또한 한세트를 이루는 바탕지 각장의 이미지는 동일 종류의 다양한 사물의 이미지이면 된다. 예를들면, 다양한 과일들, 사과, 오렌지. 수박, 복숭아 등이거나, 다양한 꽃들, 장미, 튤립, 국화, 무궁화 등일수 있다. 그런다음 각 바탕지의 이미지 내부에 원색인쇄를 하고, 바탕지가 묶인 부분으로부터 바탕지를 3등분하는 부분절취선(92)을 각 장마다 넣는 것으로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이때 부분절취선은 바탕지의 사물의 이미지도 3부분으로 나누도록 하는 것이다.
유아는 동물 이미지에 도 9b와 같은 무늬(93-1 내지 93-3)를 넣는 미술 활동을 한다. 이때 미술활동은 이미 인쇄되어 있는 각 장의 동물마다 특징있는 몇개의 무늬를 따라 그리도록 하는 것으로, 선그리기 연습이 될 수 있다. 그런다음 바탕지를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어 3등분 한 후, 3등분된 바탕지를 넘기는 활동을 통해, 도 9b와 같이 여러 동물의 일부로 각 부분마다 다른 무늬를 가지는 하나의 동물로 합쳐 보거나, 혹은 다시 원래의 형태로 맞추는 놀이를 할 수 있다.
실시예 10
달력 I(씨실날실달력)
도 10a의 바탕지(100)와 씨실지(101)를 준비한다. 상기 바탕지에 상기 바탕지를 등분하는 완전절취선(102)을 넣어 바탕지의 일부가 절취된 상태로 있는 "날실판"을 제작한다. 이때 상기 완전절취선으로 구분되는 바탕지 부분은 날실(104)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씨실지로는 일반도화지 또는 마분지등을 사용하며 상기 씨실지를 등분하는 부분절취선(103)을 넣어 상기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면 씨실(105)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씨실(105)은 날실판의 완전절취선 사이로 상하 교대로 삽입되므로써 짜여지는 것이며, 바람직하게 각 날실 및 씨실은 여러 색상으로 원색인쇄(106)되어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날실판의 상단부 가로 한 줄에는 요일을 나타내는 문자(108)를 인쇄하여 둔다.
도 10b와 같이 유아는 씨실지의 부분절취선을 뜯어내어 만든 여러가닥의 씨실을 날실판 완전절취선 사이에 엇갈려 끼워 도 10c의 달력판을 완성한다. 완성된 달력판에는 씨실과 날실이 교차하므로써 칸이 이루어지며, 특히 날실판에 인쇄된 요일의 일부가 씨실로 가려지게된다. 여기에 유아는 기존의 달력을 보면서 씨실로 가려진 요일 및 날짜(107)들을 채워 넣음으로써 달력을 완성할 수 있다.
실시예 11
달력 II(그림판달력)
도 11a의 바탕지 상지(110-1)와 바탕지 하지(110-2)를 준비한다. 상기 상지에 상기 상지를 등분하는 선 및 하단의 가로선을 부분절취선(112)으로 넣고, 날씨를 나타내는 그림(113), 및 요일을 나타내는 글자(114)를 인쇄한다. 날짜를 표기하도록 남겨놓은 빈칸(115)은 유아가 직접 날짜를 적는 부분이 된다. 하지는 상지와동일한 방법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색상의 원색인쇄를 한다. 그리고 상지 하단부에도 하지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색상의 원색인쇄(111)를 하므로써 하지로부터 연결되는 느낌을 주도록 한다. 그런다음 상지와 하지를 상단 및 하단부에서 접착하여 연결하므로써 바탕지(110)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도 11b와 같이 일주일동안 날마다 유아로 하여금 날짜 표기용 빈칸(115)에 날짜(117)를 기입하게 하고, 도 11c와 같이 부분절취선을 따라 상지를 뜯어내면 나타나는 하지에 그림(118)을 그리게 한다. 일주일이 지나면 도 11d와 같이 하지에 요일별로 그렸던 그림을 한꺼번에 볼수 있다.
실시예 12
난 누구일까요?
도 12a의 바탕지 상지(120-1)와 바탕지 하지(120-2)를 준비한다. 상지에 상기 바탕지를 등분하는 부분절취선(122)을 넣는다. 그리고 등분되는 부분별로 다른 색상으로 원색인쇄를 한다. 하지에도 부분절취선(122), 사물의 이미지(123), 및 사물의 이름(124)을 인쇄한다. 단, 이때 사물 이미지는 상기 사물을 구성하는 부분절편들이 엇갈린 순서로 배치되며 상기 부분절취선으로 등분되는 부분마다 상기 부분절편을 한조각씩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들도 엇갈린 순서로 배치되어 하지의 등분되는 부분마다 몇개씩 포함하고 있는 형태이다. 상지와 하지를 연결하여 바탕지(120)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도 12b와 같이 유아가 상지의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면 하지의 사물이미지의 일부를 보게된다. 유아로 하여금 그것이 어떤 사물의 일부인지 상상하게 하고, 도 12c과 같이 그것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를 하지에 그리도록 지도한다. 상기 활동을 반복해서 나타나는 하지의 이미지는 사물의 부분절편들이 뒤섞여 있는 형태이다. 그러면 유아로 하여금 하지를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고 순서대로 맞추게 하여 도 12d와 같이 원래의 사물 이미지를 완성하도록 한다. 결과 사물의 모습 및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3
동물스티커
도 13a의 바탕지(130)는 스티커지로 준비한다. 스티커지란 한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된 상지(130-1), 및 한면에 코팅이 되어있는 하지(130-2)가 접착되어 한 세트를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상기 상지에 말 이미지를 완전절취선(131)으로 넣는다.
유아로 하여금 도 13b와 같이 상지에 줄무늬를 그리게 지도한다. 이때 무늬는 사물이미지에 따라 다르게 그리도록 지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물고기, 부엉이에는 물결무늬를; 무당벌레, 나비에는 점무늬를; 달팽이, 뱀에는 나선무늬를 그리게 하는 것이다. 그런후 도 13c와 같이 상지의 완전절취선을 따라 이미지를 떼어내면 줄무늬가 있는 얼룩말이 완성된다. 도 13d는 완성된 얼룩말을 각 면마다 다른 배경이 그려져 있는 육면체에서 초원 배경이 그려져 있는 면을 찾아 붙이는 활동을 유도하므로써 교재로 활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시예 14
스크래치놀이
도 14a의 바탕지(140)의 한면 전체를 여러색을 사용하여 인쇄하므로써 원색인쇄층 141을 이루게 한다. 이것은 일정한 형태를 이룰 필요 없이 바탕지 전체를 다양한 색으로 채색하여 메우는 것이다. 그런다음 상기 인쇄층 위에 코팅층(142)를 형성하고, 이미지를 부분절취선(143)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를 완성한다.
유아는 도 14b와 같이 코팅층 위에 검은색 크레파스로 칠한 뒤(144), 뾰족한 도구를 사용하여 검은색 크레파스를 긁어낸다(145). 긁어낸 부분에서는 검은색 크레파스 아래 인쇄된 원색인쇄층이 나타난다. 그런다음 도 14c와 같이 부분절취선을 따라 뜯어내면 미술작품을 완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는 유아의 수준에 맞는 자유롭고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완성도 높은 작품의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써, 미술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킴은 물론, 창의성 발달 및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의 유아놀이용 미술교재는 단순한 미술교육 뿐만 아니라, 유아로 하여금 완성된 작품으로 여러가지 다양한 활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활용도 높은 교육교재로 사용되게 되고, 종합적으로 유아의 지능을 발달 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5)

  1. 유아놀이용 미술교재에 있어서,
    바탕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탕지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채색부,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윤곽선, 채색부, 또는 절취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완전절취선 또는 부분절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 도형이고, 상기 도형은 가장자리에 완전절취선으로 구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내부 임의의 장소에 적어도 하나의 균형잡이표식을 포함하고, 상기 균형잡이표식 부분에 일정한 부착물을 부착한 상태의 이미지의 무게중심부분에서 무게중심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 도형이고, 상기 도형은 무게중심부분에 절취선으로 구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지가 상기 바탕지를 반으로 접어서 나뉘어지는 한 영역에 완전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상실된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실된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 상기 상실된 이미지를 포함하므로써 완성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바탕지는 중앙부에 적어도 2개의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8. 삭제
  9. 삭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지가 상지 및 하지의 이중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지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균등한 영역과 상기 복수의 영역을 절취하기 위한 부분절취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각 이미지는 날씨 및 요일에 관한 그림 및 문자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지는 상기 상지의 복수의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으로 균등하게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지가 상지 및 하지의 이중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지는 복수의 균등한 영역과 상기 복수의 영역을 절취하기 위한 부분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하지는 상기 상지의 상기 복수의 영역 및 상기 부분절취선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 및 부분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하지의 각 영역에는 상기 하지의 영역을 분리하여 조합하면 하나의 사물이 될 수 있도록 하나의 사물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일부가 불연속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12. 제 3 항에 있어서, 바탕지가 상지 및 하지의 이중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지의 상기 하지측의 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하지의 상기 상지측의 면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지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의 윤곽선을 따라 완전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지가 요일을 나타내는 문자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균등한 영역 및 상기 복수의 균등한 영역을 분할하기 위한 완전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영역의 완전절취선 사이로 상하 교대로 삽입되는 일정한 폭을 갖는 씨실을 제작하기 위한 씨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지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바탕지는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바탕지는 동일한 수의 균등한 영역 및 상기 영역을 절취하기 위한 부분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바탕지의 이미지는 동일한 종류의 사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지가 상기 바탕지 상의 원색인쇄층, 및 상기 원색인쇄층 상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바탕지가 일정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의 윤곽선을 따라 부분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KR20-2003-0002396U 2003-01-24 2003-01-24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KR200317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96U KR200317702Y1 (ko) 2003-01-24 2003-01-24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96U KR200317702Y1 (ko) 2003-01-24 2003-01-24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919A Division KR100442108B1 (ko) 2003-01-24 2003-01-24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702Y1 true KR200317702Y1 (ko) 2003-06-25

Family

ID=4933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396U KR200317702Y1 (ko) 2003-01-24 2003-01-24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7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dman Tactile graphics
KR100442108B1 (ko)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KR200317702Y1 (ko) 유아놀이용 미술교재
US3408932A (en) Game
Proctor Principles of pattern design
DE202006006227U1 (de) Unterrichts- und/oder Unterhaltungssystem, bestimmt für Kinder, für ein textiles Erzeugnis und/oder dessen Zubehör
US20130273269A1 (en) Personalized Keepsake
KR100924084B1 (ko) 모래와 사포조각을 이용한 그림 학습방법
US20080000116A1 (en) Photo/greeting card memento basket kit
KR200257740Y1 (ko) 공 모양의 접기 놀이용 종이
KR200194208Y1 (ko) 일정한 찍힘이 되어있는 종이접기용 종이(접기놀이 할수있는 모든 물질 포함)
KR100561445B1 (ko) 도형 스케치북
JPH0112870Y2 (ko)
Hart Pretty things
KR100503621B1 (ko) 유아용 교재
KR200332281Y1 (ko) 유아용 교재
KR200175633Y1 (ko) 입체놀이용 학습구
Mack Celebrate cultural diversity
JPH044623Y2 (ko)
KR20220029981A (ko) 그림 칠교 놀이방법 및 그림 칠교세트
KR200332280Y1 (ko) 유아용 교재
KR100503619B1 (ko) 유아용 교재
CZ9901910A3 (cs) Zábavná didaktická pomůcka
JP3027501U (ja) 粘土遊び絵本
KR100897906B1 (ko) 어린이용 대칭무늬 놀이 세트 및 대칭무늬 놀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