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323Y1 -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323Y1
KR200317323Y1 KR20-2003-0008357U KR20030008357U KR200317323Y1 KR 200317323 Y1 KR200317323 Y1 KR 200317323Y1 KR 20030008357 U KR20030008357 U KR 20030008357U KR 200317323 Y1 KR200317323 Y1 KR 200317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sheet
seat
laminated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융치
Original Assignee
백융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3350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1732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백융치 filed Critical 백융치
Priority to KR20-2003-0008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6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 A47G9/062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for covering the ground, e.g. picnic or beach blan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Abstract

본 고안은 피브이씨 쉬트의 상면에 망의 형태로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직포를 융착시킨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한 장을 바닥판으로 하여 그 위에 단위 나무편들을 밀집배열하여 접착시킨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나무자리는, 50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경사(11B1)와 25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위사(11B2)를 각각 1인치당 12사 및 18사가 되도록 격자형으로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직포(11B)를 피브이씨 쉬트(11A) 표면에 융착시킨 0.5∼0.8mm 두께의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상면에 밀집배열하여 접착된 단위 나무편(12)들과; 단위 나무편(12)들이 접착된 상기 바닥판(11)의 테두리를 감싼 마감부재(13)로 구성되며, 접착강화부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직포를 피브이씨 쉬트에 융착시켜 일체화된 한 장의 바닥판을 사용함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나무자리는 바닥판과 단위 나무편 사이의 접착력이 강화되어 나무자리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1회의 접착 공정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나무자리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The wooden mat using laminated PVC sheet}
본 고안은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Laminated PVC sheet)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피브이씨 쉬트의 상면에 망의 형태로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직포를 융착시킨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를 바닥판으로 하여 다수가 아닌 한 장의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에 단위 나무편들을 밀집배열하여 접착시킴으로써, 단위 나무편들과 상기 바닥판 사이의 접착력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적어도 두 장 이상의 바닥판을 사용한 종래의 나무자리와 달리 한 장의 바닥판을 사용함으로써 나무자리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있는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바닥 장식재로서의 역할도 하게 되는 보조 바닥재인 각종 자리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카페트와 나무자리이다.
상기 카페트는 주로 서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자리로서 방음의 효과와 더불어 포근한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어 국내에서도 그 수요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세탁이 어렵고 먼지가 많이 끼며 진드기 등의 해충에게 서식환경을 제공하게 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을 뿐 아니라, 어린 아이나 천식이 있는 사람에게는 건강상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어 일반 가정보다는 호텔이나 리셉션 장소 등 공공의 대형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서구에 비하여 특히 고온 다습한 특징을 보이는 우리나라의 여름철에는 공기 중에 함유된 과다한 습기에 의해 사람들이 많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바, 각 가정에서는 상기 카페트 보다 나무자리가 더욱 선호되는 바, 나무자리는 일상 생활에서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눅눅한 불쾌감을 감소시켜 신체와의 접촉시 청량감을 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생활수준의 향상과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보급 확대와 함께 거실이 생활의 주공간으로 자리를 잡게 됨에 따라, 상기 나무자리는 거실을 보다 안락하게 하는 동시에 장식적인 인테리어로서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보조 바닥재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나무자리의 역할을 옛부터 수행하여 왔던 전통적인 자리로는 화문석을 들 수 있으나, 그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보관도 쉽지 않기 때문에 점차 사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보관이 비교적 쉽고 튼튼한 나무자리가 그 역할을 대체하게 되었으며, 나무자리의 경우 종래에는 대나무를 소재로 하여 여름철에 주로 사용되는 계절 상품의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 대나무자리는 비교적 매끄럽고 경한 표면과 달리 그 내면은 미세한 나무결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연하기 때문에 가공 대나무의 배면이 되는 상기 내면이 다른 물체와의 접촉마찰시 가시와 같은 미세한 대나무 칩들이 바닥에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표면에 마찰시 신체에 가시가 박히게 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대나무자리 보다 고급스러우며 대나무자리의 단점들을 해결할수 있는 나무자리가 개발되었는 바, 나무자리는 단풍나무, 오크(oak) 등의 원목을 가공하거나, 엠디에프(MDF) 또는 에이치디에프(HDF) 등의 섬유판 표면에 무늬목을 접착시킨 후 그 표면을 고광택 처리하여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다수의 단위 나무편들을 바닥판 표면에 접착시킨 것으로, 겨울철에도 난방이 잘 되는 아파트 주거 생활의 확대 보급과 함께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나무자리는 다음과 같은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나무자리는 바닥판의 상면에 티씨 직포를 접착하고, 그 위에 단위 나무편들을 밀집배열시켜 접착한 후 테두리를 마감부재로 마감처리한 구조로서, 상기 종래의 바닥판은 재생 비닐을 발포시킨 카렌다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단위 나무편과의 접착력 강화를 위하여 상기 카렌다지와 단위 나무편을 직접 접착시키지 않고 그 사이에 접착강화부재로서 상기 티씨 직포를 개재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나무자리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카렌다지 바닥판에 티씨 직포를 접착한 후 그 위에 단위 나무판을 다시 접착하여야 하는 2회의 접착 과정으로서, 이러한 2회의 접착 과정은 나무자리의 제조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될 뿐 아니라 불량 발생의 확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바닥판으로 사용되는 상기 카렌다지의 폭으로서, 현재 생산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나무자리의 폭은 6자, 7자, 8자 등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나, 현재 생산되고 있는 상기 카렌다지의 최대 폭은, 설비적인 문제에 의해, 60인치 이하로 생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종래의 나무자리의 바닥판으로 사용되는 상기 카렌다지는 나무자리의 폭방향을 따라 적어도 2장 이상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나무자리를 구성하는 바닥판에는 카렌다지들이 만나 접하게 되는 접합경게부가 필연적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나무자리를 장시간 사용시 두 카렌다지가 맞닿은 상기 경계부가 손상되기 쉽고, 바닥판과 티씨직포 및 단위 나무편의 각 경계부 모두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었기 때문에 접착제의 경시열화에 의한 접착력 약화와 그에 따른 나무자리의 내구성 저하가 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카렌다지는 재생 비닐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 상면에 티씨 직포를 접착시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나무자리의 제조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고안은 카렌다지를 바닥판으로 사용한 종래 나무자리가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닥판과 접착강화부재를 일체로 하여 나무자리의 폭과 같은 광폭으로 바닥판을 구성함으로써, 바닥판과 접착강화부재 사이의 접착제 경시열화에 의한 접착력 약화와 같은 단점이 근본적으로 배제되며, 한 장의 바닥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무자리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나무자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 나무자리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나무자리를 구성하는 바닥판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고안 나무자리를 구성하는 바닥판의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바닥판 12. 단위 나무편
13. 마감부재 21.. 용융로
22. 냉각 롤러 23. 성형 롤러
11B1. 폴리에스테르 경사 11B2. 폴리에스테르 위사
F. 폴리에스테르 직포 G. 피브이씨 겔
P. 피브이씨 알갱이 S. 피브이씨 쉬트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피브이씨 쉬트와 폴리에스테르 직포의 융착 구조에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는, 상기 피브이씨 쉬트와 폴리에스테르 직포를 일체화시킨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를 바닥판으로 사용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상기 바닥판은 나무자리의 폭 이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나무자리에 한 장의 바닥판만이 사용된다.
본 고안의 나무자리는, 종래 나무자리가 카렌다지/티씨 직포/단위 나무편이 일련의 순으로 접착되는 3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데 비하여,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과 단위 나무편이 접착되는 2층의 적층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은, 피브이씨 쉬트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직포가 융착된 2층의 적층 구조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나무자리 역시 결과적으로는 종래의 나무자리와 같이 3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도 있으나, 카렌다지와 티씨 직포는 단순 접착에 의한 2층의 적층 구조로서 접착제층을 감안하면 3층의 적층 구조가 되기 때문에, 접착제 없이 융착에 의해 일체화된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과는 구조적으로 구별된다.
즉, 본 고안의 나무자리에 사용된 상기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은 그 제조 과정에서 응고되기 전의 피브이씨 쉬트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직포가 합체되어 융착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로서, 접착제가 개재됨이 없이 완전 응고되지 않은 피브이씨 쉬트 표면에 직포가 놓인 후 눌려진 상태에서 피브이씨 쉬트의 응고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피브이씨 쉬트와 일체화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 볼때 직포의 하부가 다소간 피브이씨 쉬트 내부로 함침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피브이씨 쉬트와 폴리에스테르 직포 사이의 접착력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 보다 더욱 크게 되어 그 내구성이 향상되며, 종래의 바닥판과 접착강화부재가 일체화 됨으로써, 본 고안의 나무자리는 바닥판인 상기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에 직접 단위 나무편들을 접착시키게 되어 나무자리 제조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일실시예 나무자리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 2에 본 고안 나무자리에 사용되는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나무자리는, 피브이씨 쉬트(11A)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직포(11B)가 융착된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상면에 밀집배열하여 접착된 단위 나무편(12)들과, 단위 나무편(12)들이 접착된 상기 바닥판(11)의 테두리를 따라 바닥판(11)과 단위 나무편(12)들을 감싼 마감부재(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11)은 나무자리 하나에 한 장만이 사용되고, 그에 따라 본 고안 나무자리의 바닥판에는 종래 카렌다지를 사용한 경우와 달리 경계부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나무자리는 상기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11)에 그 구조적 특징이 있는 바, 이 바닥판(11)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브이씨 알갱이(P)들이 용융로(21)에서 용융된 피이브씨 겔(G)을 노즐로 분사하여 한 쌍의 냉각 롤러(22) 사이로 통과시키고, 냉각 롤러(22)를 통과하였으나 완전히 응고되지 않은 피브이씨 쉬트(S)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직포(F)를 공급하여 적층한 후 이를 압착하면서 냉각시키는 상·하 한 쌍의 성형 롤러(23)로 통과시켜 상기 피브이씨 쉬트(S)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직포(F)가 융착되도록 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본 고안에 사용된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11)이 얻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지는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11)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직포(F)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데니어(denier)의 폴리에스테르 경사(11B1)와 25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위사(11B2)를 각각 1인치당 12사 및 18사가 되도록 격자형으로 직조한 것이며, 이때 최종 바닥판(11)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나, 0.5∼0.8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바닥판(11)의 두께를 한정한 것은, 상기 두께가 0.5mm에 미치지 못하면 내구성이 떨어져 피브이씨 쉬트가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0.8mm를 초과하게 되면 나무자리의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무거워질 뿐 아니라, 나무자리를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서 원호상으로 말 때 잘 말아지지 않게 되는 등 사용 상의 불편함이 초래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경사와 위사의 굵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킬수도 있으나, 바닥판의 두께와 직조 형태를 감안할 때 상기의 굵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나무자리는 종래의 나무자리와 달리 접착강화부재가 일체화된 바닥판을 사용함으로써 바닥판과 단위 나무편 사이의 접착력이 강화되어 나무자리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면서, 1회의 접착 공정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나무자리의 제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단위 나무편 다수를 바닥판에 접착시킨 나무자리에 있어서, 피브이씨 쉬트(11A)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직포(11B)가 융착되고, 이음부 또는 접합경계부가 없이 한 장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상면에 밀집배열하여 접착된 단위 나무편(12)들과; 단위 나무편(12)들이 접착된 상기 바닥판(11)의 테두리를 따라 바닥판(11)과 단위 나무편(12)들을 감싼 마감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포(11B)는 500데니어(denier) 폴리에스테르 경사(11B1)와 250데니어 폴리에스테르 위사(11B2)를 각각 1인치당 12사 및 18사가 되도록 격자형으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11)의 두께는 0.5∼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KR20-2003-0008357U 2003-03-20 2003-03-20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KR200317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57U KR200317323Y1 (ko) 2003-03-20 2003-03-20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57U KR200317323Y1 (ko) 2003-03-20 2003-03-20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323Y1 true KR200317323Y1 (ko) 2003-06-25

Family

ID=4933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357U KR200317323Y1 (ko) 2003-03-20 2003-03-20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3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0950A1 (en) One piece floor mat for use as vehicle floor mat, doormat and sports mat
US20170105541A1 (en) Upholstered furniture piece having upholstered arm panels
KR200317323Y1 (ko) 라미네이티드 피브이씨 쉬트 바닥판을 이용한 나무자리
JPH0554822B2 (ko)
US6988287B1 (en) Topper for a bed and method of use
JP3964997B2 (ja) 畳用芯材および畳
JPH0535750Y2 (ko)
JP2000096810A (ja) 畳床およびこれを用いた畳
JP2003024205A (ja) 敷 物
CN2263483Y (zh) 带有软垫物的叠层席
JP2002194884A (ja) 床 材
JP2017115360A (ja) 床面構造体
JP3005687U (ja)
JP2000170358A (ja) 合成畳用芯材、合成畳用畳床及び合成畳
JP2549536Y2 (ja) 畳 床
KR200317337Y1 (ko) 나무자리
JPH0333883Y2 (ko)
JPS6324184Y2 (ko)
JPS6126044Y2 (ko)
CN2339080Y (zh) 二用叠层席
KR200222779Y1 (ko) 카페트 겸용 나무자리
JP2567905Y2 (ja) 床 材
KR20240000354U (ko) 대나무 매트
JPH0782862A (ja) 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19978A (ja) 薄畳及び薄畳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223

Effective date: 20060407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1012

Effective date: 2008022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16

Effective date: 200802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725

Effective date: 200901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RREC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29

Effective date: 2009041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104

Effective date: 2009041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328

Effective date: 2008123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115

Effective date: 20090409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929

Effective date: 200904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416

Effective date: 20090518

EXTG Extinguishment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090220

Effective date: 2009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