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234Y1 -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234Y1
KR200317234Y1 KR2019980012348U KR19980012348U KR200317234Y1 KR 200317234 Y1 KR200317234 Y1 KR 200317234Y1 KR 2019980012348 U KR2019980012348 U KR 2019980012348U KR 19980012348 U KR19980012348 U KR 19980012348U KR 200317234 Y1 KR200317234 Y1 KR 200317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nickel substrate
terminal
battery cell
contac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481U (ko
Inventor
전승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2019980012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23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밧데리 단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류가 발생되는 밧데리셀(10)과, 이 밧데리셀(10)이 내장설치되며 밧데리의 외형을 이루는 상,하케이스(20,30), 상기 밧데리셀(10)에 니켈기판(40)을 매개로 연결되어 케이스(20,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로 구성된 휴대폰용 밧데리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셀(10)과 조립되는 니켈기판(40)의 하부에는 상,하접촉단자(51,52)와 결합되는 리브(41)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상케이스(20)에는 상,하접촉단자(51,52)가 부착설치된 몰드물(60)이 삽입되는 홀(70)을 형성하는 한편, 이 홀(70)을 통해 삽입되는 몰드물(60)은 상단과 하단에 상,하접촉단자(51,52)가 부착설치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니켈기판(40)의 리브(41)가 끼워지는 슬릿(61)이 형성되고, 이 슬릿(61)의 측면에는 상기 상,하접촉단자(51,52)와 일체로 연결된 연장부(53)가 위치하여 상기 니켈기판(40)의 리브(41)와 접촉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작에 따른 수고와 비용을 덜수 있으며, 기판과 단자간의 납땜작업에 따른 조립불량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아니라 점점 소형화 되어가는 현재의 휴대폰 추세에 맞춰 밧데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타 회사에 대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데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Structure for mountuig terminal of battery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에 사용되는 밧데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의 외함에설치되는 단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통신산업의 발달로 인해 장소나 시간에 구애없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이 개발되어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한 휴대폰을 수시로 꺼내서 사용기 때문에 옷주머니 등과 같이 신체에 가까운 곳에 항상 휴대하고 다니게 된다.
이러한 휴대폰은 통신을 위한 각종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본체와, 이 본체 후면 등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폰은 전원을 항시 공급받는 전화기와는 달리 전원 공급을 오로지 밧데리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는 바, 밧데리는 휴대폰의 통화품질, 통화시간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부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밧데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발생되는 밧데리셀(101)과, 이 셀(101)이 내장설치되며 밧데리의 외형을 이루는 상,하케이스(102,103) 상기 밧데리셀(101)에 니켈기판(104)을 매개로 연결되어 케이스(102,103)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부은 밧데리셀(101)의 전류를 휴대폰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밧데리의 상 케이스(102)에 고정설치되는 몰드물(105)에 접촉단자(106)가 부착된 구조로, 이 접촉단자(106)는 몰드물(105)의 상하면에 접촉면이 위치하고, 접촉단자(106)는 각각 리드선이 연장되어 밧데리셀(101)에 접촉되는 니켈기판(104)과 납땜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단자구조는 몰드물과 접촉단자가 인서트 사출되어 동일 구조물을 이루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휴대폰이나 밧데리 등이 소형화됨에 따라 조립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단자는 일단 니켈기판과 단자부의 리드선을 납땜으로 연결한 후 밧데리 상케이스에 단자부의 몰드물을 고정시키고 최종적으로 상케이스와 하케이스를 초음파로 접착고정시키게 되는 바, 납땜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공정이 복잡하고, 케이스 조립시 단자에 변형이 발생할 소지가 높아 불랑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 케이스와 하케이스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단자와 니켈기판 또는 단자 자체가 변형되어 불랑 조립될 뿐아니라, 이와같은 케이스 조립과정에서는 그 하자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최종 조립이 끝난 후 확인하게 되므로 밧데리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니켈기판에 단자와의 조립부를 형성하여 밧데리셀과 조립시키고 상하케이스를 조립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니켈기판의 조립부에 접촉단자가 부착되어 있는 몰드물을 끼워결합시킴으로서,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단자 결합전에 미리 불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불랑률을 낮출 수 있도록 된 휴대폰의 밧데리 단자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밧데리의 상케이스에 내장되는 밧데리셀과 니켈기판을 조립하되 이 니켈기판의 하부에는 접촉단자와 결합되는 리브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상케이스에는 접촉단자가 설치된 몰드물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이 홀을 통해 삽입되는 몰드물은 상단과 하단에 접촉단자가 위치하면서 내측으로 상기 니켈기판의 리브가 끼워지는 슬릿이 형성되고, 이 슬릿의 측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와 일체로 연결된 연장부가 위치하여 상기 니켈기판의 리브와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밧데리 케이스를 접착시켜 니켈기판의 조립상태를 확인한 후에 최종적으로 접촉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몰드물을 설치하게 되어 불랑률을 낮출 수 있으며, 니켈기판과 접촉단자와의 납땜공정을 없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 단자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설치된 상태의 밧데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밧데리셀 20 : 상케이스
30 : 하케이스 40 : 니켈기판
41 : 리브 51 : 상접촉단자
52 : 하접촉단자 53 : 연장부
60 : 몰드물 61 : 슬릿
70 : 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 단자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설치된 상태의 밧데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휴대폰의 밧데리는, 전류가 발생되는 밧데리셀(10)과, 이 셀(10)이 내장설치되며 밧데리의 외형을 이루는 상,하케이스(20,30), 상기 밧데리셀(10)에 니켈기판(40)을 매개로 연결되어 케이스(20,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한 구조의 밧데리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셀(10)과 조립되는 니켈기판(40)의 하부에는 상,하접촉단자(51,52)와 결합되는 리브(41)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상케이스(20)에는 상,하접촉단자(51,52)가 부착설치된몰드물(60)이 삽입되는 홀(70)을 형성하는 한편, 이 홀(70)을 통해 삽입되는 몰드물(60)은 상단과 하단에 상,하접촉단자(51,52)가 부착설치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니켈기판(40)의 리브(41)가 끼워지는 슬릿(61)이 형성되고, 이 슬릿(61)의 측면에는 상기 상,하접촉단자(51,52)와 일체로 연결된 연장부(53)가 위치하여 상기 니켈기판(40)의 리브(41)와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밧데리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케이스(20) 내부에 놓여지는 밧데리셀(10)과 니켈기판(40)을 먼저 조립하게 되면 니켈기판(40) 후방쪽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리브(41)는 상케이스(20)에 형성되어 있는 홀(70)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케이스(20)에 하케이스(30)를 접착하여 밧데리 외형을 완성한 후 상기 홀(70)을 통해 노출되는 니켈기판(40)의 리브(41)를 통해 밧데리셀(10)과 니켈기판(40)과의 조립상태를 미리 검사한다.
즉, 상기 리브(41)를 통해 밧데리가 최종적으로 조립되기 전에 니켈기판(40)과 밧데리셀(10)과의 회로연결상태를 미리 점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검사에 의해 하자가 발견되지 않게 되면 바로 상기 홀(70)에 상,하접촉단자(51,52)가 설치되어 있는 몰드물(60)을 삽입시켜 밧데리를 최종적으로 조립하게 되는 바, 상기 홀(70)에 위치하고 있는 니켈기판(40)의 리브(41)가 상기 몰드물(6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61)에 끼워지면서 몰드물(60)은 상케이스(51)에 조립되기 되고, 상기 리브(41)는 슬릿(61)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하접촉단자(51,52)의 연장부(53)와 접촉되어 회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같이, 밧데리 케이스를 접착시켜 니켈기판의 조립상태를 확인한 후에 최종적으로 상,하접촉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몰드물을 설치하게 되어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니켈기판과 상,하접촉단자의 남땜공정을 없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밧데리 단자 설치구조에 의하면,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작에 따른 수고와 비용을 덜수 있으며, 기판과 단자간의 납땜작업에 따른 조립불량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아니라 점점 소형화 되어가는 현재의 휴대폰 추세에 맞춰 밧데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타 회사에 대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류가 발생되는 밧데리셀(10)과, 이 밧데리셀(10)이 내장설치되며 밧데리의 외형을 이루는 상,하케이스(20,30), 상기 밧데리셀(10)에 니켈기판(40)을 매개로 연결되어 케이스(20,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로 구성된 휴대폰용 밧데리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셀(10)과 조립되는 니켈기판(40)의 하부에는 상,하접촉단자(51,52)와 결합되는 리브(41)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상케이스(20)애는 상,하접촉단자(51,52)가 부착설치된 몰드물(60)이 삽입되는 홀(70)을 형성하는 한편, 이 홀(70)을 통해 삽입되는 몰드물(60)은 상단과 하단에 상,하접촉단자(51,52)가 부착설치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니켈기판(40)의 리브(41)가 끼워지는 슬릿(61)이 형성되고, 이 슬릿(61)의 측면에는 상기 상,하접촉단자(51,52)와 일체로 연결된 연장부(53)가 위치하여 상기 니켈기판(40)의 리브(41)와 접촉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밧데리 단자 설치구조.
KR2019980012348U 1998-07-07 1998-07-07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KR200317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348U KR200317234Y1 (ko) 1998-07-07 1998-07-07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348U KR200317234Y1 (ko) 1998-07-07 1998-07-07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481U KR20000002481U (ko) 2000-02-07
KR200317234Y1 true KR200317234Y1 (ko) 2003-08-30

Family

ID=4940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348U KR200317234Y1 (ko) 1998-07-07 1998-07-07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2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481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8097B2 (en) Waterproofing method and structure for mobile phone
US5761299A (en) Auxiliary component connector including microphone channel
KR20060045374A (ko)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
JP2000349875A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KR200317234Y1 (ko)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KR200317235Y1 (ko)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KR20020555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 구조물
US7179098B2 (en) Terminal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JP2005116224A (ja) 電池パック
JP366858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実装構造
EP1096600A2 (en) Antenna fixing method and device
JP4308941B2 (ja) 端子付きレシーバおよび端子付きレシーバを用いた移動体通信装置
CN220672970U (zh) 连接器及电子设备
KR200333728Y1 (ko) 무선전화기용 안테나의 접속구조
KR1008025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용 피씨비 패키지
KR200259756Y1 (ko) 전기 콘넥터
KR200318521Y1 (ko) 전력 커넥터용 개량소켓구조
JPH07272788A (ja) コネクタ
KR200223445Y1 (ko) 이어폰 잭
KR100650662B1 (ko) 슬림형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장치
KR100489829B1 (ko) 튜너의 표면실장형 폰잭
KR20028010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착구조
JP3137014B2 (ja) 携帯電話機の外部接続接点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73480A (ja) 電気機器の配線構造
KR200170461Y1 (ko) 이동통신 단말기 진동모터의 와이어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