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077Y1 -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077Y1
KR200317077Y1 KR20-2003-0007352U KR20030007352U KR200317077Y1 KR 200317077 Y1 KR200317077 Y1 KR 200317077Y1 KR 20030007352 U KR20030007352 U KR 20030007352U KR 200317077 Y1 KR200317077 Y1 KR 200317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ans
panel
transparent organic
sub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주)네스디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스디스플레이 filed Critical (주)네스디스플레이
Priority to KR20-2003-0007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투명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투명한 유기 EL패널을 이용하여 양면 표시 구동을 구현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면에 각각 별도의 표시수단을 갖는 듀얼 폴더형 단말기에 투명 유기 EL패널을 적용하여 하나의 패널로서 주 표시수단과 보조 표시수단의 두 개의 패널 구동을 구현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보조 표시수단의 화면 표시를 위한 개구부를 주 표시수단을 위한 개구부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보조 표시수단의 구동 영역이 주 표시수단의 구동 영역을 일정한 순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양면 발광 가능한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주 표시수단과 보조 표시수단의 동시 구현이 가능해지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의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성능 및 소비전력 감소를 구현할 수 있으며,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두께 및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DUAL TYPE MOBILE PHONE USING OF TRANSPARENT ORGANIC ELECTRO-LUMINESCENCE PANEL}
본 고안은 양면 표시 구동이 가능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패널로서 주 표시수단과 보조 표시수단의 두 개의 패널을 구동시키는데 적합한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와 접이형(foldable) 단말기로 구분되는데, 바 타입 단말기는 키 패드가 본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 접이형 단말기는 키 패드를 보호하기 위해 메인 바디(main body)상에 서브 바디(sub body)가 개폐 가능토록 되어 있어서 현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접이형 단말기는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 단말기 및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로 구분되며, 플립 타입 단말기는 메인 바디(main body)상에 구비된 키 패드를 보호하고 송화음을 모아주는 기능을 하는 플립 커버가 서버 바디(sub body)로서 역할을 한다.
플립 업 타입 단말기는 플립 커버가 메인 바디상의 상측으로 개방되며, 폴더 타입 단말기는 서브 바디상에 LCD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폴더 타입 단말기들 중에는 서브 바디의 양면에 LCD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일명, 듀얼(dual) LCD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즉, 듀얼 LCD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서브바디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 프론트 LCD와 서브바디 내측에 구비된 내부 LCD가 존재한다.
이러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먼저, 전형적인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각종 전장부품이 내장되고, 일측 상단에 안테나(130)가 형성되는데, 단말기(100)의 메인 바디(110) 전면부에 사용자의 누름 행위에 의하여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dialing)할 수 있는 키 패드(160)가 구성된다.
또한, 단말기(100)의 상부 양측에 힌지(hinge)(10)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열고 닫음에 의해 키 패드(160)를 개방시키거나 키 패드(160)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전화번호 입력 및 작동 상태 등을 표시해주는 표시부가 내장된 서브 바디(120)가 구성되고, 이 서브 바디(120)의 상측과 메인 바디(110)의 하부에는 송, 수화부(140)(170)가 각각 구비되며, 이 송, 수화부(140)(170)가 구비된 단말기(100)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팩(112)이 단말기(100)의 배면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특히, 최근에는 LCD 표시부를 폴더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폴더의 내측 LCD(150)는 서버 바디(120)를 개방했을 때 주 표시창(Main Window)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화면을 표시하고, 서버 바디(120) 외측 LCD(190)는 보조 표시창(Sub Window)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각각의 모듈이 별도로 제작된 후에 일체로 어셈블리(assembly)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화면의 표시를 위해 수광소자인 LCD가 사용되었으나,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램프와 발생된 빛을 액정 패널로 전달하기 위한 도광판 등의 필수적인 구성에 의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함에 따라, 최근에는 주 표시창(150)은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고 보조 표시창(190)은 저전압 구동, 자기발광, 경량박형, 광시야각 그리고 빠른 응답속도 등의 장점을 가진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패널이 장착된 구성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화면을 별도로 구성 및 구동해야 하는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주 표시창(150)과 보조 표시창(190)에 부착되는 TCP, 드라이브 IC 등이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로 구성된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전력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세팅된 화면의 특정 영역만을 계속 구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얼룩(MURA)은 화면의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투명한 유기 EL패널을 각각 별도의 표시수단을 갖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여 하나의 패널로 주 표시수단과 보조 표시수단의 두 개의 패널을 구동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이고 단말기의 무게를 줄이도록 한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바디와, 메인 바디와 힌지 결합되어 메인 바디상에서 개폐가 가능한 서브 바디로 각각 이루어지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서브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보조 표시수단과; 보조 표시수단과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대향되게 서브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주 표시 수단과; 주 표시수단과 보조 표시수단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서브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양면 발광이 가능한 투명 유기 EL패널을 구비하는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1은 전형적인 양면 표시수단을 갖는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브 바디가 오픈된 경우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인 바디 120 : 서브 바디
150 : 주 표시수단 160 : 키 패드
190 : 보조 표시수단 200 : 투명 유기 EL패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유기 EL패널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음극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전극 대신 투명 음극을 사용하여, 즉, 유기 EL패널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까지도 빛이 출력되는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여 하나의 투명 유기 EL 패널로 주 표시수단(150)과 보조 표시수단(190)으로의 양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구성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 사상으로부터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이러한 투명 유기 EL패널이 사용됨에 따라 주 표시수단(150)과 보조 표시수단(190)에는 상호 역상의 화면이 서브 바디(120)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나타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LCD를 보는 사용자의 시각을 고려하여 서브 바디(12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추가로 구성되어 서브 바디(120)의 개폐에 따라 사용자측의 화면을 역상으로 변환시켜주는 구성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화면을 역상으로 변환시켜 주는 구성에서 서브 바디(120)가 닫혔을 때 투명 유기 EL패널이 서브 바디(120)의 외측에 위치한 보조 표시수단(190)으로 화면을 정상적인 방향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패널 구동 IC의 공통 신호(common signal)를 인버팅(inverting)하여 데이터 시그널을 뒤집어서 보내도록 제어 신호를발생해줄 수 있는 서버 바디 닫힘 감지 수단이 메인 바디(110)와 서버 바디(120)사이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 표시수단(150)과 보조 표시수단(190)의 개구부가 각각 176×RGB×220 QCIF, 96×RGB 64로 형성된다면, 보조 표시수단(190)의 개구부 크기가 주 표시수단(150)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서버 바디(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보조 표시수단(190)의 개구부내에 위치한 영역에만 화면이 출력되는 바, 96×RGB 64 영역이 반대편의 176×220 영역을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게 상부 케이싱 프레임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메인 바디(110) 및 키 패드 보호와 화면 표시 등을 위한 서브 바디(120)로 이루어진다.
메인 바디(110)의 최상단 일측에는 안테나(130)가 장착되고, 메인 바디(110)의 상면에는 입력 및 제어와 다이얼링 등을 위한 키 패드(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메인 바디(110)의 후면에 전원인가 수단(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메인 바디(110)의 일측 끝단에 서브 바디(120)가 힌지(10)로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서브 바디(120)의 내부에는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화면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으로 발광하는 투명 유기 EL 패널(200)을 사용하여 양면 발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버 바디(120) 내에는 각종 문자 및 정보들을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예컨대, LCD가 장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LCD 대신 투명 유기 EL 패널(200)을 적용한 것이다.
한편, 서브 바디(120)의 외부면에는 서브 바디(120)가 닫힌 상태일 때 외측면상에 화면을 보조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는 보조 표시수단(190)이 구비되며, 서브 바디(120)의 내측면에는 서브 바디(120)가 열린 상태일 때 사용자의 정면으로 화면을 나타낼 수 있는 주 표시수단(150)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보조 표시수단(190)과 주 표시수단(150)이 서로 수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수단이라는 명칭은 서브 바디(120)의 전면과 후면 표면에 뚫려 있는 주 개구부와 보조 개구부로 패널의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본원 고안에서는 투명 유기 EL(200)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하나의 투명 유기 EL 패널(200)이 서브 바디(120)의 전면부와 후면부로 각각 좌, 우 역상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게 됨에 따라 하나의 모듈로 주 표시수단(150)과 보조 표시수단(190)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 비용을 줄이고 구성이 간단해 질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주 표시수단(150)과 보조 표시수단(190)의 개구부가 각각 176×RGB×220 QCIF, 96×RGB 64로 형성되어, 보조 표시수단(190)의 크기가 주 표시수단(15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 표시수단(190)의 개구부 크기가 주 표시수단(150)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서버 바디(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보조 표시수단(190)의 개구부내에 위치한영역에만 화면이 출력되며, 96×RGB 64 영역이 반대편의 176 ×220 영역을 이동하면서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어 다이나믹(dynamic)한 영상 구현이 가능해진다.
특히, 서브 바디(120)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표시수단의 적절한 구동을 위해 서브 바디(12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도시 생략됨)이 누름 스위치 또는 근접 스위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된다.
즉, 감지수단이 서브 바디(120)의 닫힘을 감지하여 제어수단(도시 생략됨)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면, 제어수단은 투명 유기 EL패널(200)에 구동신호 및 데이터 시그널을 제공하는 화면 표시 드라이브 IC에서 공통신호(common signal)를 인버팅하도록 제어하게 되며, 인버팅된 공통신호에 의해 데이터 시그널이 반전된 상태로 패널에 인가됨에 따라 서브 바디(120)의 전면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표시수단(190)에는 반전된 화면이 출력되게 된다.
물론, 이때 주 표시수단(150)은 보조 표시수단(190)과 역상 관계에 있는 화면이 표시되겠지만 서브 바디(120)는 닫혀있는 상태인 바, 주 표시수단(15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은 사용자가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 전혀 불편을 주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양면 발광 가능한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주 표시수단과 보조 표시수단의 동시 구현이 가능해지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의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표시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간소해지는 구성에 의해 두께 및 무게가 혁신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보조 표시수단의 경우에 화면 표시를 위한 개구부를 주 표시수단을 위한 개구부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보조 표시수단의 구동 영역이 주 표시수단의 구동 영역을 일정한 순서로 이동하면서 표시되도록 하여, 종래의 고정된 화면보다 훨씬 다이나믹한 형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6)

  1. 메인 바디(main body)와, 상기 메인 바디와 힌지(hinge) 결합되어 상기 메인 바디(main body)상에서 개폐가 가능한 서브 바디(sub body)로 각각 이루어지는 듀얼 폴더형(dual folder typ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보조 표시수단과;
    상기 보조 표시수단과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대향되게 상기 서브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주 표시수단과;
    상기 주 표시수단과 상기 보조 표시수단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양면 발광이 가능한 투명 유기 EL패널(organic Electro-Luminescence panel)과;
    상기 투명 유기 EL패널의 화면표시 구동 및 인버팅(inverting)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유기 EL패널은 상호 역상의 화면이 상기 서브 바디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나타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힌지 결합되는 서브 바디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서브 바디의 닫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표시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정상 방향으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투명 유기 EL패널을 제어하며,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서브 바디의 열림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주 표시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정상 방향으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투명 유기 EL패널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유기 EL 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투명 유기 EL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패널 구동 IC의 공통신호(common signal)를 인버팅하여 화면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표시수단과 상기 보조 표시수단의 개구부 크기는 서로 상이하되, 보다 작은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이 보다 큰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표시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3-0007352U 2003-03-12 2003-03-12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17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52U KR200317077Y1 (ko) 2003-03-12 2003-03-12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52U KR200317077Y1 (ko) 2003-03-12 2003-03-12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077Y1 true KR200317077Y1 (ko) 2003-06-25

Family

ID=4940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352U KR200317077Y1 (ko) 2003-03-12 2003-03-12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0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9864B2 (ja) 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携帯情報端末
US7019714B2 (en)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organic electroluminescent and liquid crystal devices
US20070004475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12133372A (ja) 表示装置
JP4939770B2 (ja) 表示装置
KR20010085518A (ko) 양면 액정 디스플레이 통신 장치
WO2000036578A1 (en) Dual view lcd assembly
JP4849801B2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1918764A1 (en) Multi-panel display apparatus
EP1519545B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us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ne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04385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JP4405532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
KR100415780B1 (ko) 투과형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KR200317077Y1 (ko) 투명 유기 el패널을 이용한 듀얼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13292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for dual displa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4423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JP2001268186A (ja) 携帯電話機能付き携帯機器
JP2005257724A (ja) 表示モジュール、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電話機
KR100601927B1 (ko) 복합 액정디스플레이 모듈 및 복합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0349916B1 (ko) 휴대용 표시 장치
KR200101040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양면 lcd 표시 장치
KR100707427B1 (ko) 돌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42552A (ko) 듀얼 액정표시장치
KR20030000348A (ko) 거울기능을 갖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KR200248683Y1 (ko) 거울기능을 갖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