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204A -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204A
KR20060017204A KR1020040065781A KR20040065781A KR20060017204A KR 20060017204 A KR20060017204 A KR 20060017204A KR 1020040065781 A KR1020040065781 A KR 1020040065781A KR 20040065781 A KR20040065781 A KR 20040065781A KR 20060017204 A KR20060017204 A KR 20060017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panel
display unit
driv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영
박영종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7204A/ko
Publication of KR2006001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사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로 나눠지며, 제1 표시부의 화상은 표시 패널의 제1 면을 통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부의 화상은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표시 패널의 제2 면을 통하여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양면 발광 표시 장치에 따르면, 양면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에서 한 면에서 발광시 활용되지 않는 영역에 구동부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을 위치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크기를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다.
EL, 양면발광, 표시패널

Description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display emitting light on both-sided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면 발광 표시 장치의 블록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면 발광 표시 장치가 내장된 단말기의 외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 전계 발광(electroluminescent, 이하 EL이라 함)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젼 등의 경량, 박형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도 경량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음극선관 (cathode ray tube: CRT) 대신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은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기 EL 표시 장치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개발되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외부전기장이 유기 발광물질에 인가되어 유기물 내에서 전자와 홀이 결합하여 빛을 내는 자체발광현상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이다. 이러한 유기 EL 표시 장치는 고품위 패널특성(저전력, 고휘도, 고반응속도, 저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CNS, PDA, 캠코더, Palm PC 등의 전자 응용제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는 소비 전력이 적고 무게가 가벼운 특징으로 인하여 주로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이즈를 더 작게 하기 위하여 폴더형(접이식) 형태로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폴더형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일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타면에는 기능부(키패드 등)가 설치되어, 단말기를 접으면 디스플레이가 차단되고 단말기를 펼치면 통화를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 어진다. 그러나 단말기를 접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차단됨에 따라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최근에는 단말기의 외장에도 디스플레이를 장착하여 단말기를 접은 경우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폴더형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시를 위하여 양면으로 발광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양면 발광 유기 EL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전극, 유기 발광 층, 제2 전극, 제2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기판이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전극이 ITO(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져,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이 제1 및 제2 기판으로 각각 나오도록 한다. 따라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양면(예를 들어, 전면과 배면)을 통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중 소정 영역을 메인 표시부, 나머지 영역을 서브 표시부로 하고, 메인 표시부와 서브 표시부의 일측면을 각각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차단시킨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메인 표시부에서는 전면을 통해서만 빛이 투과되고 서브 표시부에서는 배면을 통해서만 빛이 투과되어, 단말기를 펼친 경우에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전면을 통하여 메인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단말기를 접은 경우에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배면을 통하여 서브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메인 표시부 측면에서 보면 전면의 소정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서브 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된다. 즉, 메인 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만 정보 표시가 이루어지고 나머지 상기 영역에서는 정보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버려지는 영역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를 사용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영역을 최대한 감소시켜, 휴대용 단말기의 컴팩트(compact)화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양면 발광 표시 장치는,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사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로 나눠지며, 제1 표시부의 화상은 표시 패널의 제1 면을 통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부의 화상은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표시 패널의 제2 면을 통하여 표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특히, 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가 상기 제1 면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기 표시 장치가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사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로 나눠지며, 제1 표시부의 화상은 표시 패널의 제1 면을 통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 부의 화상은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표시 패널의 제2 면을 통하여 표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화소 회로와 구동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되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셀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이나, 본 발명에 따른 양면 발광 표시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면 발광 표시 장치의 블록 구조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면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데이터 구동부(200), 주사 구동부(300), 동작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각각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Y1-Yn),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 (X1-Xm) 및 복수의 화소 회로(110)를 포함한다. 신호선(X1-Xm)은 화소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사 신호를 표시 패널(100)로 전달하며, 데이터선(Y1-Yn)은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100)로 전달한다. 화소 회로(110)는 데이터선과 신호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각각 구동하여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패널(100)은 크게 메인 표시부(111)와 서브 표시부(112)로 나눠진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데이터선(Y1-Yn)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며, 주사 구동부(300)는 신호선(X1-Xm)에 화소 회로를 선택하고 발광시키기 위한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특히, 주사 구동부(300)는 동작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메인 표시부(111)와 서브 표시부(112)에 각각 포함되는 신호선들에 선택적으로 주사 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는 하나의 데이터 및 주사 구동부가 메인 표시부(111)와 서브 표시부(112)를 모두 구동시키는 것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2개의 데이터 구동부가 메인 표시부(111)와 서브 표시부(112)를 각각 구동시키고, 또한 서로 다른 2개의 주사 구동부가 메인 표시부(111)와 서브 표시부(112)를 각각 구동시킬 수도 있다. 메인 표시부(111)와 서브 표시부(112)의 데이터선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400)는 구동부(200,300)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표시를 위한 다수의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정되는 표시 모드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메인 표시부(111)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도록 각 구동부(200,300)를 제어하거나, 또는 서브 표시부(112)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제어부(400)는 표시 장치가 장착되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예:폴더형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가 접혀있거나 펼쳐져 있는 등의 상태)에 따라 표시 모드를 메인 표시부(111)를 통해서만 화상이 표시되는 제1 표시 모드, 서브 표시부(112)를 통해서만 화상이 표시되는 제2 표시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또는 메인 표시부(111) 및 서브 표시부(112)를 통해서 화상이 각각 표시되는 제3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10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에서, 투명한 제1 및 제2 기판(10,20) 사이에 제1 투명 전극(30), 유기 발광층(40), 제2 투명 전극(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제1 투명 전극(30)과 유기 발광층(40) 사이에 정공 관련층(60)이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40)과 제2 투명 전극(50) 사이에 전자 관련층(70)이 형성된다. 제1 투명 전극(30)은 데이터 전극으로 이용되고, 제2 투명 전극(50)은 주사 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정공 관련층(60)에는 제1 투명 전극(3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HIL), 정공 운송층(hole transfer layer:HTL)이 포함된 다. 유기 발광층(40)은 빛을 발광하면서 전자 또는 정공을 운반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며, 특히, 제1 및 제2 투명 전극(30,50)에서 공급되는 정공 및 전자를 이용하여 발광한다. 유기 발광층(40)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은 제1 및 제2 투명 전극(30,50) 그리고 제1 및 제2 기판(10,20)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양면을 통하여 화상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 패널(100)의 메인 표시부(111)와 서브 표시부(112)의 광 방출면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메인 표시부(111)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하고, 서브 표시부(112)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한다. 이와는 달리, 메인 표시부(111)는 배면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도록 하고, 서브 표시부(112)는 전면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기판(10) 쪽을 표시 장치의 배면이라고 하고 제2 기판(20) 쪽을 표시 장치의 전면이라고 할 경우, 제1 기판(10)의 발광면에서 표시 패널(100)의 메인 표시부(111)에 대응하는 부분을 별도의 수단(차단막)을 이용하여 방출되는 광을 차단시키고, 제2 기판(20)의 발광면에서 서브 표시부(112)에 대응하는 부분을 차단막을 이용하여 방출되는 광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막으로 표시 패널을 감싸는 외부 보호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 및 제2 기판(10,20)의 상기 부분들만 불투명으로 형성하여 차단막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차단막으로 가려지는 부분(데드 스페이스)을 부품 실장 공간으로 활용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200,300)가 탑재되는 회로 기판의 일부를 상기 표시 패널의 데드 스페이스에 위치시킨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설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주사 구동부(30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200)가 실장되어 표시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500)이 예를 들어, 구동부가 칩 등의 형태로 장착되어 있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회로 기판(500)을 도 3에 예시되어 있듯이, 표시 패널(100)의 데드 스페이스 즉,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서 서브 표시부(112)에 대응하는 부분인 미활용 영역(113)에 위치되도록 구부려서 실장한다. 구동부(200,300)가 실장된 회로 기판(500)을 도 3에서와 같이, 접이식 구조로 형성하여, 표시 패널 이외에 회로 기판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전체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주사 구동부(30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200)가 회로 기판(500)에 실장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와는 달리, 주사 구동부(300) 및/또는 데이터 구동부(200)는 표시 패널(100)의 기판 위에 직접 장착되는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실장되고, 동작 제어부(400) 등의 제어 회로를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회로 기판(500)에 장착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의 미활용 영역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회로 기판에는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동작 제어부 등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모든 회로들이 선택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전체 구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가 내장된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이 메인 표시부(111)와 서브 표시부(112)로 나눠지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를 내장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단말기의 외부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b)이 표시 패널(100)의 서브 표시부(112)에 대응하고, 단말기를 펼쳤을 때 내부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a)이 표시 패널(100)의 메인 표시부(111)에 대응한다.
한편, 표시 패널(100)에 연결되는 회로 기판(500)을 위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에서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서 서브 표시부(112)에 대응하는 부분인 미활용 영역(113)에 위치되도록 접이식 구조로 실장한다.
따라서, 양면 발광 표시 장치의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표시 패널과 회로 기판이 힌지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서로 다른 모듈에 각각 실장되고 FPC 등에 의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 수단에 대응하는 부분의 FPC 상에서 회로 연결이 끊어지거나 하는 등의 결함이 많이 발생될 수 있는 반면에, 본원 발명에서는 표시 패널이 실장된 한 모듈의 미활용 영역에 구동부가 장착된 회로 기판이 위치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힌지 부 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면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에서 한 면에서 발광시 활용되지 않는 영역에 구동부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크기를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양면 발광 표시 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를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사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로 나눠지며, 제1 표시부의 화상은 표시 패널의 제1 면을 통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부의 화상은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표시 패널의 제2 면을 통하여 표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부가 상기 제1 면 중 상기 제2 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되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층
    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층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방출되는 양면 발광 표시 장치.
  4.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표시 장치가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사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로 나눠지며, 제1 표시부의 화상은 표시 패널의 제1 면을 통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2 표시부의 화상은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표시 패널의 제2 면을 통하여 표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면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65781A 2004-08-20 2004-08-20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17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781A KR20060017204A (ko) 2004-08-20 2004-08-20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781A KR20060017204A (ko) 2004-08-20 2004-08-20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204A true KR20060017204A (ko) 2006-02-23

Family

ID=3712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781A KR20060017204A (ko) 2004-08-20 2004-08-20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72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45B1 (ko) * 2005-10-14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7639341B2 (en) 2007-06-07 2009-12-2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light emitting diodes
US10319945B2 (en) 2015-04-24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providing light emission on bezel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45B1 (ko) * 2005-10-14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7639341B2 (en) 2007-06-07 2009-12-2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light emitting diodes
US10319945B2 (en) 2015-04-24 2019-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providing light emission on bezel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15371B2 (en) 2015-04-24 2020-04-07 Samsung Displa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providing light emission on bezel reg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5785B2 (en) Light emitting device
US20140043219A1 (en)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light emitting device
JP4712397B2 (ja) 表示装置
JP2002304136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40064156A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4479140B2 (ja) 電子機器
WO2022222637A1 (zh) 显示模组及其控制方法和电子设备
JP2000276068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40263064A1 (en) Integrated double-side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JP4736614B2 (ja) 信号伝送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6019142A (ja) 発光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KR100570772B1 (ko) 발광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드라이버 및 그방법
KR20060017204A (ko) 양면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570771B1 (ko) 발광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드라이버 및 그방법
KR20110032110A (ko) 표시 장치
KR100599651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42375B1 (ko) 양면구동 유기전계발광장치
US20230298536A1 (en) Display device
US77149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739034B1 (ko) 양방향 신호전달 시프트레지스터
KR100685412B1 (ko) 여분의 배선 또는 패드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가요성인쇄회로기판
KR100570773B1 (ko) 발광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드라이버 및 그방법
CN116075180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060067332A (ko) 인쇄회로기판을 개선한 평판표시장치
CN117596942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