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811Y1 -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811Y1
KR200316811Y1 KR20-2003-0007035U KR20030007035U KR200316811Y1 KR 200316811 Y1 KR200316811 Y1 KR 200316811Y1 KR 20030007035 U KR20030007035 U KR 20030007035U KR 200316811 Y1 KR200316811 Y1 KR 200316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to KR20-2003-0007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기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천장에 노출되는 양을 최소화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를 조기에 신속하게 재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지관(1)과 나사 연결된 바디(2)에 프레임(15)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플렉터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의 최하방에는 덮개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판의 내부에 덮개판내의 납이 용융되어 이탈됨에 따라 열을 감응하는 히트 콜렉터가 설치된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캡형상의 외부집열판(13)을 스크류(12)와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외부집열판을 록킹스크류(10)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Concealed Sprinkler for Early Reacted Type}
본 고안은 컨실드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천장에 노출되는 양을 최소화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를 조기에 신속하게 재압할 수 있도록 하는 조기 반응형 컨실드(Concealed)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설비는 화재발생시 소방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초기진압하는 설비로서, 화재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소화함과 동시에 경보기능을 가지므로 오동작하는 경우가 적어 백화점, 시장, 호텔, 병원 등 많은 사람이 밀집되는 대규모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 설비는 작동방법에 따라 폐쇄형, 개방형으로 대별되고, 감응속도에 따라 일반형과 조기반응형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보통 67∼180℃에서 작동하나,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부착 위치라든지 배치 및 방수량에 대해서는 건물의 종류와 내장(內裝)의 정도에 따라서 소방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실드 스프링클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컨실드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가지관(1)과 나사 연결되는 바디(2)에 프레임(3)이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플렉터(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최하방에는 천장(5)에 밀착되어 스프링클러를 폐쇄시키는 덮개판(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6)의 내부에는 덮개판내의 납이 용융되어 이탈됨에 따라 열을 감응하는 히트 콜렉터(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면 덮개판(6)이 천장(5)에 설치된 구멍(5a)을 폐쇄하므로 천장의 외부로는 덮개판(6)만이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덮개판(6)내의 납이 용융되므로 프레임(3)으로부터 덮개판(6)이 이탈되는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덮개판(6)이 이탈되고 나면 히트 콜렉터(7)가 화재 발생에 따른 열을 감응하여 분해되어 떨어져 나가게 되므로 프레임(3)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던 디플렉터(4)가 하부로 자유 낙하되어 프레임(3)의 외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가지관(1)을 통해 유입되는 소방수가 디플렉터(4)에 부딪혀 사방으로 골고루 분사되므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스프링클러는 덮개판이 천장에 밀착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잇점을 갖으나, 화재 발생시 덮개판이 먼저 이탈된 다음 히트 콜렉터가 분해되어 소방수가 살수되므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소방수를 살수하는데 한계가 있어 조기 반응형으로 제작할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천장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컨실드 스프링클러를 조기 반응형으로 제작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소방수를 살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가지관과 나사 연결된 바디에 프레임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플렉터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의 최하방에는 천장에 밀착되어 스프링클러를 폐쇄시키는 덮개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판의 내부에 덮개판내의 납이 용융되어 이탈됨에 따라 열을 감응하는 히트 콜렉터가 설치된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캡형상의 외부집열판을 스크류와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외부집열판을 록킹스크류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컨실드 스프링클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컨실드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컨실드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록킹스크류 11 : 내부집열판
12 : 스크류 13 : 외부집열판
14 : 강도 보강용 웨이브 15 : 프레임
16 : 세일링 플레이트 16a : 돌출부
16b : 스토퍼 17 : 공간부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컨실드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스프링클러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록킹스크류(10)의 하단에 내부집열판(1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집열판의 하부에는 스크류(12)가 일체로 고정된 캡형상의 외부집열판(13)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스크류(12)는 록킹스크류(1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외부집열판(13)에 고정된 스크류(12)를 록킹스크류(10)에 강제로 압착고정하여도 되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크류(12)를 록킹스크류(10)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12)와 일체로 고정되어 록킹스크류(10)에 고정되는 외부집열판(13)의 재질 및 면적에 따라 집열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반응형 스프링클러의 설치장소 및 용도에 따라 외부집열판(13)의 면적 및 재질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외부집열판(13)상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도 보강용 웨이브(14)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비교적 얇은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고도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외부집열판(13)에 스크류(12)를 스폿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강제 압착 고정하여 일체화하므로 외부집열판(13)을 록킹스크류(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천장면(5)에 프레임(15)이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외부집열판(13)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돌출부(16a)를 갖는 세일링 플레이트(16)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으로 열기류가 발생되면 외부집열판(13)과 돌출부(16a)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7)를 통해 열기류가 내부집열판(11)상에 작용되므로 보다 신속한 열감응으로 스프링클러를 조기에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천장면(5)에 고정되는 세일링 플레이트(16)에는 스프링클러의 설치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16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스프링클러의 장착작업시천장면(5)에 세일링 플레이트(16)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프레임(15)을 설치하여 스토퍼(16b)에 프레임의 하단면이 접속되도록 하면 스프링클러의 돌출량이 결정되므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장면(5)에 세일링 플레이트(16)를 고정한 상태에서 프레임(15)의 하단면이 스토퍼(16b)에 밀착되도록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다음 외부집열판(13)에 고정된 스크류(12)를 록킹스크류(10)에 나사 결합하면 외부집열판(13)과 세일링 플레이트(16)사이에 열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부(17)가 확보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조기 감응형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의 발생에 따라 발생된 열기류가 외부집열판(13)을 가열시킴과 동시에 세일링 플레이트(16)와 외부집열판(13)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7)를 통해 열기류가 전달되어 내부집열판(11)을 가열시키게 되므로 퓨즈(18)가 용융되고, 이에 따라 록킹스크류(10)와 나사 결합된 외부집열판(13)과 히트콜렉터(11)가 프레임(15)으로부터 동시에 같이 이탈 된다.
이와 같이 외부집열판(13)및 히트콜렉터(11)가 프레임(15)으로부터 이탈되고 나면, 프레임(15)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던 디플렉터가 하부로 자유 낙하되어 프레임(15)의 외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가지관(1)을 통해 유입되는 소방수가 디플렉터에 부딪혀 사방으로 골고루 분사되므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집열판의 외부에 스크류가 고정된 외부집열판을 설치하여 이들을 록킹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재를 빠른 시간내에 진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천장면에 설치되는 세일링 플레이트와 외부집열판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열기류가 내부집열판에 전달되므로 스프링클러를 조기에 작동시키게 됨은 물론 세일링 플레이트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 스프링클러의 설치위치를 제어하게 되므로 스프링클러의 시공을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6)

  1. 가지관과 나사 연결된 바디에 프레임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사방으로 확산시키는 디플렉터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의 최하방에는 천장에 밀착되어 스프링클러를 폐쇄시키는 덮개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판의 내부에 덮개판내의 납이 용융되어 이탈됨에 따라 열을 감응하는 히트 콜렉터가 설치된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캡형상의 외부집열판을 스크류와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외부집열판을 록킹스크류에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집열판에 고정된 스크류를 록킹스크류에 나사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집열판상에 강도 보강용 웨이브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집열판에 고정되는 스크류가 스폿 용접 또는 강제 압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에 프레임이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외부집열판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돌출부를 갖는 세일링 플레이트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일링 플레이트에 스프링클러의 설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KR20-2003-0007035U 2003-03-10 2003-03-10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KR200316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035U KR200316811Y1 (ko) 2003-03-10 2003-03-10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035U KR200316811Y1 (ko) 2003-03-10 2003-03-10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696A Division KR100522146B1 (ko) 2003-03-10 2003-03-10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811Y1 true KR200316811Y1 (ko) 2003-06-18

Family

ID=4940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035U KR200316811Y1 (ko) 2003-03-10 2003-03-10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8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703B1 (ko)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101828362B1 (ko)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용 체결공구
US9993674B2 (en) Cover plate for concealed sprinkler
TWI583428B (zh) Protective cover and sprinkler head
JP2003514638A (ja) 消火器
KR100522146B1 (ko)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US7314094B2 (en) Concealed cover for a fire sprinkler head
KR102211444B1 (ko) 방사형 유로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JP5161664B2 (ja) 閉鎖型泡消火ヘッド
KR200316811Y1 (ko)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KR100853558B1 (ko) 천장에 내장되는 스프링클러
KR20200089396A (ko) 나선형 유로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JP3678373B2 (ja) 消火装置
KR200309942Y1 (ko) 조기 반응형 후러쉬 스프링클러
KR101331157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KR100934754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0716471B1 (ko) 스프링쿨러헤드
KR102158704B1 (ko) 날개부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200277300Y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결합구조
JP3325696B2 (ja) フラッシュ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396451Y1 (ko) 스프링쿨러헤드
KR200420213Y1 (ko) 기류 감응 확장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11920Y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헤드
KR20040058119A (ko) 조기 반응형 후러쉬 스프링클러
JP2000014823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